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도시가스 개별난방 VS 열병합 지역난방

궁금이 조회수 : 3,339
작성일 : 2016-01-21 16:11:59

얼마전에 집을 보러 갔는데 도시가스 개별난방인 아파트였어요.

들어가서 바닥을 딛는데 뜨끈뜨끈하더라구요.

거의 지역난방에서만 살아서 도시가스 난방 하도 비싸다고 해서

집보러 다닐때 지역난방 집만 살게 되었는데 ... 몸 않좋을때 집을 뜨끈하게 할수도 없고

날씨에 따라서 각집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기계실에서 조절한다고 하더라구요.

물온도가 낮다구 난방비가 싼것도 아니구요.

그래서 이번엔 도시가스 개별난방집으로 이사갈까 생각중입니다.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그렇게 발디뎠을때 뜨끈뜨끈할정도로 하루에 서너시간씩

때면 도대체 요즘 기준으로 25평이다 할때 난방비가 얼마나 나오는걸까요?

예전에 살던집은 지역 난방이었는데 25평 아파트 탑층 사이드집이었는데 정말 10년전인데도

추웠는데도 거의 난방비만 20만원돈에 육박했거든요.

지역난방은 진짜 완전 복불복인거 같아요.

차라리 개별난방은 문제 있으면 보일러 갈아버리면 되는데 지역난방은 어떻게

할수가 없는거 같더라구요.

두군데 다 살아보신분들 어떤게 더 나을까요?

똑같이 땐다면 어쨌든 지역난방이 더 싼걸까요?



IP : 115.143.xxx.7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6.1.21 4:18 PM (211.237.xxx.105)

    똑같이 하면 지역난방이 당연히 싸고요.
    뜨끈뜨끈하게 하려면 기준을 잘 모르겠어서 확실히는 말씀 못드리는데
    아는 집이 23평에 도시가스개별난방인데 하도 추워서 보일러 안트냐고 했더니
    트는데 온도를 조금 낮춰놨다 하더라고요. 그렇게 해도 한 20만원 나온다고..;;
    보일러 종류나 노후여부그리고 집 자체가 단열이 잘되는지에 따라서도 다를듯요.

  • 2. ...
    '16.1.21 4:43 PM (112.151.xxx.184)

    지역난방도 춥다고 막틀면 폭탄 맞구요.. 가격도 많이 올라서 과연 그렇게 싼지도 모르겠구요..

    단점이 많죠, 바닥 뜨끈하게 절대 못하고, 온수 온도도 정말 추울땐 뜨겁게 잘 안나오구요..
    (그냥 따뜻한 수준.. 제일 뜨겁게 해도 간신히 샤워할 수준.. 요즘 그러네요.)
    여름에도 난방 기본료 나가구요...
    장마철이나 이럴때 개별난방처럼 습기 빼려고 확 돌리는거 이런거 절대 못하고요..
    7년째 지역난방 살고 있는데 빨리 개별난방 가고파요.. 다음엔 갈거예요..

  • 3. ..
    '16.1.21 9:16 PM (49.169.xxx.197) - 삭제된댓글

    10년된 22평 지역난방 아파트 살았었어요 작년까지.. 사실 거기가 국민임대여서.. 온수온도가 다른 곳보다 조금 낮게 공급이 된다고는 하던데.. 암튼.. 바닥은 전혀 따뜻하지 않은데 안돌리면 더 추우니 보일러는 계속 돌리고.. 외풍때문에 냉기는 많이 들어오고.. 난방비로만 겨울동안 매달 15만원정도 나왓어요..
    34평 새아파트로 이사왔는데 지난달에.. 따뜻하게 돌렸는데 15만원 나왔어요 (온수와 가스 건조기 사용 포함해서요) 다른 집들은 그만큼 안쓰는거 같아서 이번달은 좀 아껴 틀려고 하고 있어요.. 그래도 보일러 돌리면 바로 바닥이 따뜻해져요.. 근데 다시 생각해보니 다른집 적게 나오는게 뭔 상관이냐고.. 15만원 나와도 전집보다 따뜻하고 적게 나오는거니 팍팍 돌릴까 고민중이에요 ㅎㅎ
    지역난방도 단가가 계속 올라서 저렴하지 않다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8761 아이 아빠에게 주고 이혼하신분들.. 살아지시던가요..? 13 ... 2016/04/17 7,891
548760 며칠 정도면 덜 먹어도 배가 덜 고프다는 느낌이 올까요? 3 .... 2016/04/17 1,335
548759 2012 대선 당시 후보자 토론회 다시 보는 중 5 2012 2016/04/17 986
548758 '이거 먹으면 몸이 바로 반응한다' 하는 음식 있으세요? 165 음식 2016/04/17 25,911
548757 직장내 말 짧게 하는 여직원 3 30 중반녀.. 2016/04/17 2,987
548756 그것이 알고싶다. 세월호.... 17 비가내린다 2016/04/17 4,612
548755 에코백에 판박이? 6 hakone.. 2016/04/17 1,559
548754 일본 심야 버스 좀 3 연이 2016/04/17 988
548753 대출이 있는 집 등기 1 ,, 2016/04/17 684
548752 결의안이라도 야당이 합치면 할수는 있는건가요 ? 1 실효성없지만.. 2016/04/17 541
548751 분란글은 왜 주로 낮에 집중될까요? 18 진심궁금 2016/04/17 1,158
548750 소설 남자의 향기 보신분 1 ㅇㅇ 2016/04/17 1,351
548749 요즘 들어서 느끼는게 교회 다닌다고 다 착하고 좋은사람은 아닌거.. 40 ... 2016/04/17 4,929
548748 김어준과 문재인의 커넥션 46 심플플랜 2016/04/17 4,548
548747 갱년기가 오니 삶이 무덤덤 해지네요. 5 은현이 2016/04/17 4,367
548746 해외에서 귀국하려는데 여의도 vs 용산 9 해외 2016/04/17 2,717
548745 세월호 이슈 커지니까 분탕질 눈에 띄네요. 7 ㅇㅇ 2016/04/17 1,013
548744 ..친노...란 말에 대하여 11 ㄷㅅㄱ 2016/04/17 712
548743 안철수 문재인 쪽인 척하면서 싸울 때가 아니예요 11 아마 2016/04/17 795
548742 와이셔츠 입을 때 옷안에요... 2 미엘리 2016/04/17 3,174
548741 이사짐센터 견적 두세군데 받고 결정하시나요? 8 이사 2016/04/17 1,745
548740 업무잘못을 지적했더니 자기에게 감정있냐는듯한 태도 3 어이상실 2016/04/17 1,067
548739 mb.박근혜정권 심판할수있는 당은 어딜까요 6 퀴즈 2016/04/17 871
548738 김욱과 영패주의 1 김욱 2016/04/17 683
548737 김어준이가 역겨운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47 .... 2016/04/17 7,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