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불과 관련된 제 심리가

궁금해요 조회수 : 1,397
작성일 : 2016-01-21 12:50:34

저는 40대 중반 기혼녀..

경제적 형편이 넉넉하지 않아 평소 소비습관은  딱 필요한 물건만 사는 편인데

이상하게 이불은 맘에 드는 게 있음 늘 사고싶어 해요.

물론 저가 위주로..

딱 한번 아이들 어릴 때 형편에 어울리지 않게 백화점에서

브랜드 침대 이불셑트를 할부로 두채나 사오기도 했네요 -.-;;

그렇다고 집에 이불이 처치 못할 정도로 많은 건 아니지만

우리집에서 내가 산 물건중에 그래도 넉넉한게 있다면 그건 바로 이불입니다.

올 겨울에도 마트 갔다가 극세사 패드 두개와 무릅담요 두개를 구입 했어요.

전부 저렴한데 그 가격에서도 할인을 했기에 다 합해봐야 10만원도 안하지만

사실 무릅담요는 이미 두개 있어서 굳이 더 필요가 없는데도 샀고

극세사 패드도 하나는 필요했어도 나머지 하나는 굳이 필요치 않았는데

붉은색의 따뜻한 느낌이 좋아 구입을 했네요.

가계부 쓰면서 안사도 되는데 괜히 사서 짐만 늘어나고 낭비인것 같아

조금 후회가 되길래 내가 왜이리 물건중에 유독 이불을 좋아하는지

 갑자기 궁금해져 여기 님들께 물어보고싶어 졌어요.'

저는 평소 정리정돈 하는 성격도 아닌데 유난히 잠을 잘때 이불은

바르게 정돈이 안되면 눕지를 않고 남편이나 아이들이

잠을 잘때도 바닥에 까는 요가 모양이 반듯하지 않으면

제가 항상 바르게 펼쳐서 누워 자게 하고 행여나 먼저 못봐주면

나중에라도 제대로 하고 자나 확인을 해야 안심이 될 정도에요.

그리고 위생관념도 보통인데 유난스레 이불만은

자주 세탁을 하는 편이라 이런 제 맘을 읽어주시거나

이불과 관련한 심리를 아시는 분이 있다면 말씀을 듣고 싶어요.

IP : 112.173.xxx.19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불을 통해서
    '16.1.21 1:08 PM (123.199.xxx.216)

    절약에 대한 스트레스를 푸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 샴푸나 비누 치약을 사면서
    경제적 허기짐을 채웠거든요.

    돈을 쓰고 싶은데 타당한 명분이 필요한거죠.

    님도 아마 경제적인 결핍을 가족의 따뜻한 이불을 사는걸로 만족시키신건 아닌가요?

  • 2. ㅇㅇㅇ
    '16.1.21 1:16 PM (211.237.xxx.105)

    왜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저도 약간 비슷해요.
    오픈마켓같은데에서 이불이나 담요 패드 종류 나오면 유심히 봅니다 ㅎㅎ
    저렴한 극세사 담요 무릎담요등은 몇개 사기도 하고요. 이불등은 자주 사요.
    저도 뭐 처치 못할정도로 많지는 않고, 낡은건 버리고 새로 사는 위주라
    적당히 있어요.
    무릎담요용같은 극세사 담요 이불사이즈 좋아해서 자주 사요.

  • 3. 심리검사
    '16.1.21 1:28 PM (112.173.xxx.196)

    애정결핍 있다 소리 들은 적 있는데 어릴적에 부모 정을 크게 못느끼고 자랐거든요.
    부모님은 자식들에게 애정표현이 거의 없으셨는데 혹시 이것도 관련이 있나 궁금했네요.
    첫댓글님 말씀대로 조금 그런 면도 있는 것 같고
    두번째 댓글님 저는 이불이 완전히 낡아져서 구멍이 나야 버린답니다.
    새거는 한번씩 꺼내서 펼쳐 감상만 하다 버려지는 이불이 있음 그때서야 꺼내 놓아요^^
    원글속의 비싼 침대셑트 살때만 해도 허름한 셋방이라 다락에서 2년을 묵히다
    아파트로 이사가면서 꺼내서 썻을 정도네요ㅎㅎ

  • 4. 좋은거죠
    '16.1.21 1:49 PM (118.33.xxx.178)

    잠자는 곳이 아늑하고 포근해 보이면 전체적으로 가정이
    따뜻해 보이잖아요.
    유독 어떤 사람은 어디서 어떻게 자느냐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고 수면의 질은 건강과도 직결 되어있구요.
    원글님 말씀하신대로 애정의 결핍을 충족시켜주는 심리적인 부분이 있을수도 있지만 너무 많이만 사지 않으면 괜찮을것 같아요. 구멍이 날때 까지 사용하는것 보다는 새 이불들로 바꿔 가며 사용하시고 매트리스 케어 같은것도 받아보시면 더 좋지 않을까 싶네요

  • 5. 저는
    '16.1.21 2:04 PM (223.62.xxx.97) - 삭제된댓글

    구두요~~~

  • 6. 동감^^
    '16.1.21 2:51 PM (1.242.xxx.89)

    저두요!!!
    저는 둘째로 태어나 어릴때부터 불평 한마디 없이 온갖 궂은일을 도맡아 하며 자라서 그런지 이상하게
    신발 가방 옷 보다는 웬지 저녁에 잠들때 편안한 엄마품같은 이불이 그렇게 좋아요.
    밖에 사람들과 또는 남편과의 관계에서 힘들어도 저녁에 따뜻한 조명아래 편안함 침구속에 들어가면
    세상 모든 고민 잊은듯 편안해요!
    그래서 최근에는 침구판매까지 시작했네요^^

  • 7. 저도궁금
    '16.1.21 6:44 PM (182.221.xxx.208)

    우리남편이 그래요
    밍크담요 극세사 구스 토퍼 사도 너무 사대요
    특히 밍크블랭킷은 도대체 몇개를 샀는지
    사이즈도 애매해서 쓸일도없다니 자기가 쓴다고 두라는데
    왜그리 사들이는지 이것때문에 많이 싸웠어요
    이불장은 미어터지고 열기만해도 전 스트레스
    이불은 버리지도 못하게 합니다
    평소 스킨쉽 좋아하고 항상 치대고 하는것이 애정결핍일거다
    생각하며 참다가도 한번씩 저 밑에서 불이 확 올라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2280 김종인 ‘위안부 발언’ 후폭풍..시민200명 김대표 성토 19 위안부발언 2016/04/27 2,667
552279 성과 건강 2 drawer.. 2016/04/27 1,668
552278 잔인한 장면없는 반전영화좋아하시는분~~ 17 영화 2016/04/27 2,784
552277 손석희 뉴스보다 부부싸움했어요 58 Dd 2016/04/27 16,658
552276 코코넛 오일 얼굴에 바르는데 4 코코 2016/04/27 6,843
552275 영화 동주, 여자 정혜, 버스 정류장 같은 영화 추천 부탁드려요.. 10 .. 2016/04/27 1,553
552274 Jtbc속보 - (어버이연합) SK·CJ도 '수상한 돈' 송금 .. 7 개판 2016/04/27 1,591
552273 장조림 국물이 너무 많게 만들었는데 활용법 있으려나요? 5 ㅠㅠ 2016/04/27 1,225
552272 집값... 집 없는 자격지심...인지... 17 진짜... 2016/04/27 6,656
552271 당근을 보면 클린트이스트우드가 생각나서 기분 좋아져요 2 깊은초록 2016/04/27 992
552270 전기요금이 38,000원이 줄었어요 31 전기 2016/04/27 14,189
552269 편두통약 이디아..ㅠㅠ 4 진통제중에서.. 2016/04/27 2,646
552268 지금 천안 동남구에 비 오나요? 3 2016/04/27 661
552267 선관위는 다 알고 있었을것 같아요 13 아무래도 2016/04/27 2,675
552266 부모 재산을 사회에 전부 기부 해버리면 4 자식들은 2016/04/27 1,884
552265 시숙모님 친정아버님이 돌아가셨는데 상황좀 봐 주세요 7 시숙모님 2016/04/27 1,856
552264 상대방말을 비꼬는것도 성격인가요? 10 ..... 2016/04/27 3,332
552263 오늘 손석희뉴스 앵커브리핑 쩌네요 10 우와 2016/04/27 6,010
552262 코스트코에 빙수기 팔까요... 7 빙수기 2016/04/27 1,361
552261 달래 먹으면 입에서 냄새 나나요? 4 fff 2016/04/27 1,623
552260 저 지금 자야해요 8 .. 2016/04/27 2,159
552259 너무 무서워요.. 14 ... 2016/04/27 6,727
552258 세월호743일)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족들 꼭 만나.. 9 bluebe.. 2016/04/27 561
552257 일에 대한 책임감이 너무 강한 사람 인간미는 없네요 16 2016/04/27 3,687
552256 요즘 뉴스 5 시원 2016/04/27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