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질문]지역 난방에서 사는데 난방비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하는데요

난방비 조회수 : 2,376
작성일 : 2016-01-20 23:20:35
지역난방 아파트에서 살고 있습니다.
관리사무소에서 말하길
보일러를 겨울내내 절대 끄지 말고 계속 켜 놓는 게 난방비 줄이는 거라고 합니다.
다만 온도 조절을 하라고 하네요.
외출할 때는 좀 낮춰놓고 집에 있을 때는 높여놓고.
그런데 24시간 안 끄는 게 정말 난방비를 줄이는 게 맞나요?

그리고 관리사무소에서는 이런 방법을 알려줬어요.
만약 방 온도 20-21도 정도에서 생활하는 사람이라면 
난방온도를 그 보다 더 높여 놓으라는 겁니다.
예를 들어 25도 정도로 올려 놓으라는 거죠.
그러면 실제 방 온도는 24-25도 정도까지 올라갈 거랍니다.
그렇게 한 후 난방온도를 20도 정도로 낮추라는 겁니다.
그러면 실제 온도가 20도 밑으로 떨어져야 보일러가 가동되기 시작하는데
왠만해서는 방 온도가 25도에서 19도까지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20도 이상의 기온을 유지하면서 보일러는 작동이 안 되기 때문에 난방비 절약을
많이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거 맞는 말일까요?
IP : 121.171.xxx.6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일러회사에
    '16.1.20 11:44 PM (58.143.xxx.78)

    문의를 해보세요.
    린나이중에는 난방 꺼도 자체로 최소한 돌아가게
    되있는 것도 있고 모델마다 기능이 달라요.

  • 2.
    '16.1.21 12:00 AM (110.11.xxx.30)

    맞아요 그렇게 하고 사는데
    난방비 지금까지 6만원.8만원 나왔어요
    11.12월 요금이고 1월은 오늘까지 5만원 썼네요
    대략 계량기숫자 1이 천원정도 해요
    아침마다 숫자 체크해서 적어두거든요
    48평이고 열병합이에요
    실내온도는 늘 22도 23도 되요
    난방은 끄지 않고 외출때는 희망온도 18도로 해두고
    저녁에 들어와서 희망온도를 24도 25도로 해서
    두세시간 돌아가게 해요
    자기전에 다시 희망온도 20도 정도로 하고 자구요

  • 3. ..
    '16.1.21 12:09 AM (175.223.xxx.36) - 삭제된댓글

    난방을 끈다는건 아예 전원을 off시키는거예요. 그렇게 하면 온도를 다시 올리는데 많은 열이 필요하다해요.
    저도 지역난방인데 보통 22-23도 정도의 온도라 난방 올리고 싶으면 25도로 맞췄다 두어시간후 따뜻해지면 22도로 내려요.

  • 4. ...
    '16.1.21 12:27 AM (175.252.xxx.139) - 삭제된댓글

    저는 지역 난방. 오래된 아파트라 온도기가 없고, 벨브로 조절해요. 닫으면 계량기 안 돌아가서 요금 안 나오고 열면 계량기 돌아가서 요금 나와요. 밤에만 벨브 조금만 여는 게 난방비 제일 절약 되더라고요. 온도 조절기로 친다면 낮은 온도로 잠깐씩 켜는 게 난방비 절약되지 않을까요?

  • 5. 세상이치 참 묘해요...
    '16.1.21 8:59 AM (218.234.xxx.133)

    에어컨도 그렇고 보일러도 그렇게 한번에 기온을 확 낮추거나 확 올리려면 더 많은 힘(전기료)이 필요한 거 같아요.
    한여름에 에어컨도 참고 안틀다가 한낮에 18도로 틀어놓는 것보다 아침 선선할 때부터 28~29도에 맞춰 틀어놓으면 하루내내 시원하게 지내면서도 에어컨 별로 안돌아가고 전기료도 덜 나오고요.

    그게 사람한테 대입해보면 체중관리나 피부관리, 나아가 건강관리도 마찬가지거든요. 지금 꾸준히 해둬야 좀 나빠져도 금방 회복이 되고, 아주 망가지면 다시 제자리 돌아오는 데 큰 수고와 시간을 요구하죠.

  • 6. 오 오
    '16.1.21 10:05 AM (121.200.xxx.192)

    지역난방 기억해야겠어요

  • 7. 글쿤요
    '16.1.21 10:59 AM (182.222.xxx.32)

    열량계를 체크해 봐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3177 중딩 ᆢ고기 어느 부위 사면 잘사는건가요 8 단백질 섭취.. 2016/04/01 1,223
543176 무인도 사세요 1 .. 2016/04/01 818
543175 윈10 업그레이드 중지시키는 법 문의합니다 4 꽃바람 2016/04/01 1,103
543174 지갑을 주웠는데..ㅠ 63 ........ 2016/04/01 20,202
543173 거실장이나 tv장식장등은 매일 닦는게 답인가요? 5 어려운청소 2016/04/01 2,004
543172 중학교 내신이 제일 많이보는 특목고는? 3 궁금이 2016/04/01 1,721
543171 대학생 딸이 친구들이랑 러시아 여행 간다는데 6 걱정맘 2016/04/01 1,952
543170 문재인 지원유세 중인데... 초등앞에서 애들이 따라다니네요. 30 박주민 2016/04/01 3,863
543169 친구랑 둘이 홍콩가요~~^^ 20 ~ 2016/04/01 2,983
543168 문재인 의원 박주민 변호사 실시간 생방 주소 1 링크 2016/04/01 509
543167 생기부 세특질문 2 고등생기부 2016/04/01 1,815
543166 친구 결혼 사진 궁금하세요? 17 ??? 2016/04/01 3,998
543165 피해야 할사람 맞지요? 7 인간관계 2016/04/01 2,503
543164 오늘..요즘..빨래 베란다에서 건조 시키고 계신가요? 2 미세먼지 2016/04/01 1,357
543163 16년된 아파트 팔고 새로 살까요? 아님 리모델링 하고 들어가야.. 12 저도 2016/04/01 3,885
543162 자고 일어나면 입안이 뻑뻑하게 바짝 말라있어요... 5 구강건조 2016/04/01 6,620
543161 냉장고문 확 뒤로 젖혀지게 열려요 6 모모 2016/04/01 1,785
543160 심야 남편 간식이요... 만드는거말고, 쉽게 구입해서 먹을꺼리 .. 7 남편 간식 2016/04/01 1,687
543159 초등4학년 남아 계속 폴더 폰이여야겠죠? 6 어려워요 2016/04/01 1,104
543158 송중기가 원래부터 굉장히 잘생기고 장난이 아니라고 들었거든요 26 ㅂㅈㄷㄱ 2016/04/01 22,204
543157 태후 12편 대통령 6 부산좌빨 2016/04/01 1,671
543156 방금 재외국민 투표했습니다. 4 투표 2016/04/01 630
543155 마트에서 구입한 돼지고기, 냉장고 일주일지났는데 괜찮을까요 3 돼지고기 2016/04/01 1,638
543154 가구 싸게 잘 사는 법 21 .. 2016/04/01 9,224
543153 강서구 사시는 분.. 일식집 추천 부탁드려요 삿뽀로 vs 도쿄하.. 3 강서구민 2016/04/01 2,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