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질문]지역 난방에서 사는데 난방비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하는데요

난방비 조회수 : 2,384
작성일 : 2016-01-20 23:20:35
지역난방 아파트에서 살고 있습니다.
관리사무소에서 말하길
보일러를 겨울내내 절대 끄지 말고 계속 켜 놓는 게 난방비 줄이는 거라고 합니다.
다만 온도 조절을 하라고 하네요.
외출할 때는 좀 낮춰놓고 집에 있을 때는 높여놓고.
그런데 24시간 안 끄는 게 정말 난방비를 줄이는 게 맞나요?

그리고 관리사무소에서는 이런 방법을 알려줬어요.
만약 방 온도 20-21도 정도에서 생활하는 사람이라면 
난방온도를 그 보다 더 높여 놓으라는 겁니다.
예를 들어 25도 정도로 올려 놓으라는 거죠.
그러면 실제 방 온도는 24-25도 정도까지 올라갈 거랍니다.
그렇게 한 후 난방온도를 20도 정도로 낮추라는 겁니다.
그러면 실제 온도가 20도 밑으로 떨어져야 보일러가 가동되기 시작하는데
왠만해서는 방 온도가 25도에서 19도까지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20도 이상의 기온을 유지하면서 보일러는 작동이 안 되기 때문에 난방비 절약을
많이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거 맞는 말일까요?
IP : 121.171.xxx.6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일러회사에
    '16.1.20 11:44 PM (58.143.xxx.78)

    문의를 해보세요.
    린나이중에는 난방 꺼도 자체로 최소한 돌아가게
    되있는 것도 있고 모델마다 기능이 달라요.

  • 2.
    '16.1.21 12:00 AM (110.11.xxx.30)

    맞아요 그렇게 하고 사는데
    난방비 지금까지 6만원.8만원 나왔어요
    11.12월 요금이고 1월은 오늘까지 5만원 썼네요
    대략 계량기숫자 1이 천원정도 해요
    아침마다 숫자 체크해서 적어두거든요
    48평이고 열병합이에요
    실내온도는 늘 22도 23도 되요
    난방은 끄지 않고 외출때는 희망온도 18도로 해두고
    저녁에 들어와서 희망온도를 24도 25도로 해서
    두세시간 돌아가게 해요
    자기전에 다시 희망온도 20도 정도로 하고 자구요

  • 3. ..
    '16.1.21 12:09 AM (175.223.xxx.36) - 삭제된댓글

    난방을 끈다는건 아예 전원을 off시키는거예요. 그렇게 하면 온도를 다시 올리는데 많은 열이 필요하다해요.
    저도 지역난방인데 보통 22-23도 정도의 온도라 난방 올리고 싶으면 25도로 맞췄다 두어시간후 따뜻해지면 22도로 내려요.

  • 4. ...
    '16.1.21 12:27 AM (175.252.xxx.139) - 삭제된댓글

    저는 지역 난방. 오래된 아파트라 온도기가 없고, 벨브로 조절해요. 닫으면 계량기 안 돌아가서 요금 안 나오고 열면 계량기 돌아가서 요금 나와요. 밤에만 벨브 조금만 여는 게 난방비 제일 절약 되더라고요. 온도 조절기로 친다면 낮은 온도로 잠깐씩 켜는 게 난방비 절약되지 않을까요?

  • 5. 세상이치 참 묘해요...
    '16.1.21 8:59 AM (218.234.xxx.133)

    에어컨도 그렇고 보일러도 그렇게 한번에 기온을 확 낮추거나 확 올리려면 더 많은 힘(전기료)이 필요한 거 같아요.
    한여름에 에어컨도 참고 안틀다가 한낮에 18도로 틀어놓는 것보다 아침 선선할 때부터 28~29도에 맞춰 틀어놓으면 하루내내 시원하게 지내면서도 에어컨 별로 안돌아가고 전기료도 덜 나오고요.

    그게 사람한테 대입해보면 체중관리나 피부관리, 나아가 건강관리도 마찬가지거든요. 지금 꾸준히 해둬야 좀 나빠져도 금방 회복이 되고, 아주 망가지면 다시 제자리 돌아오는 데 큰 수고와 시간을 요구하죠.

  • 6. 오 오
    '16.1.21 10:05 AM (121.200.xxx.192)

    지역난방 기억해야겠어요

  • 7. 글쿤요
    '16.1.21 10:59 AM (182.222.xxx.32)

    열량계를 체크해 봐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6842 일산 사례는 공산국가 정치가 아닌가요?? 6 2016/05/13 1,222
556841 왕란한판중 여태먹은거마다 쌍란이예요ㅠ 9 5864 2016/05/13 3,058
556840 며느리를 딸처럼 대하기는 어렵나요? 18 ㅇㅇ 2016/05/13 3,877
556839 편도염 열이 안떨어져요 2 편도 2016/05/13 3,782
556838 저가항공중애서 제주항공 3 2016/05/13 1,562
556837 당 떨어질 때 대비해서 먹을거리 갖고 다니시는 분.. 15 ... 2016/05/13 5,531
556836 납부완료한 고지서 등은 어떻게 버리시나요? 1 ㅇㅇ 2016/05/13 646
556835 해몽 해주실 분 2 무서운꿈 2016/05/13 802
556834 대구 현풍..잘 아시는분이요.. 49 김수진 2016/05/12 1,381
556833 문화센터 새로 등록해서 1 ... 2016/05/12 647
556832 수학 전문과외샘 고등 과외비 어느정도인가요 7 :: 2016/05/12 3,080
556831 [급질] 살려주세요. TV가 혼자 저절로 켜지고 꺼져요 6 나 미친다 2016/05/12 12,275
556830 어버이날 없애고 꽃보다 할배도 없어지면 좋겠어요 4 짜증 2016/05/12 2,438
556829 루테인 어디 것이 좋나요? ㅠ 2 행복 2016/05/12 2,770
556828 낯가림 심한분들, 나이들면 좀 나아지던가요? 7 -- 2016/05/12 3,096
556827 초3 아이 과외. 학원 봐주세요 5 지역 2016/05/12 1,419
556826 두텁떡 내일까지 두면 딱딱해질까요~ 1 2016/05/12 785
556825 비타민 보고 궁금 2016/05/12 680
556824 친척이 음식점 오픈해서 며칠가서 도와주고있는데요 3 음식점 2016/05/12 2,468
556823 현장르포 동행 예전에 출연했던 삼형제들 7 봉관이네 삼.. 2016/05/12 18,103
556822 영어학원 비싼데 성적도 안나오고 7 고딩1 2016/05/12 2,632
556821 명동가는데.. 먹거리있는곳 알려주세요. 8 ... 2016/05/12 1,867
556820 부들부들 내 연기 어.. 2016/05/12 767
556819 음악 좀 찾아주세요. 3 파티 2016/05/12 797
556818 엑셀고수분들 어떤함수 써야하는지좀 알려주세요 2 급해요 2016/05/12 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