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질문]지역 난방에서 사는데 난방비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하는데요

난방비 조회수 : 2,388
작성일 : 2016-01-20 23:20:35
지역난방 아파트에서 살고 있습니다.
관리사무소에서 말하길
보일러를 겨울내내 절대 끄지 말고 계속 켜 놓는 게 난방비 줄이는 거라고 합니다.
다만 온도 조절을 하라고 하네요.
외출할 때는 좀 낮춰놓고 집에 있을 때는 높여놓고.
그런데 24시간 안 끄는 게 정말 난방비를 줄이는 게 맞나요?

그리고 관리사무소에서는 이런 방법을 알려줬어요.
만약 방 온도 20-21도 정도에서 생활하는 사람이라면 
난방온도를 그 보다 더 높여 놓으라는 겁니다.
예를 들어 25도 정도로 올려 놓으라는 거죠.
그러면 실제 방 온도는 24-25도 정도까지 올라갈 거랍니다.
그렇게 한 후 난방온도를 20도 정도로 낮추라는 겁니다.
그러면 실제 온도가 20도 밑으로 떨어져야 보일러가 가동되기 시작하는데
왠만해서는 방 온도가 25도에서 19도까지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20도 이상의 기온을 유지하면서 보일러는 작동이 안 되기 때문에 난방비 절약을
많이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거 맞는 말일까요?
IP : 121.171.xxx.6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일러회사에
    '16.1.20 11:44 PM (58.143.xxx.78)

    문의를 해보세요.
    린나이중에는 난방 꺼도 자체로 최소한 돌아가게
    되있는 것도 있고 모델마다 기능이 달라요.

  • 2.
    '16.1.21 12:00 AM (110.11.xxx.30)

    맞아요 그렇게 하고 사는데
    난방비 지금까지 6만원.8만원 나왔어요
    11.12월 요금이고 1월은 오늘까지 5만원 썼네요
    대략 계량기숫자 1이 천원정도 해요
    아침마다 숫자 체크해서 적어두거든요
    48평이고 열병합이에요
    실내온도는 늘 22도 23도 되요
    난방은 끄지 않고 외출때는 희망온도 18도로 해두고
    저녁에 들어와서 희망온도를 24도 25도로 해서
    두세시간 돌아가게 해요
    자기전에 다시 희망온도 20도 정도로 하고 자구요

  • 3. ..
    '16.1.21 12:09 AM (175.223.xxx.36) - 삭제된댓글

    난방을 끈다는건 아예 전원을 off시키는거예요. 그렇게 하면 온도를 다시 올리는데 많은 열이 필요하다해요.
    저도 지역난방인데 보통 22-23도 정도의 온도라 난방 올리고 싶으면 25도로 맞췄다 두어시간후 따뜻해지면 22도로 내려요.

  • 4. ...
    '16.1.21 12:27 AM (175.252.xxx.139) - 삭제된댓글

    저는 지역 난방. 오래된 아파트라 온도기가 없고, 벨브로 조절해요. 닫으면 계량기 안 돌아가서 요금 안 나오고 열면 계량기 돌아가서 요금 나와요. 밤에만 벨브 조금만 여는 게 난방비 제일 절약 되더라고요. 온도 조절기로 친다면 낮은 온도로 잠깐씩 켜는 게 난방비 절약되지 않을까요?

  • 5. 세상이치 참 묘해요...
    '16.1.21 8:59 AM (218.234.xxx.133)

    에어컨도 그렇고 보일러도 그렇게 한번에 기온을 확 낮추거나 확 올리려면 더 많은 힘(전기료)이 필요한 거 같아요.
    한여름에 에어컨도 참고 안틀다가 한낮에 18도로 틀어놓는 것보다 아침 선선할 때부터 28~29도에 맞춰 틀어놓으면 하루내내 시원하게 지내면서도 에어컨 별로 안돌아가고 전기료도 덜 나오고요.

    그게 사람한테 대입해보면 체중관리나 피부관리, 나아가 건강관리도 마찬가지거든요. 지금 꾸준히 해둬야 좀 나빠져도 금방 회복이 되고, 아주 망가지면 다시 제자리 돌아오는 데 큰 수고와 시간을 요구하죠.

  • 6. 오 오
    '16.1.21 10:05 AM (121.200.xxx.192)

    지역난방 기억해야겠어요

  • 7. 글쿤요
    '16.1.21 10:59 AM (182.222.xxx.32)

    열량계를 체크해 봐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2149 청소짱 잘 쓰고 계신가요? 20 청소짱 2016/05/30 4,214
562148 제주 협재쪽 게스트하우스 1 메이 2016/05/30 1,288
562147 외국도 습관적으로 차타면서 빵빵거리고 심하나요? 28 빵빵 2016/05/30 2,042
562146 10살8살 형제 해외여행..어디가 좋을까요 10 ㅁ시 2016/05/30 2,050
562145 카페 있는데 누가 머리 아이롱 말고 있어요. 14 나거티브 2016/05/30 3,346
562144 김밥 김밥 3 2016/05/30 1,611
562143 자연주의? 모기퇴치법 없을까요? 1 ... 2016/05/30 732
562142 학교에서는 오존주의보 발령 내려도 운동장서 체육활동 3 하네요 2016/05/30 931
562141 소개시켜준 친구가 속상할까요? 5 ㅇㅇ 2016/05/30 1,686
562140 주말에 그냥 서울에 있어도 여행온 것처럼 지내면 여행온거 같네요.. 2 음음 2016/05/30 1,608
562139 풍수라는게 진짜 있는걸까요? 9 풍수 2016/05/30 3,914
562138 운동화 좀 큰 거 사서 키높이깔창 깔까요? 5 high 2016/05/30 1,867
562137 엄마가 일방적으로 옷을 사서 입으라고 2 ㅇㅇ 2016/05/30 1,343
562136 멸치젓 담그는 생멸치는 요새 얼마쯤 하나요? 2 멸치젓담기 2016/05/30 958
562135 전복죽이 자꾸 밥처럼되는데 도와주세요 7 호야 2016/05/30 1,246
562134 태블릿이 갑자기 꺼져 버리네요..ㅠㅠ 갑갑황당 2016/05/30 533
562133 요즘도 이력서 호주란에 남편이라고 쓰는건가요..? 4 2016/05/30 2,763
562132 위안부 재단 준비위 발족, 위원장은 김태현 교수 3 ... 2016/05/30 697
562131 에휴.. 미세먼지와 두드러기. 1 metal 2016/05/30 1,508
562130 나이 40에 시댁에서 눈물을 보인다면 24 ㅠㅠ 2016/05/30 6,093
562129 다슬기 넣은 아욱된장국 맛있게 하는 비결 있나요 5 Mm 2016/05/30 1,098
562128 초등 아이 폰 ... 1 제제 2016/05/30 564
562127 세탁기 문의요 1 df 2016/05/30 593
562126 정신줄놓고 먹고난후 16 다이어트 중.. 2016/05/30 4,199
562125 급질문 박력밀가루로 수제비해도 될까요 1 저녁 2016/05/30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