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제자 손석희의 앵커브리핑입니다.

앵커브리핑 조회수 : 1,754
작성일 : 2016-01-20 06:42:48
http://news.jtbc.joins.com/html/477/NB11154477.html

[앵커브리핑] '누구를 위하여 종(방울)은 울리나'
뉴스룸 앵커브리핑을 시작합니다. 

엄이도령(掩耳盜鈴)
귀를 가리고 방울을 훔친다. 

자신에게 들리지 않는다고 남도 모르는 줄 아는 것 같은 어리석음. 즉 남들은 이미 다 알고 있는데도 남을 속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마치 눈 속에 머리를 감추면 적이 나를 찾지 못할 것이라고 여기는 겨울 숲 속, 꿩의 어리석음과도 같습니다.

방울소리가 울린 곳은 국회입니다.

어제(18일) 새누리당이 단독으로 운영위원회를 열어 국회법, 일명 국회선진화법 개정안을 상정했다가 단 4분 만에 '셀프 부결'시켰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상임위에서 부결된 안건은 국회의원 30명의 요구가 있을 때 본회의에 부의할 수 있다는 국회법 조항을 이용하겠다는 계산이었습니다.

국회선진화법. 야당의 동의 없이 여당 단독으로 법안처리가 어렵도록 막는 법안이죠.

몸싸움과 고성이 난무하던, 그래서 동물국회라고 불렸던 지난 국회에서 지금의 여당이 주도해 달아놓은 방울입니다.

그러나 국회선진화법에 이른바 '민생법안'들이 발목 잡혔다고 여긴 여당은 그 방울을 떼어놓고 싶었고, 결국 그 방울은 정치권을 요란하게 울리고 있습니다.

일면 이해가 가는 측면도 있습니다. 법안에 대한 각자의 주장이 격렬하게 부딪힐 때 여당의 입장에선 국회선진화법에 묶인 경우가 종종 있었으니까요.

물론 국회가 정말 선진화법에 묶여 아무것도 못 한 식물국회였느냐에는 이견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원래 정부여당의 경제활성화 법안 가운데 90퍼센트를 이미 통과시켜줬는데 추가로 법안이 나오면서 막혀있을 뿐이라는 것이 야당의 주장이지요. 여당은 여당대로 핵심법안이 막혀있으니 뚫어야 한다는 절박함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돌아보면 국회선진화법이 생겼다는 것 자체가 우리 국회의 후진성을 반증해주는 것이었습니다. 말 그대로 오죽하면 그런 법이 생겼을까.

그 자신이 가장 앞서가고 모범이 돼야 할 국회가 자신들이 만든 법에 의해서야 겨우 선진화된다는 아이러니. 여기에는 지금의 야당도 당연히 책임이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그 법이 없었던 때로 다시 돌아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이젠 그 법이 필요 없을 만큼 우리 국회는 이른바 선진화됐다는 것인가.

하지만 그 법을 다시 되돌리기 위해 또다시 꼼수가 동원되는 것만 봐도 선진화는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이 드시지는 않는지요. 

자신들은 귀를 막아 안 들리는지 모르지만 이 엄동설한에 온 세상에 울려 퍼지는 방울소리는 무엇인가.

국회가 답답하다며 대통령까지 장외로 나선 2016년의 대한민국.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IP : 222.233.xxx.2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bluebell
    '16.1.20 7:32 AM (210.178.xxx.104)

    고맙습니다~

  • 2. 어제
    '16.1.20 7:49 AM (49.1.xxx.31) - 삭제된댓글

    분명히 국회선진화 법이 지금의 여당..새누리당..이 발의했던 법안 이라고 언급하는걸 들었는데....

  • 3. ...
    '16.1.20 7:56 AM (1.241.xxx.187)

    바른 언론의 기능을 손석희님이 해주셔서
    정말 다행입니다.

  • 4. ...
    '16.1.20 8:39 AM (66.249.xxx.208)

    고맙습니다

  • 5. 새누리지들이
    '16.1.20 8:51 AM (222.239.xxx.32)

    통과시켜놓고 없애겠단거에요??

  • 6. 언제나
    '16.1.20 11:48 AM (220.121.xxx.167)

    손석희님이 날리는 멘트는 한마디 한마디가 날카롭고 정곡을 찌릅니다. 사이다같은 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1895 " 모욕감 느꼈다 " 출근길 버스 막고 &qu.. 2 ........ 2016/05/30 1,648
561894 치아가 그래도 많이 하얗게 되었어요. 4 gg 2016/05/30 5,320
561893 피부를 위해 몇시 취침 몇시 기상하세요? 3 자자 2016/05/30 1,694
561892 질문) 디마프 6회, 신구가 사위 찾아갔을때 7 저화질이라 2016/05/30 3,979
561891 대청소 하면서 집안 물품 버릴려고 하는데 7 버리기 2016/05/30 2,712
561890 미국맘님들 셔츠보는법 알려 주세요. 2 미국옷사이즈.. 2016/05/30 994
561889 중딩 아들때문에 미치겠습니다 62 사춘기 2016/05/30 14,967
561888 초행길 삼양목장 운전 문의 7 강릉여행 2016/05/30 1,173
561887 오바마.. 150m 옆 한국인 위령비는 지나쳤다 21 미국원폭 2016/05/30 2,396
561886 역치 낮은 남편, 어떻게 공감하세요? ㅠㅠ 42 SJ 2016/05/30 15,876
561885 강서힐스테이트로 7 더불어 2016/05/29 1,932
561884 해운대 파라다이스 근처 잠만잘 숙소 부탁드려요 5 ... 2016/05/29 1,252
561883 시부모님 이혼한 것처럼 살겠다는데요 74 에디 2016/05/29 16,736
561882 외며늘은 멘탈이 강해야함 ᆢ 18 Wt 2016/05/29 5,331
561881 고승덕 딸, 캔디 고, 멋진 사람이네요. 9 아... 2016/05/29 4,946
561880 디마프 콜라텍 장면 어떻게 보셨어요? 16 000 2016/05/29 5,572
561879 미국은 광주 5.18과 제주 4.3에 사과해야 한다 1 체로키파일 2016/05/29 684
561878 미세먼지 적은 곳이 어디일까요? 28 두통 2016/05/29 12,940
561877 생리대살돈도없어요- 저소득층가정 청소년들의 말할수없는고백 7 집배원 2016/05/29 2,306
561876 지하철 안전문 사고로 사망한 직원이 19살 이었대요 23 .... 2016/05/29 6,029
561875 살면서 생기는 크고 작은 상처 4 2016/05/29 1,781
561874 박찬욱 감독 몇년새 흰머리가 많아졌네요 2 흰머리희끗 2016/05/29 1,772
561873 고 3아이가 요즘 8 방법이 2016/05/29 2,646
561872 길음 뉴타운과 삼선SK뷰중 아이 키우기 어디가 좋을까요? 8 케로로 2016/05/29 2,167
561871 직장 생활 11년차... 이제 끝이 보이는 것 같아요... 5 ... 2016/05/29 3,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