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감정조절 안되는 시어머니와의 갈등

.. 조회수 : 2,590
작성일 : 2016-01-19 13:34:20

남편은 외아들이며 어머니 성향은 본인 힘든걸 싫어하셔서 세상에서 가장 힘든게 육아라 말씀하시는 분입니다.

그래서인지 남편과 어머니는 애착형성이 잘못 되었고 늘 결과 중심적인 양육과 잔소리와 함께 남편은 성장하여 어머니에 대한 애정이 없습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남편은 공부를 잘해 부모님 양육 기준에서는 만족스럽게 성장했다고 말씀하십니다.

화목한 가정에서 자란 저는 결혼 초 남편 가정또한 이럴것이라는 착각과 함께 늘 잘해드리려고 노렸했습니다. 시댁 방문도 거의 매주하고 전화도 주 1회이상 드리며 화목함을 위해 나또한 노력해야 한다 생각해서 최선을 다했습니다.그런데 어느 순간 부터 제가 이렇게 노력하는 부분을 당연히 본인의 권리로 생각하며 본인이 우위에 있다 생각하고 저를 대함을 깨닫게 되어 저또한 마음이 조금씩 멀어졌습니다. 특히 본인 감정조절을 잘 못해 서운한 점(대부분이 전화 문제. 방문문제)이 있으면 쌓아놓았다가 한번에 터뜨리는데 처음에는 감당이 안되더군요. 알고보니 남편은 어린시절부터 어머니의 이러한 짜증과 본인이 기분이 안좋으면 모든 말에 트집을 잡는 부분에 익숙해 있어서  그냥 영혼없이 죄송해요 하고 넘겨왔다 합니다. 남편은 어머니의 이런부분이 고쳐지지 않기에 어머니가 전화로 쏟아내도 듣지 않고 있다가 죄송해요라고 한다고 합니다. 정말 처음에는 저도 이 부분이 상당히 이상했는데 이제는 저 또한 그냥 이렇게 해야 하는게 맞는 것인가 의문이 듭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며 둘째 출산 후 시어머니의 그런 행동이 더 이해가 안가고 같은 여자로 이해하려 노력해도 한계를 느꼈습니다. 시아버지는 인간적으로 존경할 부분이 많습니다. 물론 권위적인 부분이 없지 않지만 늘 상대를 배려하심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버지가 유독 어머니에게는 제 앞에서도 짜증을 많이 내십니다. 아버지 성향자체가 예민하고 깐깐한 부분이 있으신데 아버지가 1년전 사업을 그만 두시면서 어머니가 자유롭지 않게 되자, 힘든걸 잘 못참아 내는 어머니는 공항장애까지는 아니지만 비슷한 증세까지 앓게 되셨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짜증을 참았다가 일년에 한두번씩 며느리와 아들에게 다시 쏟아낸다는 점입니다. 예전부터 느꼈지만 본인이 불편한 감정을 자신이 만만한 상대에게 쏟아내며, 나중에 만나면 미안해서인지 언제그랬냐는 듯이 아무렇지 않게 또 행동합니다. 그야말로 자식과 며느리가 감정의 쓰레기통인거죠.

문제의 발단은 두달 전 아버지가 어깨가 아프시다는 소리를 남편에게 전해 듣고 이주만에 전화를 드렸습니다. 오랜만에 전화를 해서 목소리가 안좋을 것이라는 것을 예상했고 역시나 냉랭하게 전화를 받으시더군요. 밖이시라 전화는 급마무리 되었고, 아이들 저녁준비하는데 다시 전화가 왔습니다. 또 다시 저는 아버지 어깨가 많이 아프셔서 불편하시겠다라는 식으로 말했고 전화는 마무리 되는듯 싶었는데, 갑자기 어머니께서 내가 한마디  하겠다. 어른한테 아프다라는 표현이 뭐냐, 경어는 어디에 쓰라고 있는 것이냐 라며 쏘아 붙이시더라구요.. 정말 황당했지만 처음에는 제가 잘못 말씀 드린 줄 알고 네 알겠습니다. 죄송하다 하고 전화를 끊었습니다. 사전을 찾아보니 어른에게 몸의 일부는 편찮으시다가 아니라 아프시다가 적절한 표현이라 표현 자체로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설사 제 표현이 잘못 되었다 하더라도 걱정되어 전화한 며느리에게 쏘아 붙이듯이 무안을 주고 싶으실까요?

그 후로 저는 지금까지 쌓였던 감정의 정점을 찍어 그냥 어머니에 대한 인간적인 감정도 많이 사라졌습니다. 남편또한 이제 전화하지 말라하고 본인이 다 하겠다고 결정해서 그렇게 해 왔습니다. 그러던 중 어머니는 남편을 따로 주말에 불러 본인이 서운한걸 또 한번 아들에게 쏟아내셨어요. 다른집 아들은 매일 전화한다 등의 비교부터 제 큰 아들이 어릴때 부터 오감이 모두 발달하여 아주 예민한 아이여서 키우는데 고생이 많았는데 걔는 누굴닮아 그러냐 본인 아들은 안그랬는데..(큰아들 기질은 남편을 닮았습니다. 남편도 인정한 부분이며 저는 예민과는 거리가 먼 성격입니다.) 또한 왜 걔(본인 손주)는 왜이렇게 안먹냐 , 걔는 왜그리 까다롭냐등 큰 손주에 대해 안좋은 부분만을 계속 이야기 하셨다 합니다. 저는 이 부분에 다시 한번 서운했습니다. 부족한 자식도 자기 자식인데, 자식보다 더 예쁘다는 손주에 대해 부정적인 이야기만 했다는 부분이 이해가지 않았습니다. 기질적으로 까다로운 아이지만 정말 사랑과 정성으로 키워 현재 유치원생인데 엘리베이터에서 만나는 어른들에게는 인사도 먼저 잘 하고 친구들과도 잘 지내는 사랑스러운 아이입니다.

남편이 시댁에 다녀온 후 어머니가 원하는데로 전화는 자주 하였지만 남편도 감정이 더 멀어져서 정말 형식적으로 했습니다. 식사하셨냐 별일없다라고 이야기 하고, 아이들 이야기 하면 또 뭐 트집잡으실까봐 전혀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제가 글을 쓰면서도 어떻게 이렇게 일반적이지 않은 모자관계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네요.

그러던 중 새해를 맞아 남편이 스피커 폰으로 그냥 같이 전화 한번 드리자 하여 아이들과 저또한 같이 인사 드리니 새해에는 저보고 전화좀 자주 하라고 하셨고, 대답은 했지만 제 마음이 풀리지 않은 상태라서 도저히 손이 안 움직이더라구요. 시댁 방문은 한달 또는 삼주에 한번 정도하는데 이제는 만나도 묻는 말에만 대답하고 전혀 이야기를 하지 않으니 정말 어색합니다. 특히 큰 아이도 할머니가 그러는 부분을 눈치채고 제가 많이 울때 옆에 있어서 시댁에 가면 정말 시키는 대로 다 하는 눈치보는 아이로 변합니다. 이렇게 어색한 집안 분위기를 저는 참지 못하는 성격인데 어머니에 대한 서운함이 너무 커지니 그냥 어색함이 편안한 상태로 느껴집니다.

시아버지는 어깨 수술을 얼마전에 하시게 되고, 저는 그래도 시아버지가 진심으로 걱정이 되어 전화를 드렸고 역시나 유쾌하게 받아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수술을 하게 되셔서 평일 입원을 하게 되었는데 남편이 어머니께 매일 전화를 드리면 어머니는 역시나 신경질적으로 모든 질문에 대답하셔서 남편또한 전화하기가 힘들다고 저에게 고백하더라구요.(예를들어 식사하셨냐 물어보면 이 상황에 밥이 들어가냐, 병원이세요 라고 물으면 지금 집이겠냐고 신경질적으로 대답하심)

수술을 무사히 마치셨고 마친 다음날 남편이 어머니에게 전화하니 왜 걔(며느리)는 전화를 안하냐라고 화를 내셔 남편이 본인이 하지 말라고 했다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입원기간은 일주일이지만 남편 말에 의하면 시어머니가 본인 힘든걸 못참는 성격이라 지금 자기 힘든걸 표현하는 거라 말하더라구요.

수술 이틀 뒤 토요일이라서 아이들을 데리고 병문안을 갔든데 시어머니도 많이 지친 상황이라 안타까움이 컸지만 어머니는 저를 쳐다도 안보시더라구요. 저도 인사는 드렸지만 뭐라 말씀드리기도 어색한 상황이라 아이들 챙기고 아버지 옆에 있다 돌아왔습니다. 주말이 지나고 월요일날 저녁에 어머니가 남편에게 전화하여 40분 넘게 쏟아 내셨다고 합니다. 대화의 요지는 며느리에게 전화 하라해라 넌 하지 마라 이겁니다. 왜 걔는 전화를 안하냐 혹시 내가 어깨아프다고 표현한거 뭐라 해서 그러냐 등 아들은 전화 안해도 되니 며느리한테 전화하라 해라. 그리고 왜 토요일날 혼자와서 나 집에 가게 바꿔주지 왜 애들을 다 데리고 왔냐(실제로 저희 계획은 어머니 집에가서 쉬시라 하고 저는 아이들과 집에 다시 오던지 주변 키즈카페에서 놀리던지 였는데 어머니는 이제 아버지 통증 없으니 그냥 돌아가라 하셔서 돌아온거고 만약 제가 문병을 안갔다면  그 부분을 뭐라 하셨을게 분명합니다.) 우리는 왜 소통이 안되냐. 왜 너희는 언제부터 묻는 말에만 대답하냐 등등 쏟아 냈고 피하고 싶은 남편은 죄송합니다. 전화는 제가 하지 말라 했습니다라고 다시 설명 했으면 저희가 부족하지만 손주들 예쁘게 봐 달라는 표현은 했다고 합니다.

제가 어머니에 대한 감정이 이 상태까지가 아니라면 저는 분명 충분히 어머니가 힘든 감정을 받아주고 아이가 어려서 간병을 도와드리지 못하는 부분을 죄송스러워 하며 힘든상황이니 전화도 자주 드렸겠죠. 남편말에 의하면 어머니가 제가 아랫사람이라 쉽게 대해도 되는 사람이라 착각하고 살았던것 같은데 이제 제가 받아주지 않으니 강제적으로 저에게 전화를 강요하는 것 같다고 합니다. 저는 자존감도 높은 편이라 이 부분에 상당히 당황스럽습니다.

애착형성이 안된 어린시절의 남편을 진정으로 안타깝게 생각하고 배우자인 게가 품어줘야 된다 생각하고 사랑 가득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살고 있습니다. 가정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시어머니가 이렇게 행동하시니 정말 갑갑합니다. 남편이 지금까지 행동해왔던 것 처럼 저 또한 영혼없이 안부전화를 드려야 하는걸까요? 전화야 물론 드리는 건 문제되지 않지만 또 시간이 지나면 전화로 정서적 냉대 및 제가 편안하게 느껴지면 한번씩 쏟아내실 부분을 며느리로서 그냥 감당해야 하는 건가요? 지혜로운 82님들께 의견 듣고싶습니다.

  

IP : 222.234.xxx.17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니요
    '16.1.19 1:46 PM (220.118.xxx.68)

    받아주지마세요 정신과가서 상담받고 약을 먹던가 하셔야지 한창 애키우고 사느라 바쁜 자식들 괴롭힌다는게 말이 되나요 최대한 멀리 하시고 서로 독립이 되어야되요

  • 2. 죽을때까지
    '16.1.19 1:55 PM (123.199.xxx.216)

    받아 내실 자신 있으시면
    응대 하시고

    마음의 병이 들꺼 같으면
    차단하고 사셔야지요.

    효도와 관련되어서
    날아오는 번개는 누가 맞을지 곰곰히 생각해보면

    시어른이 먼저 맞고 다음 차순이 자녀이니

    너무 무서워마세요.
    날아오는 번개가 무섭다면
    이땅의 자식을 학대한부모부터 맞아야 옳다고 여깁니다.

  • 3. 제가
    '16.1.19 1:58 PM (39.118.xxx.118) - 삭제된댓글

    지혜는 없지만 경험으로 느낀건
    며느리가 들어와 가풍이 바뀐다는 건 웬만해선 어려운 일이라는 겁니다.
    그집이 수십년 그렇게 살아온 집이고 그집 안주인도 수십년 그렇게 살았어요.
    원글님이 결혼해서 그집 며느리가 되어 내가 잘하면 훈훈하고, 화목하겠구나.. 그건 착각이더라구요.
    시어머니가 그렇게 행동하는 걸 이해하려고도 받아주려고도 하지말고 그냥 지켜보세요.
    불통인 사람 입에서 우리는 왜 소통이 안되냐니.. 얼마나 아이러니인가요.
    정서적 냉대라는 건 사실 내가 받지 않으면 허공의 메아리일 뿐이에요. 내공이 요구되죠.
    어쨌거나 그런 시어머니 날이 가면 갈수록 심해지지 정도가 줄지는 않습니다.
    앞으로 안부전화는 남편더러 일임하라고 하세요.

  • 4. 저도 받아주지마세요
    '16.1.19 2:07 PM (121.145.xxx.234)

    비슷한건 아니지만 저희 시어머니도 본인 기분이 세상의 중심이십니다
    남의집아들은 남의집 딸들은 모든비교로;;;;

    아침에 출근하는길에 아들이 전화해도 오랜만이라면;;;방갑다가아니라 너네끼리 잘 살고있었냐? 이십니다
    기분안좋을땐 잘못했다간 딱 새우등 터진다는 말이;;;
    저는 정말 적응하기 힘들었는데 본인 자식들은 원래 엄마가 그러니로;;;;이해하고 원글님남편처럼 감정없이 그냥저냥 형식적이더라구요

    저는 근데 받아들여지지 않고 이런일들로 매번 남편과 다투다보니 남편이 잘못도 아니고;;;제가 제감정 컨트롤해야겠다싶어서 연락을 아예 안드렸습니다
    연락자주해라자주해라란 말씀에 네네 하다가 한번 폭발하셔서 왜 그러냐고하시고 온가족앞에서
    그때그때 상황을 내가 기분나빳던 어머님 말씀을 말했더니 본인성격을 이해하라고 원래 그렇다고 하시더라구요
    저도 원래 성격이 이러니 어머님이 자식이라생각하고 이해하시라고 저도 원래 이렇다고
    우리 원래 이런사람끼리 그냥 부디치지 말자고 했네요;;;

    저런성향이신분들은;;;그냥 네네 하면 진짜 장난아닙니다
    나중엔 본인이 왜 이렇게 화를내는지 원래 이런건지 본인도 모를껍니다

    저희어머님은 인제 저는 안된다는거 알게됐습니다 저한테만은 다른자식들은 모르겠지만 저한테만은 그냥 아무런 말씀안하십니다
    올바르지 않는건 안된다는게 꼭 어린아이한테만 해당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5. 경험자
    '16.1.19 2:17 PM (39.118.xxx.147)

    남편분이 왜그리 죄송하다고만 하시는지요.
    자기 엄마 스타일을 아니까 귀찮아서 그냥 죄송하다고만 하는 건데,
    그러다보면 정작 본인 가족이 괴로워져요.
    때되면 남편분이 한번 뒤집어 엎을 정도로
    단호하게 엄마에게 그러시지 말라고 하셔야 할듯..
    며느리가 하면 효과도 없고 더 나빠져요.

  • 6. 원글
    '16.1.19 2:27 PM (175.127.xxx.253)

    남편의 죄송함은 정말 의미없는 죄송함이에요. 성장과정동안 반복되었고 반항해 봤지만 변화하지 않고 이야기 길어지는게 싫어서라고 합니다. 저도 시간이 지나며 답이 없기에 회피하는 남편 태도도 이해는 가지만 가끔은 답답하기도 합니다.
    남편에게 이 글 보여주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 7. ...
    '16.1.19 2:37 PM (183.98.xxx.95)

    남편 분이 현명한겁니다
    영혼없는 죄송합니다로 길게 갈거 짧게 끝나거든요
    저도 어른들이 변하기 힘들다고 생각해요
    자기 중심적인 사고가 제알 힘들어요
    세상에서 자기만 제일 불쌍하구 자식들에게 대접못받고 있다고 불만이고..
    원글남 힘드시겠어요

  • 8. 그집이
    '16.1.19 2:37 PM (39.118.xxx.118) - 삭제된댓글

    서로 폭탄 돌리면서 살아온 세월이에요.
    아버지가 어머니한테 넘기면 그걸 받아 또 아들한테 넘기는 식으로.
    원글님은 거기 끼지 마세요. 자꾸 너도 끼라고 그러는데, 그냥 안끼면 되는 거예요.
    세분이서 계속 하세요. 응원할게요. 그럼 됩니다.
    남편분은 원글님과 아이들로 구성된 자신만의 가정에서 상당히 힐링받으며 살고 있을 거예요.
    뭐가 잘못됐는지 자신도 이제 알만큼 알거예요.

  • 9. 남편이
    '16.1.19 2:40 PM (220.76.xxx.30)

    나는 60후반 시어머니요 우리는 딸도 없어요 원글님이 부당하게 당하는 일이라면 남편이 강력하게
    시어머니를 케어해야해요 안변한다고 며느리와 갈등을 일으키면 집구석이 안되고 며느리는 홧병으로
    병원다니고 아이들 교육도 잘안돼요 원글님 남편이 나서서 집안을 다스려야지 시어머니 극성인집치고
    잘돌아가는집 없어요 요즘은 보고 듣는것도 많은데 자기주장만하고 아직도 며느리를 하수로보고
    깔아뭉개도되는 사람으로알면 가족이 서로 불행해집니다 서로배려하고 살아야지요
    정이나안되면 남편이 헐크로변하여 시어머니와 안보고살수밖에 없이 강하게 나가세요

  • 10. 원글
    '16.1.20 4:16 PM (175.127.xxx.253)

    모두 바쁘신 와중에 조언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비록 익명이지만 제 이야기를 들어주시고 조언해주신점 잊지않고 현명하고 즐겁게 살아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2626 제목도 모르고 보는 일일 드라마 2 .. 2016/01/27 853
522625 통관시 문의드려요 나나30 2016/01/27 294
522624 목욕탕 세신언니한테 무시당했어요ㅜㅜ 44 ㅜㅜ 2016/01/27 31,202
522623 세월호652일)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분들과 만나게 되시기를! 10 bluebe.. 2016/01/27 396
522622 대학선택 41 비비 2016/01/27 3,791
522621 무슨 자격증 만들기가 돈이 이렇게 많이 드나요??ㅜㅜ 3 We 2016/01/27 1,663
522620 살아보니.....인생에서 가장 재미있는 게 뭐던가요? 69 ㅎㅎㅎ 2016/01/27 20,988
522619 정부출연연구소 다니는 남자 8 ........ 2016/01/27 2,714
522618 더블웨어를 능가하는 디올 파운데이션 있을까요? 1 ... 2016/01/27 1,959
522617 애들 중고딩되니 7 ㅇㅇ 2016/01/27 2,342
522616 최근 광명 이케아 다녀오신 분~ 7 이것저것 2016/01/27 2,201
522615 노인대상 글쓰기 강좌가 있나요? 1 2016/01/27 524
522614 걱정말아요 그대..라는 노래 너무 좋아요.. 23 이적 2016/01/27 4,234
522613 초록우산 재단 괜찮나요? 3 82쿡스 2016/01/27 1,052
522612 갱년기 좋은식품 알려주세요 7 ㅇㅇ 2016/01/27 2,595
522611 여자들 약속 하루전날 취소 진짜 미치겠네요 12 ... 2016/01/27 15,058
522610 세련된 예쁜 털모자 어디서 살수 있을까요 4 겨울 2016/01/27 1,070
522609 홍차 종류 좀 알려주세요~~ 10 홍차 2016/01/27 1,712
522608 응팔 뒷북중 입니다. 16 . . 2016/01/27 1,746
522607 롯데카드 설계사 계시나요 마포구 2016/01/27 684
522606 손혜원 홍보위원장의 페북글 33 잘보신듯 2016/01/27 2,535
522605 아직도 수시 추합이 돌고있나요? 3 .. 2016/01/27 2,289
522604 이사 한번 하는데 돈이 많이 드네요. 2 .. 2016/01/27 2,719
522603 사람사귀기 어렵네요 3 아이고 2016/01/27 1,640
522602 저만 인생이 고단한걸까요‥ 22 루비 2016/01/27 7,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