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자가 교수가 된다는건

조회수 : 2,947
작성일 : 2016-01-18 11:47:24

언젠가 여럿이 모였을때

거기 모임에 아주 똘똘하고 공부잘하는

서성한 대학에 다니는 여대생이

자기 꿈이 교수라고..

그러면서 자기 대학 홈피에 교수들 쫙 있는 사진 보는데

옆에서 나이많은 언니하나가

한숨쉬며 작은 소리로..


거기 여자가 있나보세요.....


정말로 딱한분 여자분이 계시고

대부분 압도적으로 남성 교수들...


비율이 100명중 6명 비율..

전공이 상경계라서 그런건지...


누군가가 여자가 주류사회에서 남성과 겨루어

동등한 위치를 차지하는경우


운이 억세게 좋던게

아니면 같은 경쟁자 남자보다 월등해야 한다고

못따라오게...


아마 거기 홈피에 계신 여교수분들

임용당시 경쟁자 남성분들보다

더 뛰어나지 않았을까 추측을..

아님 천운이 걸렸거나...





IP : 58.123.xxx.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현직이지만
    '16.1.18 12:08 PM (1.244.xxx.40) - 삭제된댓글

    저는 꿈이 교수인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어요. 그저 정말 단순하게 공부를 더 하고 싶었고, 또 겁이 많아서 사회에 진출할 준비가 덜 되어 있다고 생각해서 대학원에 진학했을 뿐이죠. 돈 많은 집 딸도 아니고, 오히려 그 반대였었는데, 항상 공부하는 딸자식을 최고라며 밀어주시던 아버지 덕분이었죠. 현실은 생활비와 학비를 동시에 벌어야했기에, 대학원에서는 수업만 열심히 들었고, 지도교수님 프로젝트는 전혀 도울 수가 없었어요. 한 마디로 열외가 되어버렸죠. 선후배도 못 챙기고, 모임도 못 나가고, 그래도 상관없었어요. 어차피 공부만 하러 진학한 거라서, 그거로 만족하고 주로 현장에서 프로젝트에 뛰어들어 경력을 쌓았어요. 박사논문을 썼지만, 학계풍토에 너무 벗어나는 주제라며 10년 뒤에나 다시 내보라고 해서, 마음 접고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종종 특강도 하면서 신나게 살았죠. 그러다 6년쯤 지나자 지도교수님이 논문주제가 그 무렵 트렌드와 잘 맞는다고 하셔서 묵혀놓은 논문도 6년만에 통과되었고요. 저보다 아버지가 참 좋아하셨어요. 그러다 30대 중반, 많은 일과 사람들을 만나며 사는 삶에 조금 지쳤을 때, 특강에서 만난 학생들과의 추억이 좋아서 대학에 임용지원을 했어요. 학위를 가졌으되, 현장경험이 풍부한 분을 찾더군요. 언듯 학위도 있고 경력도 있는 분이 많을 듯하지만, 정말 의외로 제 분야에서는 둘 중 하나만 가진 분들이 대부분이세요. 공부만 했거나, 작업만 했거나. 3차에 걸친 인터뷰, 영어수업, 공개수업 등 저야 워낙 현장에서 여러 사람들을 만나며 회의하고 조율하는 게 일이었던 지라, 인터뷰나 공개수업 내내 긴장보다는 즐거웠어요. 제 긴 글에서 어떤 분은 '천운'을 읽으실테고, 어떤 분은 '경쟁력'을 읽으실테지만, 저는 그냥 '닥치는 대로' 했어요. 어떤 원고나 강의나 프로젝트나 단 한 번도 거절한 적이 없었거든요. 어쩌다 보니 돈되는 일만 하며 살아서 조금은 서글펐지만, 가난한 집 딸로 태어나 한 우물만 파면서 막연히 물나올 때를 기다릴 수는 없었으니까요.

  • 2. ...
    '16.1.18 12:12 PM (183.98.xxx.95)

    윗님 축하드립니다
    꿈이 교수이면서 자신의 길에 일로매진하다가 임용되시는 분도 있고
    자기가 좋아서 하다보니 교수가 된 분도 있고 그런거죠
    길은 여러갈래라고 생각해요
    자신의 한계, 현실을 단정짓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 3. 여자교수
    '16.1.18 12:25 PM (202.30.xxx.180) - 삭제된댓글

    같은 능력을 지녔다고 가정했을 때 여자가 남자보다 교수되기 어려운 건 사실이죠.
    되어도 더 낮은 급의 학교로 가는 일도 있고. 그래도 요즘 조금씩 나아지고 있어요.
    제가 있는 학교에서는 15%가 여교수에요. 상경계열인 저희 학과도 비슷한 비율이고요.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졸업학 학부 동창회에 가보면 저희 학번 여자 졸업생 10명 가운데 4명이 교수에요.
    오히려 남자졸업생 중 교수가 된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아요.
    그 얘기는, 그래도 학계가 일반 회사보다는 성별에 따른 차별이 "그나마" 덜하다는 뜻 아닐까요.
    어쨌든 논문이 왕창 많은 사람을 여자라는 이유로 차별하기는 쉽지 않거든요.
    회사는 (제가 회사도 꽤 다녀봐서 알아요) 평가가 정성적인 경우가 많아서
    표면적으로는 다른 이유를 대는데 실제적으로는 여자라서 당하는 차별이 많잖아요. .
    꿈을 갖고 노력하면 안 될 이유 없습니다.
    그런 자리에서 자기 꿈 이야기하는 여학생 기 꺾진 말았으면 좋겠네요.

  • 4. 여자교수
    '16.1.18 12:27 PM (202.30.xxx.180)

    같은 능력을 지녔다고 가정했을 때 여자가 남자보다 교수되기 어려운 건 사실이죠.
    되어도 더 낮은 급의 학교로 가는 일도 있고. 그래도 요즘 조금씩 나아지고 있어요.
    제가 있는 학교에서는 15%가 여교수에요. 상경계열인 저희 학과도 비슷한 비율이고요.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졸업학 학부 동창회에 가보면 저희 학번 여자 졸업생 10명 가운데 4명이 교수에요.
    오히려 남자졸업생 중 교수가 된 비율은 그렇게 높지 않아요.
    그 얘기는, 그래도 학계가 일반 회사보다는 성별에 따른 차별이 "그나마" 덜하다는 뜻 아닐까요.
    (그나마입니다. 그나마.. 제가 회사를 오래 다니다 공부를 시작해서 비교를 해보니까 그래요)
    꿈을 갖고 노력하면 안 될 이유 없습니다.
    그런 자리에서 자기 꿈 이야기하는 여학생 기 꺾진 말았으면 좋겠네

  • 5. 여자교수
    '16.1.18 12:34 PM (202.30.xxx.180)

    앗, 맨 마지막에 "요"자가 잘렸어요. 본의 아니게 반말 한 것처럼 되었네요.

  • 6. 비닐봉다리
    '16.1.18 12:57 PM (222.110.xxx.221)

    해외 교수 될수도있구요. 집에빽이있을수도

  • 7. 잘못알고 계시네요
    '16.1.18 1:52 PM (168.105.xxx.88) - 삭제된댓글

    여자교수는 뽑고싶어도 못뽑고 있는 겁니다. 서울대학교 80년대 중반만해도 상과대학 한 학번에 여자 2명뿐이었어요. 여학생들이 행정고시 재경직렬로 사무관이 되기시작한것도 90년대 중반부터지요. 2000년대 초반이후부터 경제학 전공하는 남녀성비가 반반이 됩니다. 이 학생들이 비로소 유학마치고 박사학위 받고 해외에서 연구시작했어요. 서울의 유수 경제학과에도 시간이 지나면 곧 성별을 떠나 좋은 학자로서 롤 모델이 되어줄 여자분들이 한국대학에 많이 생길거에요.

    제발 꿈이 있고 열정이 있는 딸들에게 잘 알지도 못하면서 초치는 소리 하지 맙시다. 요즘은 똑똑한 여학생들이 삼성, SK에서 주는 해외유학 장학금 받고 해외유수대학에서 박사과정 밟고 있어요. 지금 미국의 리서치 스쿨에서 활발하게 활약중인 젊은 여자학자들도 여럿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2691 아 썰전~~ 점점 재미있어지네요 9 사이다 2016/04/28 4,317
552690 왜이렇게 태아가 안클까요.???36주. 1.8키로...??? 7 태아 2016/04/28 1,907
552689 천연화장품 쓰고 얼굴에 열나면... 7 으흑 2016/04/28 1,257
552688 정신연령 어린 아이들 그대로 쭉 가나요? 1 .. 2016/04/28 1,459
552687 안믿겠지만 사실입니다 ^^ 2 다람쥐 2016/04/28 2,490
552686 린넨이 마였나요..?ㅜㅜ 27 ... 2016/04/28 15,193
552685 방충망은 왜 맨 바깥쪽에 있는거죠? 3 ㅇㅇ 2016/04/28 1,745
552684 미스터 블랙 이진욱 오늘 수트발 최고네요 24 ... 2016/04/28 3,052
552683 디자인벤처스 메이플가구 쓰시는 분 1 ?? 2016/04/28 1,725
552682 아무리 상대가 맘에 안들어도 계집애라는 단어는 쓰지맙시다.. 5 ... 2016/04/28 1,591
552681 다이어트중인데.. 2 oo 2016/04/28 1,341
552680 82에서 듣는순간 아줌마 같은 단어.... 7 아듀 2016/04/28 2,891
552679 세법이요. 세무사 사무실에 물어봐도 솔직히 모르겠어요. 8 ........ 2016/04/28 2,078
552678 세월호 인건비 50억, 박근혜 해외순방 비용 800억 6 ... 2016/04/28 1,906
552677 맞선 봤는데... 아무래도 차인거 같아요 10 .. 2016/04/28 4,500
552676 호텔침구를 사고 싶어요 3 ㅇㅇㅇ 2016/04/28 2,449
552675 송혜교 잘못없네요. 여기 왜 정정글은 안올리세요? 43 2016/04/28 5,262
552674 수도권의 범주는?? 5 ㅡㅡ 2016/04/28 932
552673 곧 장례를치뤄야하는데 상조이용 괜찮나요? 5 곧... 2016/04/28 2,133
552672 삼촌 결혼식에 어떤옷 입고 가야 할까요?^^ 7 여고생 2016/04/28 971
552671 칼슘제 먹고 저처럼 소화 안 되는 분 계신가요? 6 .. 2016/04/28 1,609
552670 40대 기혼분들..솔직히 사심이 생겨본적 있으세요(19일수도) 54 000 2016/04/28 33,563
552669 ... 17 세무서 2016/04/28 2,816
552668 스무살 페이스북 글 지워졌네요 6 편두통 2016/04/28 1,342
552667 캡틴 아메리카 보신분? 13 MilkyB.. 2016/04/28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