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보일러 가동 문의요
많은데 저희집 경우는 낮에 사람 없는 때가 많거든요.
이런 경우에도 이 방법이 좋은가요?
순간소비가 많더라도 저녁 식구들어올때 가동하는게 나을까요?
1. ..
'16.1.18 6:53 AM (1.232.xxx.128)외출기능있을면외출로 설정해놓으세요
2. 원글
'16.1.18 6:59 AM (58.140.xxx.36)윗님 고맙습니다.
3. ㅎㅎㅎ
'16.1.18 7:01 AM (180.67.xxx.84)타이머 설정해놓고 있는데
저한테는 이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것
같아요.
한시간에 5분작동법으로 해요.
오늘밤부터는 한시간에 10분으로
해놔야할 것 같아요.한파가 온다네요.4. 그림속의꿈
'16.1.18 7:10 AM (114.201.xxx.24)외출로 놓으면 너무 온도 내려가면 혼자 돌던데요.
5. 네
'16.1.18 7:14 AM (61.106.xxx.225) - 삭제된댓글외출할 때는 외출로...
집에 있을 때는 적정온도로 설정하고 그냥 두세요.
이전에는 겨울마다 여러 방법으로 보일러 가동시간을 조절하다가 올해는 처음부터 적정온도로 고정한채 사용 중인데 작년이나 재작년 이맘 때보다 가스요금이 훨씬 덜 나왔어요.
그동안 바깥 기온이 따뜻했던 이유도 있었겠죠.
적정온도로 맞춰두면 바깥 온도와 연동을 해서 보일러를 가동시켜주니 더운 날에도 쓸데없이 보일러가 돌아가는 불상사는 없는 거죠.
많이 추울 때는 더많이 돌리는게 당연하구요.6. 네
'16.1.18 7:14 AM (61.106.xxx.225)외출할 때는 외출로, 집에 있을 때는 적정온도로 설정하고 그냥 두세요.
이전에는 겨울마다 여러 방법으로 보일러 가동시간을 조절하다가 올해는 처음부터 적정온도로 고정한채 사용 중인데 작년이나 재작년 이맘 때보다 가스요금이 훨씬 덜 나왔어요.
그동안 바깥 기온이 따뜻했던 이유도 있었겠죠.
적정온도로 맞춰두면 바깥 온도와 연동을 해서 보일러를 가동시켜주니 더운 날에도 쓸데없이 보일러가 돌아가는 불상사는 없는 거죠.
많이 추울 때는 더많이 돌리는게 당연하구요.7. 원글
'16.1.18 7:25 AM (58.140.xxx.36)제가 궁금한건 집에 식구가 없는때라도 ㅡ거의 낮시간엔
없습니다ㅡ타이머건 외출기능이건 온도설정이건간에 규칙적으로 가동하는게 연료비가 적게 나오냐는건데요.^^8. ㅁㅁ
'16.1.18 7:32 A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네
그렇대요
전 퇴근후 딱 들어설때 싸늘한냉기싫어
외출모드두고 살거든요9. 네
'16.1.18 7:38 AM (61.106.xxx.225) - 삭제된댓글규칙적인 가동이 중요하다는건 실내온도를 따뜻한 채로 유지하는 편이 차가운 실내를 데우는 것보다는 연료가 덜 든다는 뜻이거든요.
실내온도가 올라가기 위해서는 공기 뿐 아니라 벽이나 천장과 바닥이라는 시멘트 육면체를 모두 데워야 가능하니까요.
그런데 외출시간이 길다면 사람도 없는데 굳이 높은 온도를 유지하며 연료를 소비할 필요가 없으니 외출기능을 사용해서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최저의 온도로 데워져 있는 시멘트 육면체를 온기를 조금이라도 유지시키려는 거죠.
외출기능으로 들어가는 연료비와 보일러를 완전히 꺼놓았다가 싸늘하게 식은 시멘트 정육면체를 다시 데우는데 필요한 연료비 중 어느쪽이 더 많이 드느냐가 문제인데....
싸늘하게 식은 시멘트를 데우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온기가 남아있는 시멘트를 데우는 편이 연료비가 적게드니 적정온도로 설절하라는 거겠죠?
외출기능 또한 외출로 설정하는 것이 보일러 동파 방지나 실내온도 유지에 도움이 되니 그런 기능이 있는 것이구요.
보일러 회사라고 그까이꺼 대~충 온도설정 시스템을 만든건 아니니까 말이죠.10. 네
'16.1.18 7:39 AM (61.106.xxx.225)규칙적인 가동이 중요하다는건 실내온도를 따뜻한 채로 유지하는 편이 차가운 실내를 데우는 것보다는 연료가 덜 든다는 뜻이거든요.
실내온도가 올라가기 위해서는 공기 뿐 아니라 벽이나 천장과 바닥이라는 시멘트 육면체를 모두 데워야 가능하니까요.
그런데 외출시간이 길다면 사람도 없는데 굳이 높은 온도를 유지하며 연료를 소비할 필요가 없으니 외출기능을 사용해서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최저의 온도로 데워져 있는 시멘트 육면체를 온기를 조금이라도 유지시키려는 거죠.
외출기능으로 들어가는 연료비와 보일러를 완전히 꺼놓았다가 싸늘하게 식은 시멘트 정육면체를 다시 데우는데 필요한 연료비 중 어느쪽이 더 많이 드느냐가 문제인데....
싸늘하게 식은 시멘트를 데우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온기가 남아있는 시멘트를 데우는 편이 연료비가 적게드니 적정온도로 설정하라는 거겠죠?
외출기능 또한 외출로 설정하는 것이 보일러 동파 방지나 실내온도 유지에 도움이 되니 그런 기능이 있는 것이구요.
보일러 회사라고 그까이꺼 대~충 온도설정 시스템을 만든건 아니니까 말이죠.11. 원글
'16.1.18 7:40 AM (58.140.xxx.36)윗님 고맙습니다^^
12. 에어컨도 마찬가지 원리..
'16.1.18 8:44 AM (218.234.xxx.133)에어컨도 마찬가지 원리인 거 같아요.
한 여름 낮에 못 참고 에어컨을 강냉으로 해서 1시간씩 끊어 돌리는 게 전기료 더 나오잖아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에어컨 제습 기능으로 돌리던가 29도로 해서 하루종일 돌리는 게 덜 나와요.
보일러도 그런 듯해요. 저 같으면 실내 온도를 13도 정도로 맞춰놓고 외출할 거 같아요.
13도 이하로 떨어지면 보일러 돌아가게요. 그 정도면 보일러 얼지 않겠죠/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557621 | 리츠칼튼결혼서 떡답례어디 5 | 답례 | 2016/05/15 | 1,800 |
557620 | (초2)중,고등학생 공부방 다녀도 될까요? 2 | 열매사랑 | 2016/05/15 | 1,421 |
557619 | 송옥숙이 사위복이 많네요 14 | 드덕이 | 2016/05/15 | 10,272 |
557618 | 나이들면 다리굵어지나요? 5 | 궁금 | 2016/05/15 | 2,695 |
557617 | 셋이 와서 2인분 꼴불견이더라구요 97 | 극혐 | 2016/05/15 | 22,963 |
557616 | 가수 조관우 연기 잘하네요 ㅋ 6 | ... | 2016/05/15 | 3,049 |
557615 | 아이가 여름에 유럽갔다가 자기 먼저 들어오겠데요..초6인데 12 | 000 | 2016/05/15 | 3,471 |
557614 | 아이가 다섯에서 연탁이 운동화 4 | .... | 2016/05/15 | 1,909 |
557613 | 문제풀이 부탁드립니다 | 정 인 | 2016/05/15 | 515 |
557612 | 쾌변 하는방법.. 흥미-- | &&.. | 2016/05/15 | 1,418 |
557611 | cac화장품 잘 아시는분이요 7 | 피부미인 | 2016/05/15 | 1,432 |
557610 | 백화점갔다가 식탁저지른후 계속고민중이예요 16 | 결정장애 | 2016/05/15 | 5,620 |
557609 | 요즘과일 뭐 드세요? 15 | 주말이간다 | 2016/05/15 | 5,687 |
557608 | 우리집 고양이는..입맛이..이상해요.. 9 | ... | 2016/05/15 | 1,891 |
557607 | 옥시 불매운동 하지마 | 옥시 | 2016/05/15 | 1,730 |
557606 | 런닝맨이 재미가 없어졌네요. 7 | sbs | 2016/05/15 | 2,851 |
557605 | 집을 샀는데 시아버지의 격노 76 | ... | 2016/05/15 | 26,357 |
557604 | 식당에서 2인이상 메뉴일때 7 | 제니 | 2016/05/15 | 2,066 |
557603 | 오해영 지루하고 유치해서 못 보겠어요 38 | ... | 2016/05/15 | 8,208 |
557602 | 여자한테 아토피 있는지 물어보면 기분 나빠할까요? 5 | 1234 | 2016/05/15 | 1,806 |
557601 | 독일 뉴스에 나온 전두환 6 | 요건또 | 2016/05/15 | 2,021 |
557600 | 전자동 커피머신이요 (급) 21 | 아기사자 | 2016/05/15 | 4,126 |
557599 | 인간 이론을 검색하는데 못찾겠어요. 2 | 이론 | 2016/05/15 | 534 |
557598 | 며칠전에 글 올렸던...(후기궁금) 12 | 궁금궁금 | 2016/05/15 | 5,765 |
557597 | 대선 때 개표 참관인들이 개표 조작을 발각할 수 없었던 이유 6 | 대통령선거 | 2016/05/15 | 1,3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