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들이도 전근대적인 관습아닌가요?

ㅇㅇㅇ 조회수 : 3,220
작성일 : 2016-01-16 23:11:50
집들이때 보통 아내요리솜씨 뽑낼기회라고하고..여자만 부엌일하잖아요
그리고 옛날 드라마같은거 보면 아내 나와서 노래시키고이런거 어휴 
ㄷㄷㄷㄷㄷㄷㄷ

없어지고있어서 좋은것같아요...
IP : 114.200.xxx.216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하
    '16.1.16 11:14 PM (175.209.xxx.160)

    요즘 누가 여자만 일하나요. 다 주문해서 먹죠. 그리고 집들이는 전세계적으로 다 해요. ㅎㅎㅎ

  • 2. ㅁㅁ
    '16.1.16 11:16 PM (84.191.xxx.248) - 삭제된댓글

    집들이는 다른 문화권에서도 많이 하는 것 같아요;; 일본은 안 하지만 집에서 술먹는 걸 좋아하는 나라도 많으니까요;;
    옛날식 집들이는 너무 힘들고 시간도 그럴 없으니,
    요즘엔 친구들이면 다같이 하나씩 가져오거나 그냥 시켜놓고 접시만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네욤.

  • 3. ...
    '16.1.16 11:16 PM (120.142.xxx.25)

    집들이는 좋은 관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여기 있습니다. 그리고 노래부르는 것 없습니다. 얼마 전에 집들이 했는데 남편이랑 함께 했습니다. 신경 쓰이지만 이렇게 해야 부부들도 만나고 친척들도 만나고...좋던데요 저는?

  • 4. .....
    '16.1.16 11:17 PM (220.95.xxx.145)

    원래 집들이가 서양식 문화예요.
    집에 초대해서 음식상 차리는거요..

    한국에 들어와서 한국식 가부장적 문화와 결합하면서 이상해진거죠.

  • 5. ㅇㅇ
    '16.1.16 11:21 PM (1.236.xxx.38)

    아래 집들이 글 쓴 사람인데요 ㅎㅎ
    시켜서 먹거나 각자 음식 싸가지고 와서 함께하는 그런 집들이야 좋죠
    아내 혼자 죽어라 준비해서 남편 지인들 초대하는 집들이는 정말 부담스러운거 같아요

  • 6.
    '16.1.16 11:22 PM (219.240.xxx.140)

    시댁식구 집들이 강요.
    음식은 며늘손으로 직접해야하고
    대가족 몰려와 자고가고

    시부모 생일은 며늘이 당연히 며늘집에서 대가족식단 차려야
    하고여.

    결혼하자마자 온식구가 압박해서 집들이의 집자만 들어도 숨막혀요.

    대출만 왕창 받아 산건데
    보태준것도 없음서 어쩜 막무가내인지

    저희 시댁만 이런가요.

  • 7. ;;
    '16.1.16 11:26 PM (1.225.xxx.243)

    원글님 말씀은 반은 틀리고 반은 맞는거 같아요.
    집들이는 원래 서양식 관습입니다. 고대 서양에서는 신령의 축복을 귀하게 여겨 신령이 불 속에 살고 있다고 생각했고요, 따라서 벽화로가 집의 중심이었고 그 가정에 행운을 가져다 줄 요정들이 거기에 살았다고 믿었어요. 그래서 벽화로 속 요정들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이사갈 때 불씨를 새 집으로 가져가 불을 피우는 관습이 생겼는데 그것이 house warming party의 시작입니다.
    하지만 아내 요리/노래 솜씨를 뽐내게 하고 여자만 부엌일을 하는건 전근대적인 관습이 맞습니다. 그런데 누가 요즘 아내한테 요리/노래를 시키고 부엌일을 시키나요 다 시켜먹지..

  • 8. 그게 아니라
    '16.1.16 11:28 PM (112.173.xxx.196)

    옛날엔 집 사기가 지금보다 더 어려워서 정말 그게 축하할 일이어서 그래요.
    셋방살이 서러움도 많았구요.
    애 많음 셋방도 안줬다고 하잖아요.
    그러니 내집마련이 큰 기쁨이라 집들이를 하는 분위기였어요.
    외식문화가 없던 때라 집에서 안 모이면 사람들 만나기도 힘들었고..
    그런저런 사회적인 분위기가 그랬어요.
    문화라는 건 세상따라 변화는 거니 지금은 대출 안으면 누구던 집 살수가 있고
    맞벌이 하고 음식 안귀하니 집들이 꼭 할 필요성도 못느끼는거죠.

  • 9.
    '16.1.16 11:37 PM (219.240.xxx.140)

    여길보니 저희 남편과 시댁만 전근대적인 사람들인게 맞네요.
    위에도 적었지만요.
    그 집식구는 시누건 아들이건
    요리는 여자가 직접해서
    대가족 다 먹여야하고 모이면 자고간다가
    가족들간의 룰같더라고요.

    초대하는 사람이 오라건말건
    저기네들끼리 쳐들어오고요
    남편도 평소엔 착했는데
    자기집 식구들 불러 밥좀 먹이는게 뭐가 어렵냐고 하거군요
    근데 식구수가 장난아니고
    저 새댁이었는데
    15 명( 애어른포함) 을 갓 결혼한 여자에게 바라는게
    넘 힘들었네요.

    그런식ㅇ
    로 명절도 시부모생신도
    당연히 며늘손으로 해야한다는게 이 집안 식구들 모두 당연히 여기는 사항.

    너무너무 힘들었네요. 돈도 없고 자식 절사나 하는 걱정은 눈꼽만큼도 없었는데
    시누들도 똑같고
    깡촌 가부장적인 시골 출신 남자와 결혼한거 후회하고
    그렇다고 돈을 잘버는것도 아니면서 ㅠㅠ
    갓 결헌한 여자에게 너무 심했던거같아요.

  • 10. ..
    '16.1.16 11:50 PM (112.149.xxx.183)

    사실 요새 소위 제대로 집들이 하는 거 보지도 가보지도 못했어요..친구들은 물론 인척들 수억-십수억 집 사도 집들이 하는 사람이 없네요..아무도 집들이 궁금해 하는 사람도 없고...결혼해도 그냥 밖에서 외식하고 차나 다과나 하러 가서 집구경 잠깐 하는 정도..

  • 11. 갠적으로
    '16.1.17 12:03 AM (115.137.xxx.79)

    없어졌음 하는 문화..

  • 12. 치쿠
    '16.1.17 12:03 AM (59.6.xxx.62)

    전 오늘도 친정식구 불러모아 한상 차려 먹였고 친구들 부부들도 자주 불러서 대접해요(저 애기 두돌 좀 안된 30대 초반임) 요리하는거 좋아하고 힘들어하지 않으니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얼마든지 해줄 수 있어요. 다만 남편이 해달라고 하면 정말 하기 싫을 것 같아요-_- 안그래도 한동안 내 친구나 가족들만 주구장창 불러다 먹여서 왠지 찔려서 시댁 식구 초대하기로 했는데 차일피일 미루는 중이요..... 괜히 평가받을거 같고 신경쓰여요 ㅠ

  • 13. ..
    '16.1.17 12:16 A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집들이.. 없어졋으면..
    동료 결혼식 갔는데, 호텔서.. 호화..결혼식..
    집들이 얘기 했는데, 시큰둥 하니 반응하니 별말 않더라구요.
    회사 밖에서 친한 사람들은 초대했을 지도 모르구요.
    회사 안에서는 저랑 친한데, 저는.. 별 반응 안 했어요.
    너무 차이나는 집은 결혼식도 집들이도..보고 나면 내게 스트레스, 열등감만 주는 것 같아요.
    결혼식 보고.. 나 사는 모양새는 사람꼴도 아니게 보이던데요.

  • 14. 82에서..
    '16.1.17 10:51 AM (223.62.xxx.53)

    없앨거 또 하나 또 하나 발굴 하네요.
    명절, 환갑잔치, 돌잔치, 돌잔치, 김장,
    장례식장에서 음식 대접하는거,
    이제 집들이까지..ㅋㅋ

    예전엔 당연하게 생각해서 안하는 사람이 튀었지만
    요즘엔 누가 뭐라는 사람도 없는데
    비합리적이라 생각되고 하기 싫으면 그냥 안하면되는거지
    굳이 없애야 한다는 건 대체 뭔가요.
    자기네들이 만든 것도 아니면서...
    내가 하기 싫음에 대한 정당성을 얻고 싶은건가..ㅎㅎ

    이런글 볼때마다 항상 생각드는게..
    왜 결혼식 없애자는 말은 안나오는지..
    비용이나 에너지 소비면에서 그만한 비합리도 없는거 같구만..

    유일하게 여자가 손가락 까딱안하고
    스포트라이트를 받는거여서 인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5783 저가 스테이크 창업 어떨까요 30 장미축제 2016/05/09 5,320
555782 보험들고 병원처음 가는데... 3 보험무지 2016/05/09 829
555781 수시로 강아지풀어놓는 이웃에게 경고문..ㅠ 5 @@ 2016/05/09 1,415
555780 걷기운동 하면 얼굴이 붓는데... 16 ㅇㅇ 2016/05/09 5,392
555779 아버지가 제 아이들에게 백만원씩 주신다는데... 2 용돈 2016/05/09 3,245
555778 중이염 수술 후 비행기 탈 때 요. 4 중이염 2016/05/09 2,815
555777 퀴즈맞혀 보세요 6 !!?? 2016/05/09 15,723
555776 초면인 새댁들이 말을 까는데 ... 22 초면에 2016/05/09 4,483
555775 저의 다이어트 방법 6 ㅇㅇ 2016/05/09 3,786
555774 서울 강북쪽에 아이 보약 5 보약 2016/05/09 958
555773 해고가 쉬워지는 나라 2 부글부글 2016/05/09 1,080
555772 중학교수학공부법문의 2 중1 2016/05/09 1,171
555771 아기들 놀이 중에 이걸 뭐라고 검색하면 좋을까요? 3 바나나 2016/05/09 694
555770 월세 구할때 새입주아파트는 피하는게 좋나요? 2 .. 2016/05/09 1,501
555769 레스토랑에서 먹은 요리 집에서 구현 가능한가요? 4 2016/05/09 1,041
555768 서울/경기 18개월 아기랑 놀러갈만한 곳 추천해주세요'-'# 2 새별 2016/05/09 6,220
555767 빌라나 다세대 전세 들어갈시 유위사항좀 알려주세요~ 3 부동산 2016/05/09 1,321
555766 60대 동창회. 보물찾기게임 상품 추천 좀.. 10 추천좀 2016/05/09 1,519
555765 부모님용돈 첫월급부터 드렸나요 2 어니투카 2016/05/09 1,653
555764 하이톤 목소리 고쳐지나요? 20 ㅇㅇ 2016/05/09 5,980
555763 자기 주도 학습을 배우기 위한 수업이라는데....? 5 고민 2016/05/09 1,201
555762 털있는 점과, 건드리면 살짝 아프다 싶은 점은 몸에 안 좋나요?.. 1 피부 2016/05/09 2,053
555761 Sbs스폐셜 보셨어요 2 콩이 2016/05/09 2,994
555760 제주도 가족 여행시 어떻게 방을 잡아야 할까요? 7 Zzz 2016/05/09 1,680
555759 속보) 단원고 희생학생 현재 모두 "제적 상태".. 24 침어낙안 2016/05/09 5,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