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일이나 유럽사시는 분들 가스렌지 규제?

전기렌지 조회수 : 4,719
작성일 : 2016-01-14 20:38:55
요즘 요리블로거나 파워블러거들 보면 협찬? 또는 직구 열풍에 가스렌지를 대신해서 전기렌지로 바꾸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요
그분들이 멀쩡한 가스렌지를 대신해서 전기렌지로 교체하는 이유를 들어보자니
가스렌지를 켤때 나오는 유해한?가스 또는 장시간 주방에서 일하는 주부들 두통의 원인이
가스렌지 때문이다라고 한다거나 유럽 특히 독일의 예를 들면서 독일같은 경우는 아예 법으로 가스렌지 사용을 금지시겼다고 하는데 이게 진실인가요?
제가 알기로는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의경우는 워낙 땅덩이가 넓다보니 가스시설이 없는경우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설치가 편리한 전기렌지가 보편화 된걸로 알고있거든요
맛의차이때문에 음식점이나 셰프들은 오히려 전기렌지를 쓰지않는다고 하던데
어떤게 진실인지 모르겠네요
저도 한때 전기렌지 직구도 알아보고 했었는데 지금은 이러저러한 이유들로
완전 맘을 접었거든요
IP : 115.143.xxx.8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른 곳은 모르겠고요
    '16.1.14 8:40 PM (78.243.xxx.209)

    프랑스는 아닙니다. 금시초문이네요.

  • 2. 가스관 시설
    '16.1.14 8:46 PM (182.172.xxx.183)

    땅 넓은 나라들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도시가스관 공사가 잘되어있어서 굳이
    전기렌지 쓸필요 없다는 이야기도 들었어요.
    열병합 발전소등 국가에서 막대한 자본들여 만든게
    도시가스 라고요.

  • 3. ...
    '16.1.14 8:46 PM (39.113.xxx.36)

    예전에 독일에서 아는 사람집 가스쓰던데요.
    금지면 안썼을 듯.

  • 4. 원글
    '16.1.14 9:00 PM (115.143.xxx.8)

    그죠? 제 상식으로도 그렇거든요.얼마전 이사온 저희아이 같은반 친구엄마가 주재원으로 캐나다에서 4년동안 살다왔는데 여기와서 제일좋은게 아파트에 빌트인 가스오븐이라고해서 참 의아했거든요. 우리나라가 전세계에서 제일 도시가스 시설이 잘되어있고 요금도 전기에비해서도 월등히 저렴한 편이라.
    전기렌지 열풍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았어요

  • 5. 무지개장미
    '16.1.14 9:11 PM (86.159.xxx.201)

    영국 .. 가스쓰고 싶으나 없어서 전기쓰는 경우 대부분입니다. 전기가 더 비싸고요.

  • 6. ..
    '16.1.14 9:12 PM (176.4.xxx.170)

    저 독일인데 한달전까지 가스렌지 썼어요.
    규제는 없는듯 한데.. 인덕션 써보니까 좋은게 깔끔하고 청소하기가 쉽네요. 그리고 꺼도 뜨거워서 안식어서 좋고요. 그런데 불맛이 아쉽긴해요.

  • 7. 덴마크
    '16.1.14 9:37 PM (222.235.xxx.16)

    가스 겁나 비싸요ㅠ 전기도 비싸지만요. 가스차도 없고요.
    그치만 가스렌지 쓰는 집은 몇몇 있습니다. 제가 본 곳은 아주 오래된 시설이거나 완전 잘 사는 집이었어요.

    전기렌지는 전자파?! 암튼 몸에 좋지 않은 게 나오는 높이가 보통 여자들 자궁 높이라, 돈있는 집들은 낮게 설치하기도 해요.

  • 8.
    '16.1.14 9:40 PM (91.183.xxx.63)

    서유럽인데 첨들어보는 말이에요. 거의 모든 가정집 가스 쓰고 있어요

  • 9. mi
    '16.1.14 9:51 PM (108.28.xxx.18)

    저 영국서 오래 살었고 다른 유럽 나라들도 많이 다녔고 현재 미국 사는데요.
    영국서 4번 이사했는데 전기렌지 였던 집은 한집이었고
    현재 미국에서도 가스렌지 쓰고 있습니다.
    주변에 봐도 보통 왠만한 가정집에서는 가스렌지 쓰는 집이 더 많아요.
    유럽 다른나라 다녀봤어도 가스렌지 더 일반적이었던거 같은데요...가정집에서는.

  • 10. ...
    '16.1.14 10:09 PM (39.113.xxx.36)

    독일에서 가스렌지가 드물긴 해요. 전기렌지가 대부분이고 요즘은 인덕션으로 바뀌는 분위기에요. 가스는 요리사들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집주인들이 가스렌지 싫어하는 경우도 있어요.

  • 11.
    '16.1.14 10:11 PM (223.62.xxx.55) - 삭제된댓글

    도시가스가 들어오지않는곳에서 전기렌지 써요. 시골같은데.
    유럽이든 미국이든.

  • 12. 호오
    '16.1.14 10:37 PM (218.155.xxx.212)

    저도 미국살다 왔는데 미국은 국가적으로 가스배관?공사가 할 돈도 없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서 전기쓴다고 들었어요. 실제로 싸구려 아파트나 원룸, 투룸같은 곳 (자재 싼곳..)은 다 전기렌지가 빌트인이었어요.
    미국도 큰 집에서 호화롭게 사는 사람들은 요리사처럼 요리하려고 가스렌지 가스오븐 쓰는걸 더 선호하고 자랑스러워?하는 느낌을 받았어요.
    저도 한국와서 살면서 헷갈려요. 전기렌지로 바꾸어야 하는지. 아님 우리나라처럼 가스 싸게 공급되는 나라가 없다는데 가스렌지로 쓰는것이 이득인건지요.
    사실 두 가지 다 써본 결과로는 요리할땐 역시 가스가 낫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요.
    건강에는 정말 가스가 나쁠까요??

  • 13. 저는
    '16.1.14 10:53 PM (182.230.xxx.159)

    저는 가스렌지,하이라이트 써봤는데요.
    확실히 가스렌지 냄새가 심해요.
    전에 살던집에서 전기렌지쓰다 새집 이사오면서 가스렌지 썼는데 숨막히고 기침나고 그랬어요. 너무 적응안돼서 다시 하이라이트로 교체했어요.
    전기세 차이도 거의없어요.
    저희집 한달 전기 200와트 좀 안되게 써요.

  • 14. ..
    '16.1.14 11:17 PM (119.192.xxx.29)

    가스렌지 가스냄새 많이 나와요.
    건강에 안좋다고 하는데 자세한 연구결과는 없으니 잘은 모르겠네요.

    세프들이 전기렌지에 요리했다가는 망해요.
    빨리 달궈지지도 않고 화력도 약하고요.
    볶음이나 튀김 요리에는 적절하지 않은것 같아요.

  • 15. 저는
    '16.1.14 11:30 PM (61.102.xxx.46)

    가스렌지만 쓰면 가슴이 답답해지고 어지러움이 심해서 바꿨어요.
    전기렌지로 바꾸고 나니 그런게 없어져서 너무 좋아요.
    더울때도 선풍기 팍팍 틀고 해도 좋고 청소도 쉽구요.

    불맛 아쉽다 생각 되는 때도 있는데 쓰다보니 요령 생겨서 괜찮구요.
    플람베 같은거만 안되지 조리도구 잘 활용하면 괜찮더라구요.

    그리고 저는 튀김요리에 아주 좋던데요? 온도 유지가 잘 된달까요?
    이걸로 바꾸고 튀김요리가 더 좋아졌어요.

  • 16. 마찬가지
    '16.1.14 11:49 PM (223.33.xxx.175)

    어차피 요리할때 나오는 유해물질은
    가스나 전기렌지나 마찬가지에요. 가장 나쁜건
    고기나 생선같은 단백질을 고온에서 조리할때 나온다던데요.

  • 17. 금시초문
    '16.1.14 11:57 PM (59.9.xxx.6)

    우린나라는 전기보다 가스세가 더 비싸지만 이탈리아는 그 반대라서 보일러 조차도 가스를 더 선호해요. 렌지든 보일러든 전기 썼다간 새금 폭탄 맞음.

  • 18. 제니
    '16.1.15 3:29 AM (188.29.xxx.250)

    영국이예요.전기렌즈 쓰는 집이 많지만 가스렌지 쓰는 집도 봤어요.근데 가스렌지에서 나오는 유해가스때문에 폐암인가에 걸린다는 말 들어본거 같애요.

  • 19. 엄마
    '16.1.15 3:38 AM (125.137.xxx.60) - 삭제된댓글

    친구분이 작년에 폐암으로 돌아가셨어요.
    음식 만들어 자식들이랑 주변 친구들에게 나누어 주는게 낙인 분이셨거든요.

    하루종일 주방에서 끊이없이 뭔가를 만드신다고 해서 폐가 괜찮으실까 걱정했는데 작년초에 발병해서 얼마 못사시고 돌아가셨어요. 그뒤 엄마 친구분들이 다들 전기세 많이 든다고 넣어두었던 전기렌지 쓰신대요. 혹시 가스를 쓰게되면 창문 다 열고 베란다 문까지 열고 후드도 최고수위로 틀고 요리 하신다고..

  • 20. 독일
    '16.1.15 4:24 AM (178.190.xxx.96)

    오래된 건물엔 가스렌지 쓰는데, 신축건물은 도시가스로 난방만 하고, 조리용 가스관은 안 끌어와요. 폭발안전사고 위험때문에.

  • 21. 맞아요
    '16.1.15 6:46 AM (196.41.xxx.50) - 삭제된댓글

    독일은 법으로 금지한건 아닌데, 안전 이유로 거의 전기렌지로 바뀌었어요.

  • 22. ....
    '16.1.15 7:04 AM (110.14.xxx.82) - 삭제된댓글

    인덕션으로 교체를 했는데 완전 신세계를경험하네요....
    재료는 안 익고 시간은 몇 배 오래 걸리고.. 맛도 없어요 ㅠㅜ
    물 끓는 속도에 속지 마세요.
    물 끓는 속도와 요리가 완성되는 속도는 관계가 없다는 걸 알게 되네요.
    왜 불맛이라는 표현을 하는지 알게 됐습니다.
    물론 장점도 있긴하지만 .. 음식의 맛을 추구하는 분이라면 많이 알아보고 구입하세요.

  • 23. 환기가 제일 중요
    '16.1.15 9:17 AM (14.52.xxx.25)

    실제로 조리시 인체에 유해한 건
    단백질, 지방이 가열 변성되며 나오는 탄화수소 방향족 물질 이에요.
    이건 어떤 열원에다 가열을 하던간에 상관없이
    가열 조리 중 음식물 자체에서 내뿜는거죠.
    어떤 분들은 전기렌지로 바꾸고 나서
    황사 때 환기 안 해도 되니 좋다, 후드 안 틀어도 된다
    이런 뒷목잡고 경악할 말씀 하는 것도 봤는데요.
    무식이 사람 잡습니다.
    조리 후 실내 공기 환기..가 제일 중요한 거지,
    열원의 종류에 따라 호흡기 건강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폐암 전문의들은 하나같이 여성 폐암과 가스렌지의 연관성이 없다고 하는데
    저 폐암 운운하는 근거없는 소리는, 전기렌지 판매업자 말고
    도대체 누구 입에서 나오는 건지 알 수가 없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711 청바지 게스 리바이스.. 이런데껀 너무 비싸서요.. 저렴한데껄로.. 4 청바지 2016/04/20 2,296
549710 스타벅스 머그컵, 중국산이던데 안좋겟죠? 2 ,, 2016/04/20 1,559
549709 차라리 새누리당 분당했으면.. 7 새순 2016/04/20 910
549708 달러전망 어케될까요? 1 달러 2016/04/20 1,374
549707 40대 남성, 출근용 면바지 문의 드려요~ 3 운동해! 2016/04/20 1,565
549706 생리할때 바나나먹음 4 ㅇㅇ 2016/04/20 4,212
549705 손석희의 앵커 브리핑, '인생은 아름답고, 역사는 발전한다' 9 jtbc 방.. 2016/04/20 2,584
549704 직장을 잘 못 들어가서 변제해야할 휴대폰 요금문의 합니다 3 aa 2016/04/20 972
549703 7월중순 휴가 - 대만 VS 상해 - 어디가 나을까요? 4 휴가 2016/04/20 1,623
549702 보수단체 계좌에 전경련 명의 ‘수상한 뒷돈’ 1 세우실 2016/04/20 524
549701 이경우자진사과?를하는게좋을까요? 6 ㅡㅡㅡㅡ 2016/04/20 1,054
549700 내용 펑합니당.. 13 레퍼런스첵 2016/04/20 11,032
549699 위너 팬 안계신가요 7 ㅠㅠ 2016/04/20 1,571
549698 [미디어오늘] 지상파·종편, 북한 조선중앙TV에 억대 저작권료 .. 5 ㅇㅇㅇ 2016/04/20 799
549697 백선생 간장골뱅이 재밌네요 ㅎㅎ 4 ㅎㅎ 2016/04/20 3,454
549696 한반에 수두환자가 계속 늘어날 경우 2 벚꽃지다 2016/04/20 877
549695 분이 펄 펄 나는 감자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7 넘 먹고싶어.. 2016/04/20 1,866
549694 불고기가 너무 질기고 맛이 없어요!!!! 6 T.T 2016/04/20 1,263
549693 지상파·종편, 북한 조선중앙TV에 억대 저작권료 지불 9 샬랄라 2016/04/20 1,166
549692 안철수.문재인은 알바를 부르는 키워드네요. 6 희야 2016/04/20 648
549691 고3아들이 며칠전 미용실에서 겪은일 64 ㅇㅇ 2016/04/20 24,078
549690 이런 카톡이 옵니다. 신고해야 하나요? 11 북미 2016/04/20 3,752
549689 지인가게에서 육포를 팔아보려고하는데요 8 지나가는 4.. 2016/04/20 1,741
549688 걷기운동 많이하면 다리 두꺼워지나요? 11 조언 2016/04/20 8,584
549687 지금 유치원에서 일해요.. 전공심화과정 혹시 아세요? 3 뭘까 2016/04/20 1,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