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거실 서재화를 하면 몇살까지 책을 좀볼까요

짐짐 조회수 : 2,986
작성일 : 2016-01-11 11:16:19
정리중입니다ᆢ이방저방 있는책들이 제법 많은데 ᆢ거실로 다뺀다면 ᆢ옮긴 보람은 할까요ᆢ옮기자니 ᆢ힘좀들여야 겠는데ᆢ기운빼기 전에 여쭤봅니다ᆢ아이구T.T
IP : 112.152.xxx.96
3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1.11 11:17 A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책 읽을 사람은 책이 어느 곳에 있던지 읽어요. 즉 장소의 문제가 아니어요

  • 2. ...
    '16.1.11 11:19 AM (39.121.xxx.103)

    책읽는 습관 들여주고싶다면 그런 방법보단 원글님이 티비,인터넷보다 책을 읽으셔야해요.

  • 3. ....
    '16.1.11 11:20 AM (119.197.xxx.61)

    몇집봤는데 제 주변만 그런가 몇년 안지나서 원상복귀하더라구요

  • 4. 짐짐
    '16.1.11 11:21 AM (112.152.xxx.96)

    애들 중학교 가면 거실보다 자기방에서 공부하는게 더 낫나요ᆢ애둘 터울져서 ᆢ기운빼기 전에ᆢ여쭤봐요ᆢ미니 책상 하나 놓을까 싶은데ᆢ필요없는 짐떵어리 될까봐요
    거실을 좀 독서나 공부 공간 으로 좀 놔주면 애가 몇살까지 좀 쓸모있을까요ᆢ항상 82에 별걸다 물어보고 결정해요ᆢ답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T.T

  • 5. ..
    '16.1.11 11:22 AM (124.53.xxx.84) - 삭제된댓글

    거실을 서재화한다는 건,
    독서도 공부도 컴퓨터도 공개된 장소에서 하며,
    일상적으로 tv 켜놓는 일이 줄어듭니다.

    컴퓨터를 무한정 하게 된다던지,
    보고 싶은 방송만 보게 된다는 점에서라도, 저는 거실 서재화가 좋은 것 같습니다.

  • 6. 짐짐
    '16.1.11 11:22 AM (112.152.xxx.96)

    제가 글적는사이에 댓글이 달려있었네요^^

  • 7. 이것도
    '16.1.11 11:23 A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거실을 좀 독서나 공부 공간 으로 좀 놔주면 애가 몇살까지 좀 쓸모있을까요ᆢ

    아이 성향 따라서 달라요......
    할놈은 평야에 책상 놓아 줘도 집중해서 공부하지만, 안할놈은 엄마가 나를 감시하는구나 하고 생각해요

  • 8. ...
    '16.1.11 11:25 AM (1.236.xxx.38)

    거실 서재화 한다고 책 안봐요...
    저 아는 집도 책장짜서 서재화했지만 애들 안보고
    거실 답답하니 다시 방안으로 정리하더라구요
    저는 책 둘곳이 마땅치 않아 마지못해 거실에 책장두지만 그나마 거의 남편책 위주고
    거실에 일부러 책장두고 싶진 않더라구요
    차라리 가까운곳에 도서관이 있다면
    꾸준히 같이 가서 빌려와서 보고 하는게 아이들이 더 좋아해요
    몇권씩이지만 계속 바뀌니 더 흥미로워하구요
    빌려온 책 열댓권은 거실 한구석에 저는 대충 쌓아놔요
    잘 봅니다

  • 9. 환경
    '16.1.11 11:28 AM (218.48.xxx.67)

    중요하죠..저희아인 애기때부터 주욱...책을 하루죙일봐서 걱정이네요..물론 티비는 방에가서 딱한시간 집중해서보구요..

  • 10. 윗님
    '16.1.11 11:33 A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그러니까 그 환경을 어찌 했는지 원글님에게 말씀을 해주셔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11. yulie903
    '16.1.11 11:34 AM (1.224.xxx.12)

    집안 분위기가 제일 중요해요

    집안의 분위기란 책장위치가 아니라
    어른이 뭐하며 시간보내는지죠.
    그것이 좌지우지해요.
    티비가 켜져있는 적이 없고.
    스맛폰 언하고 책보며 지내면서..가끔 모여 간식먹다
    또 각자 책보고...
    그런분위기로 읽기독립했을 때부터 그래왔다면
    책이 재밌는것이란생각을 하게 됩니다.

  • 12. 성향
    '16.1.11 11:39 AM (220.86.xxx.131) - 삭제된댓글

    아이 성향 차이같은데요.우리 아이는 중학교때 먼저 제의를 했어요.테레비치우고 거실에 책장과 책상 놔달라구요.공부방도 없이 거실에서 생활했고.고등학교는 특목고 기숙사생활해서 몇년 나가있다가 대학가면서 다시 들어왔는데 지금도 거실에서 그대로 해놓고 공부해요.아직 대학생이지만 고시공부 시작했구요.

  • 13. 자칫
    '16.1.11 11:40 AM (107.4.xxx.112)

    자칫 잘못하면 서재화된 거실에서 온 가족이 각자 스마트폰만 들여다보고 있을수도 있어요..
    거실 서재화를 생각하기전에 엄마아빠의 모습을 먼저 돌아보셔요... 아이들한테 책읽는 모습을 하루에 얼마나 보여주시는지..
    엄마아빠는 책혹은 신문이라도 전혀 안보면서아이들한테 책보라고 하는건 아닌지..

  • 14. 성향
    '16.1.11 11:44 AM (220.86.xxx.131) - 삭제된댓글

    아이 성향 차이같은데요.우리 아이는 중학교때 먼저 제의를 했어요.테레비치우고 거실에 책장과 책상 놔달라구요.공부방도 없이 거실에서 생활했고.고등학교는 특목고 기숙사생활해서 몇년 나가있다가 대학가면서 다시 들어왔는데 지금도 거실에서 그대로 해놓고 공부해요.아직 대학생이지만 고시공부 시작했구요.부모가 책보는 모습을 보여주는게 좋다는데 우리 부부는 집에서 책 본적도 없어요.공부 방해될까봐 집에서 조용히한다는데 우린 시끄럽게 떠들어도 아이가 신경 안씁니다.

  • 15.
    '16.1.11 11:48 AM (42.61.xxx.85)

    윗분들 말씀이 맞으세요.
    저는 거실서재화까진 아니지만, 집이 온통 책으로 둘러 쌓여있는 환경이었는데,
    큰애는 책을 너무 사랑하는 아이로 컸고, 둘째는 아예 책을 그냥 배경으로 생각하는 아이로 컸습니다.
    그런데, 또 그게 책을 잘 읽고 많이 읽는 애는 잘 컸고, 아닌 애는 잘 못 컸다는 뜻은 아닙니다. ^^
    책이 거실에 있냐 아니냐, 많냐 아니냐 보다도 집안을 관통하는 분위기에 아이들은 휩쓸리기
    쉽다는 말씀이 맞아요. 그리고 이것조차 타고 나는 것도 있는것 같아요.
    저는 책을 좋아했고, 아이 아빠는 아닌데, 아이들이 공평하게? 물려받았네요. ㅎㅎ

  • 16. 미테
    '16.1.11 11:51 AM (59.9.xxx.6)

    집안 분위기가 제일 중요해요

    집안의 분위기란 책장위치가 아니라
    어른이 뭐하며 시간보내는지죠.
    그것이 좌지우지해요.
    티비가 켜져있는 적이 없고.
    스맛폰 언하고 책보며 지내면서..가끔 모여 간식먹다
    또 각자 책보고...
    그런분위기로 읽기독립했을 때부터 그래왔다면
    책이 재밌는것이란생각을 하게 됩니다.22222

  • 17. 미테
    '16.1.11 11:53 AM (59.9.xxx.6)

    그리고 엄마도 항상 책읽고 가능하면 아이와 같은 책도 읽어서 책에 대해 토론도 하면 최상입니다.
    제 친구가 그렇게 키워서 애들 영재학교 보냈어요.

  • 18. 제 필요에 의해서
    '16.1.11 11:59 AM (210.183.xxx.241)

    저는 제가 좋아서 제 책을 꽂아놓고
    제 테이블 갖다 놓느라 거실이 서재입니다.
    그래서 저는 거실에서 잘 놀고 있어요.

    그런데 애들이 거실에 잘 안와요.
    거실에 오면 공부를 해야할 것 같은 느낌이 든대요 ㅋ
    저에게 할 말이 있을 때만 옵니다.
    그러면 마주 앉아 이야기를 합니다.

    거실은 제 방이고 제 서재입니다.
    거실에서 책 읽거나 공부하고 있으면
    가족 전체를 저를 존중하는 분위기입니다.
    그 분위기에 아이들도 자신도 모르게 익숙해지지 않을까요.

  • 19.
    '16.1.11 12:03 PM (183.98.xxx.33)

    티비 거실에 떡 하니 자리 잡고 있는데
    주말에만 켜요.
    보통은 뒹굴뒹굴 책 읽고요.
    키우기 나름이거나 성향차이이거나 뭐 그렇겠죠

  • 20. 저는
    '16.1.11 12:04 PM (222.236.xxx.133)

    제가 활자중독이라 집안이 온통 책인데 저만 읽습니다.
    애들은 지들이 읽고싶은 책 사달라고 하고 사놓은 책은 안 읽더라구요.

  • 21. 진짜로..
    '16.1.11 12:26 PM (218.234.xxx.133)

    엄마나 아빠가 책을 보면 따라서 책을 읽을거에요.
    요즘 아이들 책 안본다 걱정하는데 생각해보면 책보다 재미있게 얼마나 많은데 책을 굳이 읽을까 싶어요.

    저 어릴 땐(저 69년생) tv를 낮에 하길 했나 pc나 인터넷, 게임기가 있길 하나,
    그러니 동네 아이들하고 고무줄이나 땅따먹기 하거나
    놀아줄 친구 없으면 책 보는 게 유일한 즐거움이었던 거죠.

    요즘 아이들로서는 책보다 재미있는게 많은데 책이 널려 있다고 굳이 책 볼까 싶어요. tv 틀어서 만화영활 보던가 하지.. 그러니 아이 엄마아빠가 책 읽는 모습 보여주는 게 제일 좋은 듯합니다.

  • 22. ...
    '16.1.11 12:31 PM (175.207.xxx.158) - 삭제된댓글

    제생각에는 거실은 개방감이 있어야 하는데 5단짜리 책장은 비추입니다..3단정도가 적당하구요..큰책장에 책을 다 꽂아두진마세요..작은책장을 군데군데 두는게 더 나아요..화장실앞 침대옆 햇살 좋은 베란다 등 이렇게요..

  • 23. 저희집은
    '16.1.11 12:37 PM (123.215.xxx.121)

    7살부터 시작해서 지금 10살이 되어가는데 넘 좋아요
    tv가 있긴하나 시청은 주말 런닝맨 무한도적 두가지만 시청해요
    울애들이 태어나고는 애들이 깨어있는 시간에는 tv를 안봤어요
    그래서인지 평일에는 tv를 보자는 말은 하지 않더라구요
    전 너무 만족해요
    방학중에도 일어나면 쇼파에 앉아 책읽고 거실에 큰 책상을 내어 놓으니 앉아서 종이접기하고 그림 그리고
    전 중학교 가기전까지는 이렇게 유지 하려구요
    주의분들 옴 다 부러워해요

  • 24. 저희도
    '16.1.11 12:39 PM (180.230.xxx.161)

    얼마전에 책장 거실에 내놨는데
    확실히 노출이 많으니 더보는거 사실이에요
    힘들었지만 애들 책보는 모습보면 뿌듯합니다ㅋ

  • 25. 유스
    '16.1.11 12:59 PM (49.169.xxx.8)

    거실의 서재화 10년 가까이 되네요
    아이들은 올해 12살이고요 ... 책을 많이 읽는 아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지만 책읽기를 싫어하지는 않는 아이들로 자라고 있어요

    거실의 서재화 ... 서재를 방에 만들 수가 없어서 넓은 거실에 둔 것 뿐이구요 ^^;;
    이 방 저 방 책이 흩어져 있는 것보다 한 공간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두면
    책의 배열이 한 눈에 들어와야 책을 쉽게 찾고 정리도 쉬워요
    책 한 권 읽다보면 이 책 저 책 찾아보게 되니까요

    저희집에는 TV 안보고 아이들 스마트폰 없고 게임기 없어요. 당연히 여가 시간에 책 읽겠지요?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나 영화는 식사하면서 노트북으로 다운 받아서 보거나 주말 저녁에 가족 같이 보구요
    같이 봐야 이야기 나누고 비슷한 주제의 책에 대해 이야기 하거나 찾아보는 거죠.
    매체를 접해도 항상 책과 연관짓게 해요

    저도 이렇게 스마트폰 하는 시간 줄이고 첵 읽는 모습 많이 보이려고 하구요. 아이들 책을 읽어 주거나 같이 읽어요.

    초등 고학년 아이들이구요.

  • 26. ....
    '16.1.11 1:35 PM (211.210.xxx.30) - 삭제된댓글

    거실 서재화 보다는 화장실 옆 서재화가 효과는 더 있는거 같아요.
    아무 생각 없이 그 곳에 책장을 들여 놓았는데 화장실 들어갈 때마다 식구들이 책을 뽑아들고 가더라구요.
    그래서 지금은 들고 가지 못하게 서로 감시해요.
    넘쳐나는 시간에는 다른거 하면서 그 짧은 시간은 뭐가 그리 아까운지...

  • 27. 거실
    '16.1.11 2:29 PM (110.70.xxx.137) - 삭제된댓글

    서재화 시킨 집보면 숨통 막혀요
    아이에게 너무 책 책 강요하지 말고 흐르는 물처럼 흘러가게 하세요
    책 많이 읽는다고 사회성이 좋아지는 것도 아니에요
    아이가 행복하게 사는건 책보다 사회성(사람)이에요
    직장생활도 마찬가지구요
    대입논술도 독서와는 상관없어요
    그냥 아이가 하고싶어하는대로 놔두면 합니다

  • 28. aa
    '16.1.11 3:12 PM (218.148.xxx.46)

    아이 돌 전부터 거실억 티비 없애고 책을 뒀어요. 돌 이후부터 한글을 몰라도 책은 혼자 보기 시작했구요. 읽기 독립은 무척 수월하게 됐어요. 그렇다고 혼자 한글을 깨우친 수준은 아니었구요.
    지금 초3 올라가는데 책장 윗쪽에 있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기웃거립니다. 저희는 부부가 책 보는 것, 사는 것(!) 좋아해서 자연스럽게 거실이 서재화됐는데 이걸 공부나 논술과는 연결시키지는 않아요. 책 많이 읽은 게 나중에 도움은 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꼭 잘 하게 될거라고 생각하진 않아요. 그냥 우리 식구만의 스타일인거죠.

  • 29. aa
    '16.1.11 3:13 PM (218.148.xxx.46)

    위에 오타수정이요. 억 -> 에

  • 30. 쥬쥬903
    '16.1.16 7:50 PM (1.224.xxx.12)

    타바는 주말 평일 상관없이 아이가 잠든 후
    에 만 켜요... 저혼자 봐요.
    그시간이 제 힐 링 타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8975 손등에 핏줄 두드러지는거요 6 .... 2016/05/19 3,516
558974 아이가 자라고추인데 병원 가봐야 할까요? 49 초4남아 2016/05/19 36,659
558973 수학학원 끼워팔기? .... 에 대해 여쭤요. 4 궁금 2016/05/19 1,652
558972 왜 미군 함정을 돌려보냈을까들어보세요ㅜ 10 팟빵새날 2016/05/19 2,308
558971 술먹고 노름하는 아버지들은 2 ㅇㅇ 2016/05/19 1,037
558970 부동산 횡포때문에 가슴이 부글부글 거려요 ㅜㅜ 5 0000 2016/05/19 2,933
558969 성악전공하신분있으신지요? 4 ㅇㅁ 2016/05/19 1,520
558968 좁쌀,작은 화농성 여드름 짜기전에 가라앉으라고 어떤거 바르는.. 7 여드름 2016/05/19 3,282
558967 어제 겪은 개저씨들!! 5 으윽 2016/05/19 2,553
558966 하남 에코타운 1단지 아시는 분~~ 5 이사 2016/05/19 3,062
558965 급)내일소풍인데 가방 베낭메고 가나요 아님 미니 크로스백 4 중1 2016/05/19 1,069
558964 황신혜씨 의외로 다시 재혼하고 싶어하네요.. 19 .. 2016/05/19 18,605
558963 요즘 자게에서 흥하는 80년대 팝음악 저도 한곡 추천합니다 2 덕이 2016/05/19 919
558962 저도 그릇 질문. . . 어디서 팔 수 있을까요? 7 아이스라떼 2016/05/19 2,026
558961 어딜가나 남자가 꼬이는 여자 26 dddd 2016/05/19 33,942
558960 미용(미용실)기술, 마흔후반에 하면 무리일까요.. 2 기술 2016/05/19 2,043
558959 중환자실앞 14 기도 2016/05/19 5,339
558958 나이지리아 목회자의 외침 2016/05/19 760
558957 앞트임 구두 발가락이 너무 아픈데 7 발아픈구두 2016/05/19 2,340
558956 "리얼스토리 눈" 무슨 편집이 이렇게 산만해요.. 12 레이디 2016/05/19 2,418
558955 데이터 2기가라면 어느 정도인가요? 2 2016/05/19 13,921
558954 남자들은 나 정도면 괜찮지 이게 있는 것 같아요 11 ㅇㅇ 2016/05/19 2,721
558953 블로그에서 물건을 주문했는데 배송이 안오네요 6 열받 2016/05/19 1,277
558952 삼겹살 먹을때 과자처럼 바싹구워먹는사람 있나요? 28 고기사랑 2016/05/19 7,590
558951 남의 택배가 내집앞에 2 이럴땐 어떻.. 2016/05/19 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