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씽크대 위에 아무것도 내놓지 않고 쓰시는 집은

lll 조회수 : 3,746
작성일 : 2016-01-05 10:10:43
그 물건들이 전부 씽크대 안에 있는건데
그릇 말고 조리 도구나 행주 같은건 어디에 두시는거예요
서랍에 보관하시나요?
그런데 서랍에 수저나 조리도구 넣는게 그다지 위생적일것 같지 않아요.
서랍 열고 닫으면서 나무가루나 먼지가 쌓일거 같고
예전ㅇ 새집 살 때 보니까 첫번째 서랍은 상판과 바로 맞닿아 있는데 상판 인조 대리석 가루를 아무리 닦아도 뿌옇게 나오더라구요.
얇은 행주로 덮어놓고 쓰면 나을까요?
그리고 매일 쓰는 행주도 빨아 말려서 그걸 서랍에 보관하자니 같은 이유로 꺼려져서 플라스틱 통안에 담아 서랍에 두는데 꺼낼때 번거롭고

그리고 수저같은 작은거까지 일일이 물기 닦아 넣으려면 시간도 오래 걸릴거 같고.
국자 같은 조리 도구는 서립에 넣기 불편할테고
씽크대 문 안 쪽에 고리 달아서 거는 방법을 예전엔 써보기도 했는데
오래된 씽크대라 그런게 꺼려져서 이제 다 꺼내놓고 쓰니 씽크대 위가 너무나 지저분해요.
그릇도 가끔 쓰는건 씽크대 보관했다가 쓸때 꺼내서 물로 한 번 헹궈 쓰믄데
매일 쓰는 식기는 가짓수도 많은데 그렇게 쓰기 번가로울거 같아요.

위생도 따지고 미관도 따지고 둘다 챙기긴 어려운거죠? 둘중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거죠?

안에다 수납하는게 무조건 다 위생적이지 않다는건 아니예요.
저희 씽크대가 오래되서 제가 거기에 넣기 꺼려지는
거구요.
주방 좀 깔끔하게 쓰고 싶은데 좁고 낡은 곳에서는 어려운 일이네요
IP : 175.223.xxx.102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6.1.5 10:22 AM (49.142.xxx.181) - 삭제된댓글

    그냥 식기건조기에서 싹 건조시켜서 서랍에 넣어놓습니다.
    가스렌지위에 예쁜 빨간 범랑 주전자 하나만 놓고 (나름 인테리어효과로)
    싱크대 위는 싹 치워놔요. 개숫대도 설거지통조차 없어요. 아무것도 없음.
    다 건조기에서 건조시킨후 바로 싱크대속에 넣어요.

  • 2. ㅇㅇㅇ
    '16.1.5 10:24 AM (49.142.xxx.181)

    그냥 식기건조기에서 싹 건조시켜서 서랍에 넣어놓습니다.
    가스렌지위에 예쁜 빨간 범랑 주전자 하나만 놓고 (나름 인테리어효과로)
    싱크대 위는 싹 치워놔요. 개숫대도 설거지통조차 없어요. 아무것도 없음.
    다 건조기에서 건조시킨후 바로 싱크대속에 넣어요.
    저희 싱크대는 가스렌지가일체형이라서 싱크대에 붙어있고 밑에 서랍들이 큼직큼직해요.
    조리도구 수납할수 있게 칸막이도 되어있고요.

  • 3.
    '16.1.5 10:32 AM (223.33.xxx.85)

    전 그렇게 하니 깔끔은 한데 손이 많이 가서
    편한대로 꺼내놓고 살아요
    손님 온다하면 들어가고
    내 편한대로 살려구요

  • 4. 저도
    '16.1.5 10:32 AM (112.150.xxx.194)

    건조대 없애고 조리도구도 전부 서랍으로 넣었어요.
    설겆이하고 씽크대에 걸쳐놓는 물빠지는거? 거기에서 물기빠지면 씽크대로 다넣어요.
    씽크대위에 놔둬도 먼지 엄청나요.

  • 5. ...
    '16.1.5 10:39 AM (116.39.xxx.29) - 삭제된댓글

    밥솥 빼고 전부 넣어 쓰는데요.
    전 그다지 부지런하지 못해서 일일이 물기 닦지 않고 세척기나 손세척한 것 다 마르면 한꺼번에 정리해요. 그러니까 설거지 직후에는 큰 냄비 같은게 엎어져있고 세척기 문은 열려있어서(건조로 넘어가면 바로 끄고 열어놓음) 좀 어수선하죠.
    행주는 가스오븐 손잡이에 계속 널어놓는데 다행히 거실에서 안보여서 거슬리진 않네요. 물론 마른 수건은 서랍에 들었고.
    자주 쓰는 국자,집게류는 서랍에 눕혀쓰는데 지금은 적응돼서 괜찮지만 예전 깊은 서랍에 세워쓸 때가 더 편하긴 했어요.
    지금은 전부 ~할테고, ~불편할 것 같다고 쓰셨지만 일단 시도해서 적응하면 무지 편해요. 쓰다보면 자기만의 요령이 생기니까요.

  • 6.
    '16.1.5 10:41 AM (221.145.xxx.165)

    싱크대 상판위엔 될수있는대로 아무것도 안둡니다
    깨끗한 대리석 상판만 있구요
    개수대 위로 긴봉이 있어서 거기 스탠2단장이 달려
    컵 이쁜거 쪼르르 4개 씻어놓고 그릇 한두개만 올려둬요
    도자수저통도 달려있어 편해요
    개수대안 철망에 기본 밥그릇 접시 몇개 있구요
    그외는 상판 깨끗~
    가스쿡탑만 있고 아무것도 없어요

  • 7. 저도
    '16.1.5 10:47 AM (14.47.xxx.73)

    저도 궁금해요
    그릇 냄비나 락앤락 반찬그릇은 어디다 보관하세요??

  • 8. 한참
    '16.1.5 11:49 AM (221.150.xxx.16)

    인테리어에 빠져 있을 때 저도 그런 고민이 많이 했었는데요.
    너무 완벽하려 하면 편안한 일상이 안되요.
    항상 종종거리게 되고 또 시스템적으로 완벽하게 완성하려 하면 돈이 많이 들게 되구
    본인이 편한게 가장 완벽한 인테리어죠 뭐.

  • 9.
    '16.1.5 2:46 PM (223.62.xxx.111)

    행주 안써요
    일회용 스카치 종이행주 쓰고요
    개수대에 선반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어요
    빌트인된 식기세척기에 바로 넣어요
    수저도 그 안에 보관
    조리도구만 연필꽂이 같은 모양의 흰색 도자기 홀더 두개에 넣어두고 쓰는데
    밖에 나와있는 대신 색깔 통일이에요
    나무이거나 스텐이거나 흰색만 허용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6075 이건... 진짜 너무 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제발) 9 할망구 2016/04/10 3,272
546074 개를 미용시켜볼까하는데요... 한번도 안해봐써... 4 애견인 2016/04/10 781
546073 "양당 체제 깨뜨리는 혁명에 동참해달라" 호소.. 17 샬랄라 2016/04/10 1,349
546072 철분제 뭐가 젤 좋아요 약사샘 계신가요 7 철분 2016/04/10 3,325
546071 아이가다섯에서 소유진 연기말이죠. 16 재미져 2016/04/10 7,057
546070 몸살감기라는데 머리가 정말 너무 아파요. 3 봄노래 2016/04/10 2,485
546069 jtbc 당신도 몰랐던 진짜마음, 유권자 실험이라는데.. 2 투표 2016/04/10 1,167
546068 공복운동? 식후 운동? 5 몸튼튼 2016/04/10 1,942
546067 키 168넘는 분들, 힐 신으세요? 24 2016/04/10 6,840
546066 주말부부로 살게된다는것 14 주말부부 2016/04/10 4,483
546065 한계레 신문을 폐간시켜라!!!!!!!!!! 9 한걸레 2016/04/10 3,761
546064 가족사진 촬영할 만한 곳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1 찰칵 2016/04/10 680
546063 조디악 소파 아시는 분? 6 별세개 2016/04/10 3,129
546062 10cm힐은 키 몇 정도 되는 사람이 신어야 할까요.. 7 질문.. 2016/04/10 2,063
546061 최화정 강아지 키우는거.. 재밌네요.. 10 .. 2016/04/10 5,354
546060 집 사려는데 집 값의 몇 퍼센트까지 대출되나요? 5 ... 2016/04/10 2,055
546059 제이**티나? 김연아 광고 보셨나요? 14 ㅎㅎ 2016/04/10 7,679
546058 견미리팩트 써보신분 좋나요? 34 마른여자 2016/04/10 10,997
546057 저 문재인님하고 두번이나 악수 했어요 19 안산시민 2016/04/10 1,872
546056 이번선거든 담번대선이든.이것만은 하지말길 3 우리다 2016/04/10 461
546055 아이가 다섯 마지막에 빵터졌어요 19 드덕이 2016/04/10 5,703
546054 서울은평갑 더불어민주당 박민주로 후보단일화 8 집배원 2016/04/10 1,131
546053 세월호726일) 곧..2년!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 6 bluebe.. 2016/04/10 396
546052 김을동을 뽑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 20 ... 2016/04/10 3,244
546051 다이어트 중인데 한식이 너무 땡겨요 7 .... 2016/04/10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