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거지 팁 좀 공유해주셔요♡

순덕이엄마 조회수 : 3,047
작성일 : 2016-01-03 12:03:27
검색 열심히해서
세제 원액쓰지말고 희석해서 쓰는법 배웠구요
보통 제가 하는 순서가
큰그릇설거지하고 나머지그릇은 아크릴수세미로 헹굼 설거지하고
건조대에 올려놓고 가스렌지닦고
싱크대 찌꺼기 탁탁털고 싱크대 휘리릭닦고 끝인데요
항상 건조대에 그릇이 쌓여있어요 마르면 넣어야되는데
사이사이 설거지하고 그러니까 그릇들이 잔뜩 건조대에 있네요

리조트처럼 좀 깔끔하게 넣고살고 싶어요
설거지팁좀 상세히 알려주세요
부지런히 배우겠습니다
IP : 223.62.xxx.125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3 12:0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넣고 빼고 일만 늘어나는 거라..
    그냥 건조대에 세워놓고 써요.
    대신 되도록 접시는 딱 쓰는 것만 쓰려고 하고.
    뚜껑 있는 찬통들은 씻어서 찬장에 넣어놓아요.
    넣고 빼고.. 하는 것도 일인데, 다 꺼내놓고 쓰면 정신없기는 해요.

  • 2. ..
    '16.1.3 12:0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넣고 빼고 일만 늘어나는 거라..
    그냥 건조대에 세워놓고 써요.
    대신 되도록 접시는 딱 쓰는 것만 쓰려고 하고.
    뚜껑 있는 찬통들은 씻어서 찬장에 넣어놓아요.

    저는 건조대가 싱크대에 매달려 있는 거라,
    쌓아놓지는 않아요. 밥그릇, 국그릇은 쌓는데, 접시는 세워 놓아요.
    컵도 컵 건조대를 접시 건조대에 추가로 달아서, 거기에 놓구요.
    많이 밉지는 않아서 그냥 써요.
    넣고 빼고.. 하는 것도 일인데, 다 꺼내놓고 쓰면 정신없기는 해요.

  • 3. ..
    '16.1.3 12:0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넣고 빼고 일만 늘어나는 거라..
    그냥 건조대에 세워놓고 써요.
    대신 되도록 접시는 딱 쓰는 것만 쓰려고 하고.
    뚜껑 있는 찬통들은 씻어서 찬장에 넣어요.

    저는 건조대가 싱크대에 매달려 있는 거라,
    쌓아놓지는 않아요. 밥그릇, 국그릇은 쌓는데, 접시는 세워 놓아요.
    컵도 컵 건조대를 접시 건조대에 추가로 달아서, 거기에 놓구요.
    많이 밉지는 않아서 그냥 써요.
    넣고 빼고.. 하는 것도 일인데, 다 꺼내놓고 쓰면 정신없기는 해요.

  • 4. 전요
    '16.1.3 12:09 PM (121.166.xxx.153)

    빨리 말라야 수납할수 있잖아요
    그래서 냄비 같은거나 부피 큰 그릇은 건조대에
    엎어서 물 좀 빠지면 키친타월로 바닥과 겉면 물기를 닦아서
    가스렌지 위 이런데 잠깐 둬요
    그럼 삼십분 안에 안까지 다 마르더라구요
    마르기만 하며 바로 다 넣어요.
    냉장고 물 마시러 가거나 이렇게 왔다갔다 하면서
    생각나면 들여다보고 말랐으면 넣어요

  • 5. 무조건
    '16.1.3 12:10 PM (121.166.xxx.153)

    그러니까 다음 설거지 할때 건조대 있는걸 먼저 정리해서 넣어놔요

  • 6. 글쎄
    '16.1.3 12:11 PM (222.110.xxx.249)

    설겆이물에 식초몇방울 떨어뜨리면 기름때 잘 없어진다던데

  • 7.
    '16.1.3 12:30 PM (180.229.xxx.156)

    그릇에 세제풀어서 설거지하구요. 그릇이랑 냄비를 팍 줄였어요. 그랬더니 그릇이 쌓이지 않아요. 그릇이 없으니 바로바로 설거지해야하니까 밀린건 밥먹기전에 뚝딱해치워요. 말리면 넣고 자시고 할 필요도 없어요. 남은거 그릇에 비우고 바로 닦아서 또 요리해야하니까요. 살림줄이니 훨씬 수월해요

  • 8. 귀찮아도
    '16.1.3 12:32 PM (121.125.xxx.115)

    꼭 설거지후에는 상부장으로 옮겨요.
    그래야 잘 마르고요.

    다 마른 그릇은 또 그릇장으로 옮겨서 어지간하면 씽크대 그릇 선반이랑 상부장에 그릇 없애요.

    물론 정리잘 할때요.

    정리를 물어보셔서...

    상부장으로 안 옮기고 씽크인 선반에 포개놓은 설거지ㅜ마친 그릇은 잘 안 말라요.

  • 9. 씽크대 바로 아래에 거는
    '16.1.3 12:41 PM (218.236.xxx.90) - 삭제된댓글

    선반... 한샘껄로 달았는데 사이즈가 넉넉해서 접시랑 그릇들 금방 말라서 좋네요. 한샘 씽크대 설치할 때 딸려온 철제 그물망을 개수대 씽크대 상판 위에 커다란 사각쟁반(? 이름이 생각 안나는데 과일이나 차잔 나를 때 쓰는 플락스틱 쟁반) 위에 올려놓고 도마, 남비나 팬 등을 세워두면 금방 말라요. 두 식구라 잘 해먹지도 않아서 하루 한번 몰아서 설거지합니다.

  • 10. 씽크대 바로 아래에 거는
    '16.1.3 12:43 PM (218.236.xxx.90) - 삭제된댓글

    그릇들이 다 마르거나, 다음 설거지 하기 전에 건조대나 철제그물망에 그릇들 씽크대 장으로 옮기구요.

  • 11. 송이
    '16.1.3 3:12 PM (118.32.xxx.70)

    다이소가면 경사진 납작한 건조대가 있는데, 건조대 받침으로 쓰면 좋아요.
    개수대 옆에 살짝만 걸쳐놓으면 개수대로 물이 다 빠지고 받침대엔 물이 고이지 않아요.
    쟁반으로 받칠 때보다 훨씬 좋아요.
    뭐, 여기에 그릇 얹어놓고 물빠지는거 기다리면 콘도같은 느낌은 안나긴하는데.~
    전 이게 좋아서 알려드려요.

  • 12. 행주..
    '16.1.3 3:49 PM (175.207.xxx.158)

    마른 행주로 바로 바로 닦고 넣어야 건조대가 깔끔할듯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6656 춘천에 눈 쌓였나요? 눈 구경 2016/01/09 372
516655 본인 사업체 운영하고 계신 82분 있으신가요 6 여성사업가 2016/01/09 1,507
516654 강남인강 하려는데.. 1 고2 2016/01/09 1,065
516653 보육원이나 양로원 등 시설에서 봉사하려면...어떻게 해야 하나요.. 1 저기 2016/01/09 738
516652 안방 붙박이장 설치는 어떤가요? nn 2016/01/09 861
516651 해외여행시 한국인 만났을때 우리 모습 어떤가요? 19 여행 2016/01/09 4,562
516650 결혼하고 싶은데 ㅠ 이성 만날데가 너무 없네요.... 23 ㅇㅇ 2016/01/09 7,702
516649 때(각질)가 많으신 분들 어찌 미세요? 7 아흑 2016/01/09 2,379
516648 응팔보다보면 배고프지 않나요? 4 ㅇㅇ 2016/01/09 1,331
516647 휘슬러 냄비 쓰시는분들께 질문있어요.. 7 ㅅㄷᆞ 2016/01/09 1,688
516646 믿을만한 골드바 어디가 좋을까요 5 골드바 문의.. 2016/01/09 2,951
516645 애낳는 고통 어느정돈가요? 51 . . 2016/01/09 7,033
516644 지금 서정희나오는데요 49 Pp 2016/01/09 16,196
516643 진짜 천사같은 분들을 보고오니 며칠간 기분이 아주 좋아요(천주교.. 2 카르페디엠 2016/01/09 1,346
516642 조미료 덜들어간 마트김치 2 문의 2016/01/09 696
516641 삼숙이 추천해주세요^^ 추천 2016/01/09 579
516640 4년제 전문대학 간호학과 비전및 진로 19 가을동동이 2016/01/09 5,493
516639 알뜰폰 사용자인제 와이파이 상태에서 긴 메시지를 못 받네요ㅜㅜ 5 메시지 2016/01/09 1,210
516638 목동 ssg타임 세일 저녁 8시쯤이면 할까요? 4 2016/01/09 1,347
516637 힐러리 vs 트럼프 지지율 격차 3 ㅇㅇ 2016/01/09 1,487
516636 등기부상 채권최고액 1억8천이면 실질 대출액이 얼마인가요? 12 ... 2016/01/09 2,605
516635 냉장고 4도어 쓰시는 분 어떠세요? 5 nn 2016/01/09 2,503
516634 응팔 재방송은.. 1 2016/01/09 923
516633 예비고1) 국어의 기본기를 튼튼히 하려면 어떤 교재가 좋을까요?.. 7 교육 2016/01/09 1,426
516632 멸치에서 비린내 제거법 있나요? 8 지혜를모아 2016/01/09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