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책중에

ㅇㅇ 조회수 : 1,823
작성일 : 2015-12-30 11:30:36

꽤 오래전에 유행했지만

그때 읽은거 중에 기억에 남는게


부자아버지는 학력이 별로인데

회계사,변호사등 정말 잘배운 사람들이

자기 아버지 밑에서 일하는거 보면서

아버지의 어떤 능력때문에 저런 상황이 가능한가


아버지는 남들은 차마 감수할수 없는

어마어마한 리스크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이 탁월했다고..

모험에 따르는 정신적 부담을 견디는 능력

그걸 책임지는 정신력..


그리고 또하나

자신이 35세가 넘어서면서

세상의 변화를 더이상 쫓아가지 못하고

뒤쳐지기 시작했다고 느끼기 시작했다고..


근데 저 두개는

제가 그후 10여년간 개인사업과 직장생활등을 하면서

깊이 공감하는 말이 되었네요..


35세이후 정말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줄고

늘 알던길 익숙한 것만 찾게 되고...

IP : 58.123.xxx.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30 11:39 A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맞아요..
    당장에는 월급 통장에 돈 모이고, 안정적이라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지만,
    35 되면 이제 자기는 쓸만큼 쓴 오래된 가전이나 비슷해요.
    반짝반짝 예쁘고 교육도 자신보다 많이 받고, 열정도 만땅으로 충전받은 신상품 가전이 줄 서 있거든요.

    하지만, 도전하는 사람들은
    35 이 되도록 도전과 고난의 연속이에요.
    그런데, 어느 순간 빛을 발하기 시작하고, 그 이후는 용암 같아요.
    안에 뭐가 들었는지 모르지만 끝없이 뭐가 나오는 것 같아요.
    능력도 폭발하게 되고, 물론 돈이 직장인 10년 일해 모을 거 1년 만에 모으고요.
    이 사람들 확실한 특징은 리스크, 스트레스.. 에 강하다는 점은 있어요.

  • 2. 리스크,스트레스에 강한 사람이라...
    '15.12.30 11:46 AM (222.101.xxx.223)

    생각이 많아지네요

  • 3. 저는
    '15.12.30 12:00 PM (125.182.xxx.27)

    그말이기억나요
    시스템을만들어라
    내가기계의부속품이되지말고자유인이되고
    돈을만드는시스템 ....

  • 4. ..
    '15.12.30 12:0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 5. ..
    '15.12.30 12:10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6. ..
    '15.12.30 12:11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7. ..
    '15.12.30 12:1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8. ..
    '15.12.30 12:13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9. ..
    '15.12.30 12:14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10. ..
    '15.12.30 12:1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1. 그냥
    '15.12.30 12:1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2. 그냥
    '15.12.30 12:2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3. 그냥
    '15.12.30 12:2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 14. ..
    '15.12.30 12:3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5. ..
    '15.12.30 12:3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6. 그냥
    '15.12.30 12:5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사실 에너지가 딸려서 2번 도전하기도 힘든 나이.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7.
    '15.12.30 1:43 PM (183.101.xxx.9)

    스트레스에 강하다기보다 견디는거 아닐까요
    스트레스가 엄청날거 빤히 아는데도 덤비고
    죽을거같아도 도망안가고 포기안하고 버티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7043 서울대 옆 신림현대아파트 궁금해요 4 a 2016/03/12 2,132
537042 개똥 어디에 버리시나요?? 12 ㅠㅠ 2016/03/12 4,470
537041 혹시 장기미제수사팀에 안경끼고 목소리 특이하신분 3 .. 2016/03/12 1,630
537040 시그널 지금 막 봤는데.. 3 kkk 2016/03/12 1,789
537039 그알 보니 제발 이혼들 하더라도 애들좀 챙기시길 바랍니다.. 8 2345 2016/03/12 2,934
537038 국어 문제 - 우연히, 우연찮게 3 ..... 2016/03/12 924
537037 시그널 앞부분 봤는데 베이코리안 안되네요 1 에휴 2016/03/12 2,237
537036 영어유치원교사보다 마트 캐셔가 어떨지~ 6 생각중 2016/03/12 4,043
537035 그것이 알고 싶다. 8 ... 2016/03/12 2,244
537034 사람에 대한 신뢰감이 없어졌어요 여러일 2016/03/12 812
537033 울산 성민이 사건 기억하세요? 6 천벌 2016/03/12 2,186
537032 도배 장판 씽크대비용 좀 봐주세요. 2 푸르른물결 2016/03/12 1,710
537031 논술 선생님이 저희 아이가 고지식하다고 해요 37 기분이 나쁘.. 2016/03/12 4,211
537030 초3여아가 부모없이혼자 입원해도 되나요? 14 병원입원 2016/03/12 2,823
537029 이쯤되면 문재인은 안철수 혁신전대 안받은게 후회되겠네요 10 .... 2016/03/12 1,297
537028 시그널에 김문순대 강제소환 맞죠? 7 ㅋㅋㅋㅋ 2016/03/12 3,148
537027 인터뷰 이세돌 목소리가 특이한 진짜 이유 7 알려주께 2016/03/12 8,141
537026 네이버 계정으로 갑자기 보험 안내 메일이 미친듯이 쏟아져요. 1 이상한일 2016/03/12 594
537025 오늘 마트에서 있었던일 13 학대 2016/03/12 5,836
537024 태블릿 선택 도와주세요 1 태블릿 2016/03/12 651
537023 금슬좋은 부부 비결이 뭘까요? 38 혹시 2016/03/12 14,296
537022 오늘 새벽에 타로 봐준다던 사람 어디 갔나요? 2 dhsmf 2016/03/12 1,284
537021 세월호697일) 미수습자님들이 바닷 속에서 나와 가족들 꼭 만나.. 10 bluebe.. 2016/03/12 452
537020 상크대 에넥스와 리바트 중 고민.. 8 eun 2016/03/12 2,987
537019 아빠칠순 4 화나네요 2016/03/12 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