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에게 효도하라고 강조강조 하는 이유가

예로부터 조회수 : 1,931
작성일 : 2015-12-23 20:39:54

자기 자식들에겐

잘하라고 말안해도 잘하지만,

 

부모는 그게 안되기 때문에

그렇게 책에서 이야기에서

강조를 했나봐요.

 

허벅지살을 떼어먹였다는 이야기부터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였다는 이야기,

자기아이를 솥에 넣어 삶아먹였다는 이야기까지...

 

 

IP : 218.235.xxx.11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효사상의 본질은
    '15.12.23 8:51 PM (61.106.xxx.234)

    군주에 대한 절대충성이 시작입니다.
    때로는 충효사상이라고 붙여써서 속내를 그대로 보여주기도 하죠.
    권위의 상징인 부모에 대한 효심은 그보다 더 큰 권위인 군주에 대한 충성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기가 쉬운 거죠.
    그래서 가스통 영감들이 새누리에 목을 매는 거고요.
    군주에 대한 충성심=부모=노인에 대한 충성심의 고리로 연결되는 것을 아니까요.

  • 2. 타임리
    '15.12.23 9:06 PM (124.146.xxx.71)

    고려장

    고려장은 고려인이 효도심이 없어서 있었던 일인가?

    고려장 풍습이 있던 고구려 때 박정승은
    노모를 지게에 지고 산으로 올라갔습니다.
    그가 눈물로 절을 올리자 노모는
    '네가 길을 잃을까봐 나뭇가지를 꺾어
    표시를 해두었다' 고 말합니다.

    박정승은 이런 상황에서도 자신을 생각하는
    노모를 차마 버리지 못하고 국법을 어기고
    노모를 모셔와 몰래 봉양을 합니다.

    그 무렵 중국 수(隋)나라 사신이 똑같이 생긴
    말 두 마리를 끌고 와 어느 쪽이 어미이고
    어느 쪽이 새끼인지를 알아 내라는 문제를 냅니다.
    못 맞히면 조공을 바치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문제로 고민하는 박정승에게
    노모가 해결책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말을 굶긴 다음 여물을 주렴,
    먼저 먹는 놈이 새끼란다."


    고구려가 이 문제를 풀자 중국은
    또 다시 두 번째 문제를 냈는데
    그건 네모난 통나무 토막의 위 아래를 가려내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도 노모는
    “나무란 물을 밑에서부터 빨아올린다.
    그러므로 물에 뜨는쪽이 위쪽이란다.“

    고구려가 기어이 이 문제를 풀자
    약이 오를때로 오른 수나라는 또 어려운 문제를
    제시했는데
    그건 재(灰)로 새끼를 한다발 꼬아 바치라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나라에서 아무도 이 문제를 풀지 못했는데

    박정승의 노모가 하는 말이
    “얘야, 그것두 모르느냐?
    새끼 한다발을 꼬아 불에 태우면 그게 재로 꼬아 만든 새끼가 아니냐?“

    중국에서는 이 어려운 문제들을 모두 풀자
    “동방의 지혜있는 민족이다.” 라며
    다시는 깔보지 않았다 합니다.
    그리고 당시 수나라 황제 수 문제(文帝)는
    “이 나라(고구려)를 침범하지 말라 .” 고 당부합니다.

    그런데도 이 말을 어기고 아들인 수 양제(煬帝)가
    두 번이나 침범해와
    113만명이 넘는 대군(大軍)으로도 고구려의 을지문덕장군에게 대패하고는 나라가 망해버립니다.

    그다음에 들어선 나라가 당(唐)나라인데
    또 정신을 못차리고 고구려를 침범하다가
    안시성싸움에서 깨지고
    당시 황제인 당 태종(太宗)은 화살에 눈이 맞아 애꾸가 된채로 죽습니다.
    이렇게 해서 노모의 현명함이 세 번이나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왕을 감동시켜, 이후 고려장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집니다.

    그리스의 격언에
    '집안에 노인이 없거든 빌리라' 는 말이 있습니다.

    삶의 경륜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잘 보여 주는 말입니다.

    가정과 마찬가지로 국가나
    사회에도 지혜로운 노인이 필요합니다.

    물론 노인이 되면 기억력도 떨어지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고,
    자신의 경험에 집착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그 대신 나이는 기억력을 빼앗은 자리에
    통찰력이 자리잡게 합니다.

    노인의 지혜와 경험을 활용하는 가정과 사회,
    그리고 국가는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웃어른을 공경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합시다 .
    누구나 곧 노인이 됩니다. 파이팅!

  • 3. ㅇㅇ
    '15.12.23 9:16 PM (203.254.xxx.122)

    댓글덕에 많이 배우고가네요~^^

  • 4. ....
    '15.12.23 9:19 PM (39.119.xxx.160)

    자식한테 쏟는 돈 ,정성 반만 부모한테 쏟아도 효자효녀 소리 듣겠지요 . 내가 겪어보니 내자식한테 효자효녀 돼라 소리 못하겠어요 ...의무아닌 마음에서 우러난 치사랑 정말 어렵거든요 ,

  • 5. 첫댓글님에 찬성
    '15.12.24 1:17 AM (98.253.xxx.150)

    그리고 고려장은 우리나라 풍습이 아니라 일제 때 조선의 무덤을 파헤치는 도굴이 성한한 데에서 일부로 퍼뜨린 설이라고 밝혀졌어요.. 오히려 일본에 있는 풍습이었죠. 일본영화 '나라야마 부시코' 시대배경이 300년전인데.. 고려장 전설이 주제인것만 봐도 알수 있어요. 하여튼 일본은 우리나라 많이 망가뜨렸어요.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후대에까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957 헐 ,, 어처구니없는 상간녀 23 2016/01/03 24,200
514956 중학생 아이 여드름 치료 받고 왔는데요 15 피부과에서 2016/01/03 5,001
514955 중학교 가기전 1 khm123.. 2016/01/03 721
514954 제 경우 양도세 물게 되나요? 2 양도세 2016/01/03 1,180
514953 일 닛케이, 박근혜 고조되는 국가분열 무능 드러내 8 light7.. 2016/01/03 1,008
514952 조청이 설탕보다 건강에 나은가요? 7 질문 2016/01/03 4,016
514951 드라마 나인 다시 보는데 ..이진욱 왜이리 섹시 한가요 8 ㄹㄹ 2016/01/03 2,611
514950 망원동 이사왔어요.. 4 .. 2016/01/03 3,545
514949 등산복을 입은 아줌.아저씨들 노래방나오며 하는말 8 방금 2016/01/03 6,454
514948 마이클럽 만든 이수영씨 요즘 뭐하시나요?? 웹진도 이분이 만들.. 1 여울 2016/01/03 2,098
514947 응팔에서 진주... 너무 방치하며 키우지 않나요? 106 근데 2016/01/03 19,527
514946 피아노 잘 아시는분 제 글 좀 봐주세요 5 피아노.. 2016/01/03 1,262
514945 난 나쁜 며느리... 1 안드로로갈까.. 2016/01/03 1,408
514944 홍콩 갑부이야기 15 2016/01/03 7,789
514943 from ashy to classy 가 무슨 뜻인가요? 5 부탁드려요 2016/01/03 2,706
514942 한지혜는 왜 오스트리아에서 거주하는 건가요? 22 딜리쉬 2016/01/03 36,789
514941 원숭이띠들이 잔머리가 잘 돌아가나요? 9 ? 2016/01/03 2,664
514940 처음 분양 받았어요. 붙박이장에 대해... 1 .. 2016/01/03 1,337
514939 밤 라떼는 어떻게 만드나요? 2 밤 라떼 2016/01/03 1,150
514938 부산) 아침 6시 할만한 운동 뭐가 있을까요? 82쿡스 2016/01/03 794
514937 얌체 같은 친구 보이면 어떻게들 하세요? 5 린든 2016/01/03 3,673
514936 응답하라 1988 덕선이 사진(혜리) 22 아니야 2016/01/03 8,562
514935 짝사랑 ? 영어가 어려운게,,,,, 7 drawer.. 2016/01/03 2,348
514934 표교수는 비례 우선으로 주는게 나을거 같아요. 18 ㅇㅇ 2016/01/03 2,208
514933 갑자기 양도세 천만원을 내게 되었어요. 9 양도세? 2016/01/03 5,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