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골 창고업 어떤가요?

쉬울까... 조회수 : 1,438
작성일 : 2015-12-22 09:21:02
부모님이 귀농을 늘 꿈꾸고 계세요.
최근 진상 윗집 층간소음에 너무 심하게 시달리시다 보니, 더욱 간절하신가 봐요.

그런데, 본격적 농사 경험이 없으세요.
손바닥만한 텃밭은 해보신 적 있고요.

그러던 중 누가 그럼 창고업을 해보시라 그랬나 봅니다.
농사는 텃밭 수준으로 하고, 창고를 주업으로 하면 된다고요.

그런데, 초기 투자금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고 해서 위험부담이 커보이는데, 다른 말을 안 들으려 하세요.

농사무경험자로서 허가도 그렇고, 여러가지로 쉬워 보이지 않아 얼마 없는 재산마저 다 날릴 위험도 있어 보이는데, 옆에서는 계속 부추기나 봅니다.

IP : 119.14.xxx.2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이
    '15.12.22 9:22 AM (119.14.xxx.20)

    잘못 올라갔군요.

    아무튼 농어촌 지역에 사시거나 사정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아무 조언이라도 좀 부탁드립니다.

  • 2. ...
    '15.12.22 9:41 AM (116.39.xxx.160) - 삭제된댓글

    제 친정이 공업도시 주변..
    주변에 창고형 공장이 많아요.

    저의 경우도 유산으로 땅을 물려 받았는데 처음에 창고형 공장 지어서 임대 생각 했어요.

    근데 현실은 텅빈 공장도 많고 어지간하면 빚이라도 내어서 땅 사서 짓지 임대 하지 않아요.

    잘 알아보고 하세요. 건축비 날리는 수도 있으니..

  • 3. 원글이
    '15.12.22 9:52 AM (119.14.xxx.20)

    저도 같은 생각이어서 만류하고 있거든요.
    옛날에나 창고 빌려 썼겠지, 요즘이야 필요하면 짓지 뭐하러 대여해 쓰겠냐고요...
    마을마다 기존 창고들도 많이 있을 테고요.

    그런데, 거기는 농업용 창고가 부족한 마을이라나뭐라나...
    그 동네 사시는 먼 친척분이 자꾸 바람을 넣으시나 봐요. 에휴...

  • 4. ..
    '15.12.22 9:57 AM (125.181.xxx.195)

    바람에 흔들리시면 안 되요..
    IC가 바로 근처에 있는 지역인지도 확인하세요~
    가능한 말리시고요..

  • 5. 쐬주반병
    '15.12.22 10:16 AM (115.86.xxx.158)

    농사가 주 업인 시골로 가셔서, 농산물 보관 창고를 하시는 것은 괜찮을 것 같은데요.
    감자나 브로콜리 양배추 등..보관이 가능한 냉장 창고요.
    농부들이 농사를 지어서 다 팔지는 않고, (수매가가 너무 낮거나 할 경우는 팔지 않거든요)
    값이 좋을 때, 예를 들면 가을에 감자를 캐서, 보관했다가 봄에 가격이 비쌀 때 판다던가 하는 그런 류요.
    농산물 보관 창고를 하실 경우, 군청 등에서 지원이 되거든요.
    지원 자격은 제가 모르겠구요. 하지만.....위험 부담은 있다는 것...

  • 6. 물류
    '15.12.22 10:31 AM (124.56.xxx.12) - 삭제된댓글

    창고가 아니고 농사용이군요..
    참고로 물류창고는 창고에 보관할 물류부터 확보하고 건축합니다..

  • 7. 수도권
    '15.12.22 10:46 AM (121.152.xxx.100) - 삭제된댓글

    ic근처 인가요??

  • 8. 원글이
    '15.12.22 12:24 PM (119.14.xxx.20)

    제가 제목을 정확히 안 썼군요. 제목부터 써내려 오다 보니...

    냉장창고를 말씀하시는 건진 모르겠으나, 일단 농산물보관창고를 말씀하시는 거 맞아요.
    가고자 하시는 동네가 ic근처는 아니나, ic까지 차로 한 십오분? 아무튼 금방 가요.
    이 정도면 인근이라 봐도 되는 건진 모르겠군요.

    꽤 오래된 농촌마을인데 창고가 부족하다면 냉동창고일 듯 싶긴 합니다.
    자세히 여쭤봐야 겠군요.

    하지만, 냉동창고는 건축비가 굉장히 많이 들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렇게 많이들 이용하실까 모르겠군요.

  • 9. 원글이
    '15.12.22 12:25 PM (119.14.xxx.20)

    아, 참, 주신 답변들 일단 고맙습니다.^^

  • 10. 결사반대
    '15.12.22 2:03 PM (211.110.xxx.49)

    냉동창고니 냉장 창고가 필요한 정도로 농사 지으시는 분들은 다들 자가로 창고 가지고 있어요
    글고 정부에서 보조가 나오는데 누가 대여를 하나요
    물품 보관 잘못했다가 물건 상하면 것도 보상해야 됩니다
    친척분말에 현혹되지 마시고 노후자금 축내지 마시라고 하세요
    그 친척분 사심있어 보여요
    시골서 이십년이상 살고 있는 아짐입니다

  • 11. 에휴
    '15.12.22 6:17 PM (121.183.xxx.99)

    적극 말리세요.
    막상 보관 가능한 작물이 많지도 않고, 보관한다해도 많은 노하우가 빌요합니다. 일단 저장 들어가면 품질은 떨어지기 마련이라 그런저런 손실분 감안하고서도 이익을 내려면 장사꾼 시각의 노하우도 필요하고요.
    창고 자체를 임대해주는 것도 방법이나 그런 수요가 있었다면 진작 그런 업이 자리 잡았겠지요.
    요즘엔 수확기와 비수확기가 구분되는 작물도 많지 않아서, 농사를 짓는 입장에선 저장 방법보단 심는 시기를 고민합니다. 그동안 정부 지원사업 등으로 저장이 필요한 웬만한 농가는 자체 저장고를 갖추었는데, 실제 그 사용기간은 얼마 안됩니다. 즉, 그냥 묵히다시피 하는 경우 많습니다
    첫째 귀농의 목표가 중요한데, 노후생활이냐 경제활동이냐부터 명확히 정하는게 필요하고요. 농촌은 말 그대로 육체적 노동이 주요 생산수단인 1차 산업 환경입니다. 도시처럼 임대업 생각하면 돈만 날린다 봐도 무방합니다.

  • 12. 에휴-이어서
    '15.12.23 1:05 PM (121.183.xxx.99)

    전 귀농 10년입니다.
    농촌의 경제구조는 도시와는 다릅니다.
    흔히들 얘기할 때, 군인이나 교사들이 사회에 나오면 사기 잘 당한다는 말을 하듯
    도시민들이 농촌으로 들어갈 때도 이와 유사한 면이 많습니다.
    (물론 저 두 직종 분을 모욕하려는 의사는 아니고요)
    어느 곳인지 모르겠지만 농업용 창고를 남에게 빌려서라도
    저장해야할 농산물이 많은 곳이 우리나라에 있던가요?
    위에도 말했듯 저장이 들어가면 품질이 떨어지기 마련인데,
    제가 유통업자라면 저장된 농산물을 구입하기 보단 차라리 수입품을 알아볼 것 같습니다.
    윗 댓글님의 말씀처럼 그 먼 친척분 사심 있어 보인다는데 저도 동감입니다.
    배경을 다 설명하고 설득하려면 농촌의 경제구조를 다 얘기해야는데 너무 방대하고... -.-''

  • 13. 원글이
    '15.12.24 12:11 PM (119.14.xxx.20)

    바쁘실텐데, 지나치지 않고 댓글 달아주셔서 고맙습니다.

    그 친척분이 굉장히 좋은 분이시긴 해요.
    남 속이면서까지 개인의 사리사욕 채우고 이럴 분도 아니고요.

    허나...사심이라면...
    혼자 사신다는 거죠.-.-

    혼자 사시며 늘 적적해 하시던 차에...
    농촌생활에 엄청 관심보이는 친척이 나타나니 아주 적극성을 띠고 계시는 거죠.

    오프라인이라면 차라도 대접하면서 방대한 말씀 듣고 싶군요.ㅎㅎ

    다시 한 번 이어서 댓글 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2055 김장 김치 맛 어떠세요? 6 김치 2015/12/24 1,995
512054 수원대라 안양대랑 비슷한가요? 8 웃자 2015/12/24 3,828
512053 시간 나시는분은 이거 보세요. [근 현대사] 4 333 2015/12/24 1,018
512052 세월호618일) 아홉분외 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과 만나게 되시기.. 10 bluebe.. 2015/12/24 405
512051 라인폰 등 통화기능 있는 시계 써보신분? 라인폰 2015/12/24 337
512050 급질) 삶은 양배추로 양배추전 가능한가요? dg 2015/12/24 497
512049 치킨시킬껀데 맛있는거 추천좀해주세요 2 ㅎㅎ 2015/12/24 1,472
512048 문재인-표창원 전 경찰대교수 영입추진 6 집배원 2015/12/24 2,433
512047 노트북 싸게 살 수 있는 믿을만한 온라인 사이트 있을까요? 3 노트북 2015/12/24 998
512046 남매 대학생 서울거주 어쩔까요? 8 지방맘 2015/12/24 2,255
512045 당신의 수명을 줄여드립니다.(발암주의) 햇님 2015/12/24 1,085
512044 부산 OPS 빵집이 서울에 입성했어요. 14 000 2015/12/24 5,112
512043 나쁜나라 알려주신분 감사합니다 2 인디 스페이.. 2015/12/24 720
512042 아버지보험이 제 직장으로 올려져있는데 내년부터 ㅇㅇ만씩 내라한다.. 1 의료보험금 2015/12/24 1,500
512041 아기 이름좀 골라주세요^^ 15 티니 2015/12/24 1,559
512040 문재인 "백번 천번 물어도 내 답은 혁신과 통합&quo.. 16 샬랄라 2015/12/24 1,190
512039 영화 스물에서 아가리 닥쳐 그 욕할때 이해가 안가는데 이해갈 2015/12/24 657
512038 남편문제로 조언이 필요해요.. 7 .... 2015/12/24 2,460
512037 아들없는 남편이 짠하네요.....ㅎ 74 수리 2015/12/24 19,508
512036 내곡동 아파트 vs. 도곡1동 아파트 7 ㅇㅇ 2015/12/24 3,768
512035 형제.남매간 서열이 중요한가요?? 15 zz 2015/12/24 5,095
512034 집에서 볼 지나간 영화 추천해주세요 5 지금 2015/12/24 2,396
512033 아이 학습에 얼마나 관여하시는지??? 1 우앙. 2015/12/24 452
512032 새누리 '거물급 험지출마'에 수도권 야당거물 초비상 1 샬랄라 2015/12/24 617
512031 티라미수케이크 보관... 5 ... 2015/12/24 2,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