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보통 직원이 출산하면 어떻게 하는가요?
- 1. ..'15.12.17 2:32 PM (210.217.xxx.81)- 일반적인 남편이 부인 출산하면 출산휴가를 주기는하죠 3일정도? 
 사실 이것도 일반적으로는 많이 주는 편입니다
 저런 상황에 일주일을 요구하는것은 솔직히? 사장을 너무 만만히보는? 것 같습니다만..
 태교여행은 또 뭔말입니까..둘이 알아서 가는거지 휴가까지 내줄 이유가 있는지요..
- 2. ..'15.12.17 2:37 PM (175.119.xxx.124)- 일반적으로 출산은 3일 휴가구요 
 태교여행은 연차에서 쓴거 아닌가요?
 
 유도분만시 쉰것도 연차처리하세요.
- 3. ..'15.12.17 2:39 PM (175.119.xxx.124)- 출산 축하금은 보통 10만원선이던데 
 왜냐면 백일 돌, 좀 크면 크리스마스 어린아날 등 소소하게 챙기려면 계속 있거든요~
- 4. ..'15.12.17 2:40 PM (175.119.xxx.124)- 그리고 유도분만 이틀 해도 안나오면 보통 수술해요. 월요일엔 낳는다 생각하세요. 
- 5. ...'15.12.17 2:47 PM (118.35.xxx.244)- 연차이상 휴가쓰면 월급에서 까세요 
- 6. ㅇㅇ'15.12.17 2:54 PM (218.144.xxx.243)- 단 둘이라지만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어 혼자 근무하는 거나 마찬가지인데 
 배려하기 시작하면 직원이 휴가를 못 가요.
 제가 그런 환경에서 10년 근무하면서 휴가를 마음대로 못 썼어요 ㅜㅜ
 자녀 출산휴가는 일반적으로 3일. 그 이상은 연차 처리 하세요.
 축하금도 보통 10만원 정도지 30~40은 복지 잘 돼는 대기업 수준 입니다.
- 7. .....'15.12.17 3:11 PM (222.108.xxx.174)- 연차 휴가를 확실하게 보장하시기만 하면 큰 문제는 없을 듯 해요. 
 
 출산휴가는 3일이고요.
 나머지 추가로 더 휴가를 쓰고 싶다고 하면 연차휴가를 쓰도록 하세요.
 대신 연차휴가 쓰면, 그건 보장해 주시는 게 좋겠죠.
 평소에도 연차휴가를 쓰면 그거는 항상 수리해 주시는 편이신 거죠?
 
 출산 축하금은 10만원으로도 충분할 것 같아요.
 작은 회사이니까,
 나중에 돌잔치때도 10만원 챙겨주셔야할 듯 해서요.
 
 그런데 만약,
 평소 사장인 남편이 해야할 부분도 직원에게 많이 시키는 부분도 있고
 평소 연차휴가도 그다지 자유롭게는 쓸 수 없는 분위기이고..
 이런 부분들이 있다면,
 휴가나 축하금을 조금 더 챙겨주시는 게 좋겠죠.
 
 제 경험상,
 큰 업체일 수록 이럴 때 축하금도 5만원선,
 출산휴가도 남자 3일이면 잘 주는 편.. 이런데
 (아예 대기업이면 이보다 후하기도 하지요.)
 정말 작은 사업장일 수록 축하금도 많이 주고,
 출산휴가도 여유롭게.. 이렇게 주더라고요...
 물론, 영세 사업장이라, 여자가 출산하면 해고하는 수준의 사업장이 아니라면요 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