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제 인테리어 글이 나와서, 아파트 방을 특이하게 사용하는 분들

인테리어 조회수 : 2,988
작성일 : 2015-12-16 14:31:40
아파트의 구조는 다 비슷하잖아요. 그 비슷비슷한 조건 안에서, 조금 특이하게 다르게 사용하시는 분들
아이디어 공유해 주세요. ^^

보통은, 20평형이든 30평형이든 방이 세개고 4인 가족이다 할 때,
안방은 부부용, 방1은 큰아이 방2는 작은아이...  거실은 가족실 개념으로 TV 있고...
이게 제가 생각하는 평균, 평범이고요. 

여기에서, 거실을 서재화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고,
방 하나를 옷방으로 전용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실테고요. 
이런 것 외에도, 좋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나는 좀 다르게 사용하고 있어, 하시는 분들 
아이디어 공유해 주시면, 인테리어할 때 힌트로라도 좀 써먹어 보려구요. ^^

우선 저는, 4인가족(부부, 동성의 초등 아이 둘)/30평대 확장형 아파트구요. 
안방을 아이들 방으로 내주었어요. 안방에 딸려있는 드레스룸을 아이들 옷장으로 쓰고 있고요, 방에는 싱글 침대 2개와 아이들 책장이 들어가 있어요. 
저희집 구조가 판상형과 비슷한데 약간 다르게 생겨서요, 두번째로 큰 방의 방문이 거실을 향해 나 있어요. 
그래서 저는 그 방문을 떼어 버렸고요. (거실과 연결되어 확장의 개념으로.)
제가 책이 아주 많아서 두번째로 큰 방의 4면을 모두 책장으로 메웠어요. 창문이 있는 쪽과 피아노가 놓인 곳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천정에 닿아있는 책장을 짜 넣었고요, 창문 쪽 벽면에는 창문 아래 높이까지 책장을 넣어서, 창문 아래 책장에는 아이들 장난감을 수납했고요. 원래 이 방에 붙박이장이 있었는데 철거해 버렸고요. 방 한가운데 폭이 120에 길이가 2미터 조금 넘는 책상을 넣었어요.(혹시 아이들이 방을 분리하기 원할 때를 대비해서 테이블은 세로로 긴(60*208)테이블 두개를 붙여서 넣었어요.) 테이블을 넣기 전에는 이 방이 그냥 책의 보관용 서고 정도의 역할을 했는데, 책상을 넣고 나서 부터는 충실하게 서재 및 공부방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어 만족스럽고요.
현관문과 가장 가까운 제일 작은 방이 저희 부부의 침실이예요. 저희 아파트가 부엌이 같은 평형의 다른 아파트들보다 조금 작은 대신 방들이 큰 편이라, 부부 침실에는 퀸사이즈 침대를 넣고 문을 중간에 두고 ㄱ자 형태의 붙박이 장을 짜 넣었어요. (총 11자 정도) 세개의 방들 중 가장 작은 방인데 장롱까지 넣고보니 침대 하나로 꽉 차는 방이 되었지만 오히려 아늑한 느낌이라 잠이 잘 온다는 장점이 있네요. ㅎㅎ

일반적인 집에 다들 있는 화장대가 없고요.(저는 화장을 잘 안해서... 제 화장품은 그냥 욕실 장에 다 넣어두었어요. 남편것도.) pc 대신 노트북을 쓰니까 고정되어 있는 컴퓨터 책상이나 아이들 공부용 책상(벽에 붙어있는 책상이나 h형 책상)이 없어요. 서재 테이블을 넣기 전에는 식탁에서 공부를 했고요. 




다른 분들도 아이디어 공유나 집 소개좀 해 주세요. ^^
IP : 1.227.xxx.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굿아이디어
    '15.12.16 4:28 PM (61.82.xxx.167)

    아이들이 어릴땐 애들 물건이 제일 많으니 안방을 아이들방으로 사용하면 수납도 편하고 살림도 편하죠.
    그러다보면 부부가 사용하는방이 작아지고 수납공간이 부족하거나 부부 살림이 이방저방 따로 보관되기도 하고요.
    결국엔 안방은 안방대로 필요하고 애들방 또한 안방만큼 크면 문제될게 없는데 아이들방이 작아 문제죠.
    원글님 공간을 참 효율적으로 잘 짜셨네요.
    근데 원글님네집 구조는 아이가 하나라면 문제 없는데 아이가 둘이면 첫아이가 고학년이 되면 방을 분리해줘야해서 결국 다시 다른집처럼 부부가 안방을 사용하고 아이들이 각자 작은방을 사용하게 되요.
    저흰 남매를 키우는집이라 그냥 부부살림은 안방에 아이들 살림은 각자 아이들 방에, 부엌 살림은 부엌에 용도에 따라 있는게 편한거 같아요.
    옷이나 책은 자주자주 정리해서 각자 물건 각자방에 챙겨놔줘야 편하고요.
    책상과 책꽂이 노트북도 다 자기방에 따로 갖고 있어야 되요.
    애들이 어릴땐 옹기종기 모여 생활하지만, 초등 고학년만되면 각자 독립된 공간에서 사생활(?)을 보호 받기를 원해서 한집에 있는 가족이지만 각자의 영역이 중요하더군요.

  • 2. 32평
    '15.12.16 5:52 PM (218.55.xxx.60)

    32평 방3 화장실2 구평면이예요 (2베이)
    남편,저 고등아이1 3식구입니다.
    안방-남편방 (공부공간이 꼭 필요하고 새벽출근 늦은 귀가에 예민한 편이라 집에서는 푹 쉬라고 젤 넓고 좋은 방 주었어요.)
    작은방1 - 아이방 .확장해서 넓음.
    작은방2 - 잡다구리한 거 넣어둬요.
    거실 - TV 쇼파 없고요. 넓은 식탁을 두고 식탁 격 책상으로도 써요.10자 장농과 서랍장을 두었어요.
    식탁에서 노트북으로 이것 저것 하고 옷정리도 자주 하고요. 안방(안주인의 방) 처럼 써요.

    잔 살림이 나와있지 않고 단순한 분위기입니다. 주방씽크대에도 올려져 있는 것이 거의 없어요.
    쓸고 닦는 것을 자주 하지는 않지만 혹 손님이라도 온다면 금방 치울 수 있어요^^

  • 3. 저희도
    '15.12.16 7:45 PM (203.242.xxx.1)

    저희도 32평 아이는 한명인데 짐이 많지 않아서 그런거 단순하네요
    안방 - 맞벌이라 씻고 화장하고 옷 갈아 입는게 한번에 되는게 편해서 기존 드레스룸에 화장대 그대로
    사용하고 드레스룸과 안방 사이의 미닫이문은 철거하고 한쪽면 전체를 옷장으로 짜서 3식구 옷
    다 보관해요. 다른방에는 전혀 옷장이나 서랍장이 없고요. 반대쪽면은 책상으로 되어 있고 드레스룸과
    안방문 사이에 책상이 있어요. 컴퓨터랑 프린터등도 올려져 있고 아이 공부할때 쓰기도 하고,
    1인용 리클라인쇼파도 있어서 책도 보고 바닥에는 놀이방매트도 깔려 있어서 아이가 장난감
    가져와서 놀기도 하고 다양하게 사용중이네요.
    작은방1 - 여기는 안방 맞은편이라 아이가 쓰는데 싱글침대, 책상, 장난감 수납장만 있어요.
    여기도 책상이 있어서 숙제 같은건 혼자서 여기서 하기도 하네요
    작은방2 - 제일 작은 방인데 더블침대, 협탁 이렇게 있고 부부 침실로 사용중이네요.
    거실 - 4인용 쇼파랑 벽걸이 티비, 에어컨 정도만 있고요
    주방- 주방이 거실이랑 쭉 연결되게 뚫여 있는 집이랑 거실에 긴 식탁을 놓고 거기서도 공부도 하고
    밥도 먹고 뭐 이러네요.
    쓰다보니 저희집은 아이방이랑 저희방 때면 다 가족실 개념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3108 차 운전- 자동이냐 수동이냐 9 자동수동 2015/12/25 1,836
513107 가장 보온력이 우수한 보온병 추천해 주세요 13 커피 2015/12/25 4,804
513106 월세 계산 3 월세 계산 2015/12/25 1,239
513105 참담... 그 뒷이야기 52 흐린 하루 2015/12/25 24,873
513104 바지락살 넣고 미역국을 끓이려는데요 8 ... 2015/12/25 1,502
513103 지금 케이비에스에 다큐 3 키치 2015/12/25 1,280
513102 쌍커풀수술 눈매교정? 6 하늘 2015/12/25 3,836
513101 예수의 생일을 왜 미트라 신의 생일로 정해야 됐을까? 7 12월25일.. 2015/12/25 1,425
513100 [경축] 문재인 2016년 4월 13일 생매장 [경축] 8 보톡스중독된.. 2015/12/25 1,544
513099 냉면기 속으로 접시가 포개져서 안 빠지는데요? 7 안빠져 2015/12/25 1,066
513098 그냥 개인주의가 제일 아름다운 것 같아요.. 15 ㅇㅇ 2015/12/25 6,136
513097 너목보 예산사과아가씨 이윤아 쑥대머리 8 ㅇㅇㅇ 2015/12/25 3,654
513096 스타워즈 - 보신 분들,,,,어떠셨나요? 19 영화 2015/12/25 3,403
513095 19)제가 살을 20키로 정도 뺐는데요 16 많이 창피했.. 2015/12/25 27,388
513094 중국어 해석 좀 부탁드려요. 6 ........ 2015/12/25 741
513093 성시경거 가시는 분 5 공연표 2015/12/25 1,296
513092 운동하는 사람에게 '호두파이' 선물은 별로인가요? 9 재능이필요해.. 2015/12/25 2,061
513091 프로그래머들 미국 가서 취직하는 경우 많나요? 3 궁금 2015/12/25 1,537
513090 82쿡 싸이트가 수준이 엄청 28 높아요 2015/12/25 4,509
513089 코스트코 사람 많을까요? 양재점 2 메리크리스마.. 2015/12/25 1,636
513088 별이 되어 빛나리 14 2015/12/25 2,507
513087 문재인의 판단착오로 식급하네요.. 47 .... 2015/12/25 2,925
513086 반얀트리 눈썰매장 24개월 아기 가능할까요? 2015/12/25 1,120
513085 아파트에 쥐잡는약 놓는다는데 49 2015/12/25 3,076
513084 파마하면 얼굴 벌개지는 분 계세요? ㅇㅇ 2015/12/25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