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금 빚내서 집사면 안되는 거죠?ㅜ

이사 조회수 : 4,771
작성일 : 2015-12-15 00:39:26
일년동안 심하게 오르다 한달 전부터 주춤하네요. 지금 사면 상투잡는거라고 하는데 맞는거죠? 24평 (3억)가면 5천, 28평가면 8500 대출 필요해요-

좀더 기다려 보면 집값 조정될까요?
우리집은 21년 되었고 갈집은 8년정도 된 아파트예요~~한동네인데 같은 평수 기준 집값 차이는 두배나네요.

집팔고 저축한거랑 어머니께 5천 찬조(?)받고도 대출이 필요한 상황이예요~~원금이야 저축하는 셈치면 되는데 이자가 부담이네요~~

금리인상되면 내년에 0.25프로씩 서너번 오르고, 그게 몇년간 오를꺼라고 하네요.

그렇다고 계속 여기 살 꺼는 아니거든요.
애 학교가기 전, 내년가을이 마지노선이네요..

취학통지서 나오기 전에 이사하고싶거든요~

이사때문에 넘 신경 써서 잠도 안와요~
여기서 7년 가까이 살았으니 옮길 때가 되긴 했죠?

이사 언제 해야할까요?ㅜㅜ 이자가 부담되니 최소대출인 24평으로 갈까요? 이사는 필요하니..
IP : 1.253.xxx.24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15.12.15 12:43 AM (118.32.xxx.208)

    집이 팔아질까요? 최악의 경우는 집을 먼저 대출을 끼고 산 후 내 집은 전세를 놓는 경우인데 내집은 절대로 팔리지 않고, 전세금은 줘야할 빚이되고, 새로산 집에대한 이자도 감당을 못하는경우거든요.

    그리고 집값은 내려야 정상이고, 실 매매가는 많이 내렸어요.
    그리고 내집이 오르면 남의 집도 올라요. 결국 팔고 내가 갈집이 따로 있지 않는이상 현금화 되기 어렵다는것,

  • 2. 뮤뮤
    '15.12.15 12:52 AM (175.223.xxx.120)

    저 예전에 집때문에 글 하나 적었거든요.
    큰 평수 급매 4억 7천인데 기게 진짜 급매 가격인데 사야하냐 말아야 하냐 등등...
    사실 그 집이 4억 8천 오백에 나온지 몇달 되었던 집인데
    부동산 사장님이 전화오셔서 4억 7천으로 내렸다고
    6천까지 최대한 맞춰보겠다고 하셔서 제가 미친듯이 고민했었어요. 한달도 안됐을거 같아요. 그 글 쓴게요.

    그때 진짜 고민했는데 아무래도 너무 쪼들릴 것 같아 마음 접었는데 이제 생각해보니 그게 집값이 내리는 전조 같은거였나 싶어요. 사장님도 요즘 비수기라고 하시네요.

    그 집이 경매로 사서 바로 매매로 나온 집인데 집주인이 4억 8천 오백을 다 받아야겠다고 해서 몇달 버텼나봐요.
    근데 갑자기 내리겠다고 한건 다 이유가 있는거 같아요.
    처음에는 돈이 급했나 싶었는데 그럴 수도 있지만
    그분이 전문 경매 하시는 분이었다고 들었거든요.
    더 비수기 와서 얼어붙기전에 정리하려고 하신거 아닌가 싶어요.

    제 맘대로 생각이었지만 앞으로는 비수기 오기전에 털으려는 이런 급매가 더 나올거 같구요. 그리고나면 정말 좀 더 매리지 않을까 싶어요.

    저는 전문가도 뭣도 아니지만 집에 관심많은 아줌마구요. 좀 다 기다리셔도 될거 같아요. 잘 생각하셔서 결정하세요.

  • 3. 저같으면
    '15.12.15 12:59 AM (221.140.xxx.60)

    실거주면 지금 집 삽니다. 투자면 한두달 분위기봐서 들어가고 실거주면 이럴때 네고 보고 바로 삽니다.

  • 4. ㅁㅁ
    '15.12.15 12:59 AM (1.236.xxx.38)

    오늘 뉴스에도 보니
    이제 대출 받고 이자만 낼수 있는 기간도 1년 뿐이라고 하더라구요
    1년 이후에 원금상환도 같이 해야해서 주택매매 하려다가 포기하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하더라구요
    앞으로 부동산 재테크는 끝난듯

  • 5. ..
    '15.12.15 5:55 AM (125.186.xxx.78)

    금리인상은 미국이 그렇단 얘기고요
    우리나라는 아직은 모릅니다
    세계적추세란게 있지만 경기가 안 좋아서 바로 따라올릴 건지는 미지수죠

  • 6. ㄱㄱㄱ
    '15.12.15 6:16 AM (115.139.xxx.234)

    아직 몰라도 버텨봤자 일년못넘기고 따라올리지않겠어요? 우리나라가 뭔힘있겠어요..일년안에 갚을수있다면모를까
    -

  • 7. .....
    '15.12.15 7:21 AM (110.70.xxx.35) - 삭제된댓글

    집권여당이 집값내려가게 두지않아요.

    앞으로 최소한2년은 더 꾸준히 오릅니다.

    그후도 내린다고 장담못할듯.

    저라먼 사겠어요.

    집값 머리라는 말은 십년전부터 있었어요

    그때 산사람은 두배세배 뛰었고
    안산사람은 이사다닌다고 전세고민만 깊더군요아직.

    실거주라면 더더욱사야죠지금.
    대출금도 그리 크지않은데

  • 8. .....
    '15.12.15 7:27 AM (110.70.xxx.35) - 삭제된댓글

    저는 층간소음땜에 미칠것같아 젤 위층으로 이사가려고
    알아보니 매물이 없대요
    부동산에서 하는말이 요즘은 탑층이 최고 로얄층이라면서..같은 동인데도 젤 비싸다고..

    특히 전망좋은 집은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는대요
    ㅠㅠ
    지금 위층 미친것들때문에 벌써깼네요
    계속이럼
    새벽다섯시까지 시끄럽게하질않나
    진짜 미치겠어요 ㅠㅠ

  • 9. 역시.
    '15.12.15 10:03 AM (1.233.xxx.179) - 삭제된댓글

    저금리의 기운이 역시 쎄긴 쎄구나.
    어제 정부 대출규제 발표한거 보고도,, 실거주니.
    집값이 오르니 미국 금이 오르는거 무섭지 않니
    이럴 수 있다니~~

    일본은 우리의 영원한 교과서 일본 어찌되나 한번 살펴봐주세요~

  • 10. 역시.
    '15.12.15 10:05 AM (1.233.xxx.179)

    저금리의 기운이 역시 쎄긴 쎄구나.
    어제 정부 대출규제 발표한거 보고도,, 실거주니.
    집값이 오르니 미국 금리 오르는거 무섭지 않니
    이럴 수 있다니~~

    일본은 우리의 영원한 교과서, 일본 어찌되었나 한번 살펴봐주세요
    비슷하게 갈거 같은데 저성장 시대로~

  • 11. 무서운 금리
    '15.12.15 10:36 AM (182.172.xxx.183)

    어제 대출규제 기사보고, 미국금리 영향이 얼마나 무서운건지
    새삼 깨달았어요. 이젠 원금까지 같이 갚을자신있지?? 라는거잖아요.

  • 12. 전..
    '15.12.15 12:39 PM (218.234.xxx.133)

    집권 여당이 집값 떨어지게 놔둘 거라는 데 동의하지 않아요..
    가만히 살펴보면 집값이 떨어지든 말든 찍을 사람은 다 새누리당을 찍어요.
    여당이 했으니 이 정도지, 야당이 정권 잡으면 이보다 더 떨어진다 이런 심리랄까??

    그래서 여당 입장에선 집값을 떨구나 말거나 부동표라서 별로 신경 안쓴다고 생각해요.
    선거 때 반짝 선심은 쓰겠죠.
    여당 입장에선 오히려 건설사 등 친기업적 행보를 보임으로써 정치자금 구축하는 게 더 우선인 거 같아요.
    - 부동산 가격 내려간다고 해서 야당에 표주겠어요? 집 가진 분들 마음에 손 얹고 생각해보세요.

    새누리당이 전혀 실천할 생각 없으면서 입으로만 집값 올리겠다 하면 다 표 줄 거고,
    새누리당은 그걸 너무 잘 안다는 거에요.

    그러니 집권여당이 집값 떨어지게 안할 거다 이건 좀 순진한 생각 같아요.
    집값 떨어지는 정책을 펼쳐도 부동산에 목매는 사람은 여당 찍게 되어 있어요.
    그리고 선거 때 선심공약은 아주 쉽게 할 수 있는데 그게 지켜진다고 믿는 것도 순진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3252 눈와요 ㅡ 5 ..... 2015/12/26 1,506
513251 오뚜기 짬뽕 맛나네요. 4 신기하네 2015/12/26 2,286
513250 영어고수분들..이것 좀 해석해주세요 3 으앙 2015/12/26 1,072
513249 이사를 일주일 앞두고 있는데 어제 이상한 꿈을 꿨네요 18 꿈해몽 2015/12/26 7,091
513248 시댁식구들 울 집에 오기전 외출하는거 이상한가요? 18 2015/12/26 4,843
513247 사학 연금도 개혁되면 공무원연금처럼 조금 밖에 못받나요? 6 ㅣㅣㅣ 2015/12/26 2,419
513246 자식 낳아 키우는게 보통일 아니라고 전해라.. 27 예비고등맘 2015/12/25 8,720
513245 융학파 심리 상담과 일반 심리 상담과 다른 점은 뭘까요? 2 2015/12/25 1,079
513244 경주 동방불패 중국집 2 ㅁㅇ 2015/12/25 1,576
513243 오마이비너스 재미있네요 1 간만 2015/12/25 1,200
513242 정팔이 솔직히 인물 괜찮죠 55 류준열 2015/12/25 9,718
513241 결혼할 때 자식에게 부모는 절값을 얼마주는 건가요? 5 ..... 2015/12/25 1,726
513240 응팔에 듣뎌 나왔네요 9 . . 2015/12/25 5,373
513239 중3 담임샘이 교지(?) 만든다고 돈을 입금하라고 했다는데..... 7 ... 2015/12/25 2,345
513238 요즘날씨에 면접 스타킹 질문드려요 쪼요 2015/12/25 744
513237 얼굴 라인 잡아준다는 땡김이 효과 있나요? 2 땡김이 2015/12/25 8,153
513236 산지 한달된 냉장고가 이상해요 꼭 봐주세요 ㅠㅠ 5 ㅜㅜ 2015/12/25 1,382
513235 생크림 케이크 논란 종결시켜 드릴께요 6 좀 아는 사.. 2015/12/25 5,716
513234 jtbc 헌집새집 재밌네요 1 ㅇㅇ 2015/12/25 1,750
513233 오늘 응팔 시장국수 할머니 연기자 아니죠? 25 맛있는국수 2015/12/25 15,220
513232 응팔은 어떻게 진행해도 욕먹게 되있어요 14 ㅇㅇ 2015/12/25 4,859
513231 쑥대머리.....자꾸 들어도 너무 좋네요. 3 핑크러버 2015/12/25 1,394
513230 wmf 플래티늄 후라이팬이요 2 후라이팬 2015/12/25 1,141
513229 구내염은 어디병원 가요? 5 알보칠사절 2015/12/25 2,452
513228 지긋지긋 하네요 12 2015/12/25 4,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