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IMF 때 왜 전세값도 내렸었나요??

부동산 조회수 : 3,027
작성일 : 2015-12-14 08:25:40

집값이 폭락을 했었죠?

그런데 왜 전세값까지 폭락했나요?

아파트가 공급이 많았었나요? 그때 하필?

그 이후로는 꾸준히 전세가가 올랐잖아요?

서브프라임사태 때 매매가가 떨어졌을 때도

전세가는 떨어지지 않았잖아요?

전세는 그야말로 실수요니까요.

근데 IMF 때는 왜 전세가도 그렇게 폭락을 했었는지요?

IP : 175.209.xxx.16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들
    '15.12.14 8:43 AM (112.173.xxx.196)

    돈이 없으니깐.
    그리고 집값 떨어지면 전세값도 자연스레 떨어지더라구요.
    공급이 많다는 이야기.
    그때 집이 부족하지는 않았어요.

  • 2. .....
    '15.12.14 8:49 AM (125.141.xxx.22) - 삭제된댓글

    그때 집들이 힘들어지면서 합가가 많았다고도
    그래서 전세가 남기도 했고요

  • 3. ...
    '15.12.14 8:49 AM (118.222.xxx.165) - 삭제된댓글

    25평 아파트 전세가 5천에서 7천 정도면 괜찮은 아파트 전세 얻을수 있었어요

  • 4. ...
    '15.12.14 8:50 AM (118.222.xxx.165) - 삭제된댓글

    5천에서 7천 정도면 괜찮은 25평 아파트 전세 얻을수 있었어요

  • 5. IMF 때는
    '15.12.14 8:56 AM (39.7.xxx.124)

    IMF의 요구로 금리폭등이 있었죠.
    그래서 현금동원력이 떨어진 사람들이 집을 팔거나 저렴한 전세로 갈아타기 위해 집을 내놓기 시작했어요.
    물량은 쏟아져 나오는데 받아줄 사람들이 없으니 당연히 떨어진 거죠.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는 금리에 큰 변동이 없었죠.
    그래서 집이나 전세가에 큰 영항은 없었어요

  • 6. ....
    '15.12.14 9:29 AM (211.172.xxx.248)

    이자율이 거의 20%였어요...해고도 엄청 많이 되고. 그때 이후로 노숙자가 생긴거 같아요.
    전세도 집 빼서 줄여가는 사람도 많았을거에요.

  • 7. 은현이
    '15.12.14 10:35 AM (112.109.xxx.249)

    우리 옆집이 전세 였는데 주인 아저씨가 돈을 돌려 주더래요.
    4천에서 천만원 받고 계약서 다시 썼다는 이야기 들었어요.
    하긴 우리도 3삼분의1 토막난 월급을 근 1년간 받았어요.
    상여금이 월급

  • 8. 은현이
    '15.12.14 10:37 AM (112.109.xxx.249)

    글이 잘렸네요.
    이개월에 한번 나오던 상여금이 월급 보다 많던 시절이 였으니 상여금으로 살았네요.

  • 9. ....
    '15.12.14 11:37 AM (14.32.xxx.169)

    별별 신규은행들도 많고 금리도 23%까지 올랐죠.. ^^
    그때는 당연히 그금리가 그대로 갈줄 알았는데...지금은 1%네요.
    그당시 들었던 연금보험을 계속 유지중인데. 확정금리가 7%예요.
    금리가 역전한거죠.

    대신 주식이 폭등해서. 벤처붐이 나서 벤처란 말만 달아서 연속상한가 10방...

  • 10.
    '15.12.14 11:43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큰 집에 살던 사람들 작은 집으로 줄여가고...
    그 작은 집에서 합가해 살면서 견디고 그러는 집들도 많았어요.

    당시 제 친구가 사택에 살았는데, 아마 스무평도 안 되는 집이었을 거예요.
    그런데, 친구네 앞집은 늘 북적거렸는데, 부모형제 다 모여산다고 그랬어요.
    다 기혼형제들이라 아이들도 예닐곱명은 족히 돼 보였고요.

    보증 등으로 집 넘어가고 그러면서 작은집도 아니고 방한칸 셋방으로 옮겨가는 사람들도 많았어요.
    반면, 현금 좀 쥐고 있던 사람들은 헐값에 몇십채씩 사들이고 해서 나중에 부동산 부자 된 사람들도 있고 그랬고요.

    그런데, 이제는 경제공황이 와도 수도권 임대가는 여전히 강세일 듯도 해요.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언제나 그런 경향이 있었으나, 그래도 예전엔 지금보다는 수도권 집중 현상이 덜했어요.

    대학만 해도 지금같은 인서울 열풍도 덜 해서 집 가까운 지방대도 많이 갔었죠.
    직장만 해도 지금처럼 서울로만 오려는 것도 덜했고요.
    지금은 하다못해 임용/공무원시험도 수도권은 폭등이고, 지방은 미달이고 그렇다잖아요.

  • 11.
    '15.12.14 11:44 AM (119.14.xxx.20)

    큰 집에 살던 사람들 작은 집으로 줄여가고...
    그 작은 집에서 합가해 살면서 견디고 그러는 집들도 많았어요.

    당시 제 친구가 사택에 살았는데, 아마 스무평도 안 되는 집이었을 거예요.
    그런데, 친구네 앞집은 늘 북적거렸는데, 부모형제 다 모여산다고 그랬어요.
    다 기혼형제들이라 아이들도 예닐곱명은 족히 돼 보였고요.

    보증 등으로 집 넘어가고 그러면서 작은집도 아니고 방한칸 셋방으로 옮겨가는 사람들도 많았어요.
    반면, 현금 좀 쥐고 있던 사람들은 헐값에 몇십채씩 사들이고 해서 나중에 부동산 부자 된 사람들도 있고 그랬고요.

    그런데, 이제는 경제공황이 와도 수도권 임대가는 여전히 강세일 듯도 해요.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언제나 그런 경향이 없지 않아 있었으나, 그래도 예전엔 지금보다는 수도권 집중 현상이 덜했어요.

    대학만 해도 지금같은 인서울 열풍도 덜 해서 집 가까운 지방대도 많이 갔었죠.
    직장만 해도 지금처럼 서울로만 오려는 것도 덜했고요.
    지금은 하다못해 임용/공무원시험도 수도권은 폭등이고, 지방은 미달이고 그렇다잖아요.

  • 12. 당연
    '15.12.14 2:15 P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값이 떨어지면 세입자가 전세보증금 못 돌려받을 가능성이 크잖아요.
    당연히 전세 뺴려고 하겠죠.
    그럼 집주인은 전세를 빼주던가, 시세를 반영해서 전세금 낮추고 재계약을 하든가 해야하는거고...
    자연스레 전체적인 전세금도 낮아지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3029 울집 강쥐 미칠만큼 이쁘죽겠어요 27 동그라미 2015/12/24 4,279
513028 교수분들 자녀들은 9 ㅇㅇ 2015/12/24 3,708
513027 김장 김치 맛 어떠세요? 6 김치 2015/12/24 2,191
513026 수원대라 안양대랑 비슷한가요? 8 웃자 2015/12/24 4,177
513025 시간 나시는분은 이거 보세요. [근 현대사] 4 333 2015/12/24 1,202
513024 세월호618일) 아홉분외 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과 만나게 되시기.. 10 bluebe.. 2015/12/24 637
513023 라인폰 등 통화기능 있는 시계 써보신분? 라인폰 2015/12/24 520
513022 급질) 삶은 양배추로 양배추전 가능한가요? dg 2015/12/24 674
513021 치킨시킬껀데 맛있는거 추천좀해주세요 2 ㅎㅎ 2015/12/24 1,662
513020 문재인-표창원 전 경찰대교수 영입추진 6 집배원 2015/12/24 2,616
513019 노트북 싸게 살 수 있는 믿을만한 온라인 사이트 있을까요? 3 노트북 2015/12/24 1,197
513018 남매 대학생 서울거주 어쩔까요? 8 지방맘 2015/12/24 2,484
513017 당신의 수명을 줄여드립니다.(발암주의) 햇님 2015/12/24 1,286
513016 부산 OPS 빵집이 서울에 입성했어요. 14 000 2015/12/24 5,297
513015 나쁜나라 알려주신분 감사합니다 2 인디 스페이.. 2015/12/24 911
513014 아버지보험이 제 직장으로 올려져있는데 내년부터 ㅇㅇ만씩 내라한다.. 1 의료보험금 2015/12/24 1,679
513013 아기 이름좀 골라주세요^^ 15 티니 2015/12/24 1,761
513012 문재인 "백번 천번 물어도 내 답은 혁신과 통합&quo.. 16 샬랄라 2015/12/24 1,371
513011 영화 스물에서 아가리 닥쳐 그 욕할때 이해가 안가는데 이해갈 2015/12/24 847
513010 남편문제로 조언이 필요해요.. 7 .... 2015/12/24 2,637
513009 아들없는 남편이 짠하네요.....ㅎ 74 수리 2015/12/24 19,729
513008 내곡동 아파트 vs. 도곡1동 아파트 7 ㅇㅇ 2015/12/24 3,980
513007 형제.남매간 서열이 중요한가요?? 15 zz 2015/12/24 5,476
513006 집에서 볼 지나간 영화 추천해주세요 5 지금 2015/12/24 2,573
513005 아이 학습에 얼마나 관여하시는지??? 1 우앙. 2015/12/24 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