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장독립 했어요. 조금씩 여러번.

.... 조회수 : 3,916
작성일 : 2015-12-06 11:01:33
작년부터 독립할려고 했는데 김장철 돼서 말씀드리니 마지막으로 한번만 받아먹고 내년(올해)부터 맘대로 하라고 하시대요.
그래서 올해는 아예 일찌감치 김장을 시작했어요. 
자신감이 없으니 조금씩 여러번 해보는 전략으로요.

1차
10월말에 배추 3포기 사다가 키톡 매발톱님 레시피 대로 해봤어요.
비법이라는 콩물, 고구마가루, 울금은 넣지 않았어요. 그래도 기본은 하겠지 하고서요.
어느 정도 기본은 됐어요. 식구들도 의외로 괜찮은데? 하며 놀라더라구요.
근데 역시 절이기가 자신이 없더라구요. 방법이 어려운게 아니라..이 정도 절인게 맞나? 확신이 없는거요.

2차
11월 중순에 마트에 갔다 절임배추 박스가 보이길래 충동적으로 10킬로 사와서 한번 더 담갔어요. 4포기분 양념 넣구요.
절임배추를 10킬로만 사면 가격이 꽤 나가지만..지금은 가격보다 경험이 중요하니까요.
일차 김장은 약간 짰는데 이차 김장은 좀 싱거웠어요. 둘다 국물은 거의 안 생겼고요.
1차 김장 통을 헐어서 2차 김장 통 위에 1차 김장 김치를 덮어버렸어요. 
일차 이차 합쳐서 11.5리터 김치통 2개 꽉 찼네요.

3차 
11월 하순에 다른 브랜드 절임배추와 양념을 같이 주문해서 비벼만 봤어요. (절인 배추 10킬로)
다른 양념속도 먹어보니까 맛의 차이도 알겠더라구요. 절임배추도 달랐어요.
이건 정말 김장이라 부르기 민망하죠....보너스에요. ㅎㅎ
11리터 한통이랑, 3리터 정도 더 나왔는데, 3리터는 겉절이처럼 썰고 찢어서 담아놨더니 금방 먹기에 더 좋네요.

4차
양념 남은 걸로 어제는 알타리 김치도 담갔어요. 처음이라 2단만요.
담그다보니 양념이 모자라 요리책 보고 추가했구요..
만들때는 많아 보였는데 막상 담아보니 얼마 안 나오네요. 5리터 정도? 근데 맛있어요.


지금 알타리 4단 정도 추가로 담그려고 해요.
깐 쪽파 한단 사다가 쪽파 김치도 조금만 담글까 하고 있고요. 
이 정도면 우리 식구 먹을건 넘치네요.
조금씩 여러번 나눠서 담그고 절임배추에 양념속도 써봤더니 일도 별로 없었죠.
내년엔 절이기도 혼자서 더 잘할 거 같고..양념속도 더 잘 만들 수 있을거 같아요.
조금씩 나눠서 하길 정말 잘했다 싶어요.
IP : 211.172.xxx.248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깐돌이엄마
    '15.12.6 11:06 AM (222.117.xxx.249)

    박수박수!!!

  • 2. ㅎㅎ
    '15.12.6 11:14 AM (125.180.xxx.200) - 삭제된댓글

    글에서 느껴지는 쿨함!! 멋져요~

  • 3. 리아
    '15.12.6 11:16 AM (49.174.xxx.175)

    저도 시도하고 싶어요
    내년엔 꼭!
    내가
    담근 김치가 최고가 아닐까요
    김장독립
    추카드려요~~~

  • 4. ....
    '15.12.6 11:27 AM (211.172.xxx.248)

    감사합니다^^
    한번 해보니 다른 분들 레시피도 한번씩 다 해보고 싶어요. 꼬불쳐둔거 여러개에요..
    먹는거 보다 담그는 거에 더 재미들렸네요.

  • 5. ....
    '15.12.6 11:29 AM (211.172.xxx.248) - 삭제된댓글

    헉!
    글 한 줄 수정했더니 줄 간격이 빵빵 넓어져버렸네요? 모바일에서 수정하면 이런가요.....

  • 6. ㅁㅁㅁㅁ
    '15.12.6 11:30 AM (112.149.xxx.88)

    오 부지런하시고 실천력도 최고!
    이거 읽으니 나도 할 수 있을 거 같은 근거없는 자신감이 생기네요 ㅎㅎ

  • 7. ...
    '15.12.6 11:37 AM (211.172.xxx.248)

    근거 있는 자신감이에요! 해보세요. 별거 아니에요. 저도 왜 이제서야했을까 후회했어요.
    저는 설마 고속도로 휴게소 김치보단 맛있겠지 하는 마음으로 했어요.
    조금씩 담그면 담글 때 힘도 안들고 최악의 경우 버려도 손해가 적어요.^^

  • 8. 나이오십
    '15.12.6 11:43 AM (221.164.xxx.184)

    이 나이에도 그리해요.
    일 크게 벌리기 싫어서요.
    십키로 한통씩만요.
    어떨때는 두통 할때도 있어요.
    절이기를 김장봉투에 제가 절인다는 것만 추가요.

  • 9. ...
    '15.12.6 12:00 PM (114.204.xxx.212)

    저도 몇년째 두번 해요 남편이랑 둘이요
    11월말 한번 ㅡ20키로
    2 월말쯤 한번 ㅡ10키로
    11월엔 속재료ㅜ넉넉히 해서 남는걸로 갓, 파 , 알타리, 다발무 , 순무 등등 같이 담으면 초반엔 그거만 먹을정도로 맛있죠
    5 년쯤 하니까 노하우가 생겨서 레시피 정리중이고요
    근데 간보는건 참 어려워요

  • 10. ...
    '15.12.6 12:01 PM (114.204.xxx.212)

    갓 쪽파 알타리 다발무 다 해보세요 쉽고 맛있어요

  • 11. fmfjl
    '15.12.6 12:32 PM (107.4.xxx.112)

    대단하셔요.. 저도 곧 독립해야 하는데.. 아직 막김치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거든요..
    이글보고 자극받고 갑ㄴ다.

  • 12. 맞아요
    '15.12.6 1:16 PM (124.50.xxx.18)

    김장이 해보면 참 별거아닌데 해보기전에는 겁이 많이 나죠...
    저는 김장이라는 것이 굉장히 쿨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저두 그동안 십년쯤 김장해봤는데요... 뭐 웬만한 것은 스스로 이겨내는 음식이 김장이예요...
    뿌리깊은 나무처럼... 양을 많이하니까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시기적으로 재료가 좋을 때라 그런 것 같기도 하고 ... 며칠 뒀다 좀 짜다싶음 무섞박지를 좀 섞으면 되고, 싱거우면 액젓을 위에서 슬슬 뿌려주면 되고
    어째해놓아도 스스로 알아서 맛이 들어 시원하고 맛있는 김치가 되어주더군요...
    한번도 배신당한 적 없어요... 초보때는 불안초조로 매일 김치통 열어보고 조바심을 쳤었는데 말이죠..ㅎㅎ

  • 13. 김장
    '15.12.6 11:36 PM (121.131.xxx.68)

    김장 나눠하기 시도해봐야겠어요

  • 14. VERO
    '16.10.27 4:10 PM (59.12.xxx.253)

    김장팁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7822 문과생이 간호대 갈수 있을까요? 4 ... 2015/12/10 2,558
507821 82보니 저는 정말 결혼 잘한거였어요 29 ... 2015/12/10 17,497
507820 제사문화 관련해서 궁금한게.. 49 어흥 2015/12/10 1,140
507819 골반염도 성병인가요? 22 ㅡㅡ 2015/12/10 12,387
507818 고현정은 또 살 금새 뺐네요. 31 고무줄살 2015/12/10 23,953
507817 "저에게 사형을 선고해 주십시오" 2 판사님 2015/12/10 2,029
507816 4살 딸에게 화를 많이 냈어요 ㅠ 12 사과 2015/12/10 3,504
507815 조연우 라스 나온거 봤는데요 4 2015/12/10 4,650
507814 한 소리 했으면 그만해야겠죠. 1 친정이 호구.. 2015/12/10 910
507813 판검사 며느리도 똑같이 일해야 한다는 댓글 보고 48 밑에 글 보.. 2015/12/10 13,010
507812 아이친구엄마,너무가까와졌나봐요ㅎ 2 llll 2015/12/10 4,424
507811 친구의 이런 부탁은 어떤가요? 49 부탁 2015/12/10 1,827
507810 "~이기가 쉽다"라는 표현 많이 들어보셨나요?.. 9 ㅇㅇㅇ 2015/12/10 1,226
507809 제주도 탑동 질문입니다. 9 제주도 2015/12/10 1,696
507808 난 왜이리 힘든걸까요? 9 힘들어요 2015/12/10 3,502
507807 생기부, 자소서에 관한 책 좀 추천부탁드립니다. 예비고등맘 2015/12/10 686
507806 수시 종합 합격하신 분들, 내신 몇등급인가요? 3 수시 2015/12/09 4,286
507805 응팔 지난주 이장면이 너무 좋아서 6 응팔 팬. 2015/12/09 4,916
507804 독일에서 우리나라 전기요 사가져가도 못쓰나요? 8 ... 2015/12/09 2,015
507803 9개월 아기 어떻게 놀아주면 좋을까요? 16 아기엄마 2015/12/09 4,814
507802 미대 수시 다 떨어지고 9 마미 2015/12/09 4,619
507801 국립대 사회복지학과와 사립대 윤리 교육과 중 5 아자! 2015/12/09 1,565
507800 건국 동국 홍익대 수교과중에서 어디가? 3 정시닷 2015/12/09 1,762
507799 밤식빵 더 맛있게 먹는법 있나요 빵순이 모여라 4 dd 2015/12/09 2,756
507798 제 친구의 마음은 무엇일까요? 48 비내리는 밤.. 2015/12/09 16,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