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헝그리 정신 실종' 기사가 감춘 진실..

무식선동하는뉴스 조회수 : 1,279
작성일 : 2015-12-02 12:34:1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64709

노동자와 '헝그리 정신 부족' 탓하는 <연합뉴스>

정보는 생각의 재료 역할을 한다. 썩은 재료로 맛있고 영양가 높은 음식을 만들 수 없듯, 부정확하고 왜곡된 정보로 세상에 대해 바른 판단을 하기는 어려운 법이다. <연합뉴스>가 최근 크게 주목받았다. "한국에 '헝그리 정신'이 사라졌나... 노동의욕 61개국 중 54위"라는 기사 때문이었다.

<연합뉴스>의 기사는 '노동자 의욕(Worker Motivation)' 순위에 특별한 주안점을 두었는데, 이 점수가 종합순위에 한참 못 미치는 54위에 머물렀다. 이 순위 역시 1위가 스위스였고, 덴마크·노르웨이·아일랜드·룩셈부르크 순서로 앞과 비슷한 유럽 국가들이 선두를 달렸다. 한국 노동자의 의욕이 떨어지는 이유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여기서 <연합뉴스>는 전경련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한다. "한국의 노동자 의욕이 낮은 것으로 평가받은 데 대해 임상혁 전국경제인연합회 상무는 '헝그리 정신이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유럽의 나라들이 상위권을 휩쓴 비결이 '헝그리 정신' 때문이었다는 말인가? 

앞서 언급된 보고서는 국가의 인재 경쟁력을 '투자개발', '공교육 투자', '유능한 고위 경영진', '주거비와 생계비용' 등 나름 체계적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만약 기자가 이를 논평할 능력이 없다면, 최소한의 합리적 언어와 사고를 갖춘 사람을 찾아야 한다. 그런데 <연합뉴스>는 재계를 일방적으로 대변하는 사람을 인터뷰하고, '헝그리 정신'이라는 지극히 비합리적이고 주관적인 언어를 인용하면서 그것을 제목으로까지 뽑았다.

정부, 재계가 싫어할 내용 누락시킨 기사

인재 경쟁력과 노동의욕에서 선두를 달리는 스위스·덴마크·노르웨이·핀란드·룩셈부르크는 우리나라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우선 노동시간이 절대적으로 짧고, 임금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으며, 피고용자 보호를 위한 정부의 규제도 한국보다 훨씬 엄격하다. 여기에 실직해도 정부가 생계를 보장하기 때문에, 아무 일자리나 구하는 게 아니라 본인이 잘하고 좋아하는 업무를 찾게 된다.

이와 달리, 한국은 최저생계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자아실현'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서 닥치는 대로 일자리를 찾게 된다. 이런 나라에서 노동의욕이 바닥인 게 이상한가? 한국의 순위가 바닥인 이유는, 유럽복지국가들이 선두인 이유와 정확히 반대다. 복지가 바닥이고, 임금이 바닥이며, 고용안정성이 바닥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국 노동자들은 세계 최장 노동에 지쳐 있다. 한국은 지난해 노동시간으로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지난 몇 년간 멕시코에 1위 자리를 내주었다가 되찾은 기록이니, 박근혜 정부의 '치적'이라 할 만하다. 여기에, <연합뉴스>가 분석한 <2015 세계인재보고서> 원문을 찾아보다가,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합뉴스>가 재계나 정부가 싫어할 보고서 내용을 누락했다는 점이다. 예컨대 한국은 교육 공공투자에서 앞의 유럽국가는 말할 것도 없고, 말레이시아(18위), 라트비아(20위), 몽골리아(29위)보다 한참 떨어지는 33위를 기록했다. 투자개발에서도 대만(18위)이나 태국(19위)에 한참 처지는 32위였다.

이보다 순위가 더 떨어지는 요인으로는 '삶의 질'로 40위였고, 더 끔찍한 것은 '유능한 고위 경영진' 순위로 44위였다. 하지만 최악의 분야는 '생계비용 지수'로, 무려 56위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한국은 임금은 낮은 반면, 생계비는 턱없이 높은 살기 어려운 나라인 셈이다. 여기에 무능한 경영진들이 터무니없는 요구(예컨대 '헝그리 정신 좀 발휘해 봐' 따위)도 견뎌내야 하니 오죽하겠는가.

결국 한국인의 노동의욕이 낮은 까닭은 '헝그리 정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실제로 '헝그리'하기 때문이다. 



IP : 222.233.xxx.2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2 12:34 PM (203.237.xxx.73)

    아 진짜....

  • 2. 무식을 선동하는 뉴스들
    '15.12.2 12:35 PM (222.233.xxx.22)

    "경영진 경쟁력은 하위권"
    '헝그리 정신 실종' 기사가 감춘 진실
    [게릴라칼럼] 보고서 내용 중 '긴 노동시간'과 '낮은 임금' 누락, 이런 보도 괜찮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64709

  • 3. ...
    '15.12.2 12:42 PM (39.127.xxx.213) - 삭제된댓글

    그리고 저 신문에서 인용한 에서 근로자의욕을 어떻게 평가하냐면, 자기 회사의 임원들이 자기 회사의 근로자들의 근로자 의욕을 평가한 걸 토대로 작성한 거예요.
    우리나라 임원들이 의욕적으로 일하는 근로자가 어떻게 일하는 근로자라고 생각하는지 다들 기억을 더듬어 보세요. 퇴근시간에 집에 가면 놀고 월급도둑질한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이잖아요.

    아마 다른 나라 회사의 임원들이 우리나라 근로자 의욕을 평가했으면 엄청나게 다른 결과가 나왔을걸요.

  • 4. ...
    '15.12.2 12:45 PM (39.127.xxx.213) - 삭제된댓글

    그런데 저 신문에서 인용한 "2015 세계인재보고서" 에서 근로자의욕을 어떻게 평가하냐 하면요, 자기 회사의 임원들에게 자기 회사의 근로자들의 근로자 의욕을 평가하라고 한 거예요.
    우리나라 임원들이 의욕적으로 일하는 근로자가 어떻게 일하는 근로자라고 생각하는지 다들 기억을 더듬어 보세요. 퇴근시간에 집에 가면 놀고 월급도둑질한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이잖아요.

    아마 다른 나라 회사의 임원들이 우리나라 근로자 의욕을 평가했으면 엄청나게 다른 결과가 나왔을걸요.
    국내 회사에서 일하다가 다국적 회사 들어가면 너무 열심히 일한다고 그렇게 일하지 마라고 한단 말이죠.

  • 5. ...
    '15.12.2 12:46 PM (39.127.xxx.213) - 삭제된댓글

    그런데 저 신문에서 인용한 \"2015 세계인재보고서\" 에서 근로자의욕을 어떻게 평가하냐 하면요, 자기 회사의 임원들에게 자기 회사의 근로자들의 근로자 의욕을 평가하라고 한 거란 말이죠.
    우리나라 임원들이 의욕적으로 일하는 근로자가 어떻게 일하는 근로자라고 생각하는지 다들 기억을 더듬어 보세요. 퇴근시간에 집에 가면 놀고 월급도둑질한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이잖아요.

    아마 다른 나라 회사의 임원들이 우리나라 근로자 의욕을 평가했으면 엄청나게 다른 결과가 나왔을걸요.
    국내 회사에서 일하다가 다국적 회사 들어가면 너무 열심히 일한다고 그렇게 일하지 마라고 한단 말이죠.

  • 6. ...
    '15.12.2 12:47 PM (39.127.xxx.213) - 삭제된댓글

    그런데 저 신문에서 인용한 "2015 세계인재보고서" 에서 근로자의욕을 어떻게 평가하냐 하면요, 자기 회사의 임원들에게 자기 회사의 근로자들의 근로자 의욕을 평가하라고 한 거란 말이죠.
    우리나라 임원들이 의욕적으로 일하는 근로자가 어떻게 일하는 근로자라고 생각하는지 다들 기억을 더듬어 보세요. 퇴근시간에 집에 가면 놀고 월급도둑질한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이잖아요.

    아마 다른 나라 회사의 임원들이 우리나라 근로자 의욕을 평가했으면 엄청나게 다른 결과가 나왔을걸요.
    국내 회사에서 일하다가 다국적 회사 들어가면 너무 열심히 일한다고 그렇게 일하지 마라고 한단 말이죠.
    평가 잣대 자체가 틀렸어요.

  • 7. ...
    '15.12.2 1:07 PM (211.182.xxx.2)

    글쓴이도 노동자이면서... 지가 오너인줄 아네...
    참말로 병이다 병...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6280 15층 탑층 어떨까요? 덥다는 얘기를 들어서요 6 주니 2015/12/04 1,697
506279 이제 고3인데.. 13 답답하다 2015/12/04 3,347
506278 안동 출신 '빨갱이'가 대통령이 된다면.... 샌더스 2015/12/04 1,056
506277 헌법 앞에 무릎꿇은 경찰…'2차 민중총궐기' 탄력 5 민중총궐기 2015/12/04 973
506276 일본 거주 경험있으신분들. 솔직하게 일본 어떤가요? 11 일본 2015/12/04 6,296
506275 문대표 내일 집회 참석 한다네요 3 .. 2015/12/04 930
506274 코다리로 찌개 끓여도 되나요? 찜말고... 7 궁금이 2015/12/04 1,462
506273 중 3 내신 170 점 8 중 3 엄마.. 2015/12/04 4,503
506272 DKNY 싱글노처자들 컴온 4 싱글이 2015/12/04 1,031
506271 내일 집회 참가하시는분 많나여? 10 235 2015/12/04 984
506270 레몬테라스가 뭐 대단하다고.. 49 ^^* 2015/12/04 15,093
506269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91 이라고 하는데요. 2 2015/12/04 6,148
506268 뷰티전문가님들!! 고체향수 추천 부탁드려요. 2 연말선물 2015/12/04 999
506267 아파트를 처음 분양받으려고 하는데 뭐부터 해야하나요 4 내집마련 2015/12/04 1,432
506266 수녀님들 저만 그렇게 느낀게 아니군요. 49 ... 2015/12/04 14,695
506265 문재인, '안철수 칼' 갖고 대대적 공천 물갈이 44 직진해 2015/12/04 1,885
506264 춘권피에 간이 되어 있나요??? 춘권피 2015/12/04 368
506263 미얀마 여행 갔다오신 분 3 미얀마 2015/12/04 1,508
506262 인덕션 기능별 차이가 뭔가요? dd 2015/12/04 627
506261 쌀은 어디에 팔수있나요? 5 시골댁 2015/12/04 1,176
506260 어울리는 웨딩스레스 많으셨어요? 12 신부 2015/12/04 2,328
506259 더말로지* 써보신 분들... 2 ㄷㄷ 2015/12/04 690
506258 엄마의 섬망(치매) 가재발했나봐요 6 섬망 2015/12/04 4,330
506257 프린터해야하는데 못보던 창이떠서 인쇄가 안돼요ㅠㅠ 12 ... 2015/12/04 3,176
506256 건조한 계절 섬유유연제 향 추천해주세요~ 아들만셋 2015/12/04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