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정말 금리가 오를까요?

고민 조회수 : 4,593
작성일 : 2015-12-01 13:28:13
재산의 반을 그냥 은행에 넣어두고 사는 집이예요.
이런저런 이유로 집 살 기회를 놓치고(학교나 직장 문제로)
지금 비싼 강남에 살고 있는데 음..여기 전세가 거의 지옥이랍니다.
6년만에 전세가 3배 뛰었답니다. 3억5천이던 전세가 지금 9억5천이예요-.-
저는 6억5천일 때 다른 곳으로 옮겼는데 이 주변도 결국 7억대부터 시작.
어느 집이든 전세가에 1억~2억만 보태면 매매 가능할 정도. 매매는 정말 쌓였습니다.
사정상 2년을 더 살아야 하는데 미치겠네요.
금리가 오른다면 짐을 확 줄여서 싼 전셋집이나 평수를 줄여 가려고 하고요
아니라면 그냥 1억 더 주고 주저앉아야 할 것 같아요...
IP : 14.52.xxx.6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1 1:38 PM (115.140.xxx.126) - 삭제된댓글

    금리는 모르겠지만 전세난은 진정되는 추세인 듯해요
    가을에 이사가려다 전세가 아예 없어서 마음 접었는데
    요즘 들어 부동산에서 물건 있다고 전화가 옵니다

  • 2. ...
    '15.12.1 1:38 PM (115.140.xxx.126) - 삭제된댓글

    금리는 모르겠지만 전세난은 진정되는 추세인 듯해요
    가을에 이사가려다 원하는 동네에 전세가 아예 없어서 마음 접었는데
    요즘 들어 부동산에서 물건 있다고 전화가 옵니다

  • 3. 1~2 년 안에 금리오를겁니다
    '15.12.1 1:42 PM (211.36.xxx.93) - 삭제된댓글

    다른 그 어떤지역보다 서울은 집값, 전세값 거품이
    월등히 심해요 거품이 빠졌을때 상상이상으로 집값이
    떨어질 수 있어요
    제 친척이 도쿄 사는데 6억하던 집을 2억에 내놔도
    월세만 살려고하지 매매 하려는 사람이 없데요
    내논지 3년짼데요. 서울과 도쿄가 크게 다를까요?
    일본은 산업기초기반이라도 되어있지요
    저같으면 월세살며 추이 지켜보겠습니다

  • 4. 이미 올랐는데요
    '15.12.1 1:46 PM (223.33.xxx.120)

    대출금리는 오르고 있고..

    대출금리는 예금금리보다 빨리 올라요.

  • 5. 월세
    '15.12.1 1:52 PM (175.141.xxx.198)

    저라면 월세 살거 같아요. 세상일 아무도 모르죠. 집에 너무 많이 깔고있으면 불안하지 않을까요? 급할때 바로 뺄수있으면 모를까... 아엠에프때 금리 30 프로까지 같다고 댓글 읽었어요..ㅠㅠ 사는게 참..

  • 6. ...
    '15.12.1 1:53 PM (211.109.xxx.175)

    좌만간 전세나 반전세로 집구하려는데
    금리 인상땜에 그 돈도 이래저래 불안하고 해서
    원룸이나 구할까 그생각도 하게돼요

  • 7. 경남
    '15.12.1 1:55 PM (112.173.xxx.196)

    여기도 지금 집이 안팔리고 전월세도 안나가네요.
    입주폭탄이 서시히 다가오는 느낌입니다.

  • 8. ㅇㅇ
    '15.12.1 2:26 PM (223.62.xxx.139)

    실거주 아파트는 매매하는게 삶의질이 높아져요
    전세로 2년마다 이사하고 이사업체들 과실로 비싼가전이나 살림도 망가지다보니 정신적으로 피폐했는데
    내집있으니까 안정감있고 팔 생각은 없지만 집값도 꽤 올랐네요
    그런데 투기성 매매는 당분간 자제하는게 좋을듯해요

  • 9. ...
    '15.12.1 2:33 PM (203.244.xxx.22) - 삭제된댓글

    그런데 실거주 실거주 하는데....
    실거주라도 그게 온전히 재산의 전부인 사람들은 1~2천도 아니고 1억 이상 떨어진다면 문제가 되는거아닌가요.
    삶의 질 따지다가 내가 3년벌어 모을 돈(생활비빼고)을 고스란히 날린 다고 생각해보세요.
    물론 최악의 경우지만 생각해보면 좀 아찔한데, 딴지 거는게 아니라요... 실거주 논하시는 분들은 안그런건지 궁금해서요. 윗분의 경우 결국 집값이 올라서 다행이지만 전 최악의 경우를 자꾸 생각하게 되서, 매매가 꺼려져요.

  • 10. ...
    '15.12.1 2:34 PM (203.244.xxx.22)

    그런데 실거주 실거주 하는데....
    실거주라도 그게 온전히 재산의 전부인 사람들은 1~2천도 아니고 1억 이상 떨어진다면 문제가 되는거아닌가요.
    삶의 질 따지다가 내가 몇년 벌어 모을 돈을 고스란히 날린 다고 생각해보세요.
    물론 최악의 경우지만 생각해보면 좀 아찔한데, 딴지 거는게 아니라요... 실거주 논하시는 분들은 안그런건지 궁금해서요. 윗분의 경우 결국 집값이 올라서 다행이지만 전 최악의 경우를 자꾸 생각하게 되서, 매매가 꺼려져요.

  • 11. 신한
    '15.12.1 2:41 PM (222.120.xxx.19) - 삭제된댓글

    대출 금리 올랐더라구요

  • 12. 실거주니까
    '15.12.1 2:57 PM (223.33.xxx.120)

    윗님 실거주인데 뭐하러 반토막일때 파나요.. 그냥 있어야죠..

    그리고 갑자기 집값 대폭 하락하면 전세자가 더 위험해요

  • 13. 매매가 쌓여다는 것은
    '15.12.1 3:09 PM (211.251.xxx.89)

    지금 집값이 꼭대기에 가까우니 집 가진 사람들이 빨리 처분하려고 하는 거잖아요. 그걸 받을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전세를 1억 더 올려주면 집값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보시고..만일의 사태에 이 정도면 내가 끌어 안겠다 싶으면 전세금 올려주고 연장하시는 것이고, 아니면 한 번 더 움직이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이자는 올라도 사실 얼마 오르지는 않을 듯 해요.

  • 14. 금리 요거 올리자고
    '15.12.1 4:01 PM (211.36.xxx.93) - 삭제된댓글

    미국에서 호들갑떠는게 아니니 문제이지요
    아직 금리 올린다도 제대로 발표한것도 아니니
    문제이지요 양적완화( 달러를 대책없이 마구
    찍어내는짓) 종료로 금리가 두배가까이 오를 수 있구요
    달러 회수하면 울나라 은행 대출자들 달달 볶아 원금
    받아내야 파산을 면하니 대출 아주 적게 끼고 산 실거주자
    아니면 타격 없는 사람 드물겁니다
    결국 한꺼번에 집 내놓을 확률 상당히높아요
    미국 록펠러가 주식을 이런식으로 장난쳐 소액주주들
    주식 싹스리싸게구매해서 개미 투자자들 알거지 만든게 대공황이예요 그후 그는 미국최고의 갑부됐구요
    그도 연방정부은행과 깊숙이 관련되있구요
    음모론요? 세상 절대 소수부자들이 우리같은 평범한 소시민들 가지고 노는거 이미알만한사람은 다 알지 않나요?

  • 15. ppp
    '15.12.1 4:13 PM (116.123.xxx.107)

    두달반후가 반전세 기한인데 세입자에게 어떻게 통보해야할지 고민하고 있어요
    2년전 보증금을 시세보다 1억싸게해서 5억에 월세로 했는데
    요즘 시세가 같은 월세액에 보증금이 10억이라해서
    월세는 그대로하고 시세보다 2억 적은 3억 올려달라할까 합니다
    은퇴자인 저도 강남 요지집 내주고 경기도에서 전세살고 있는데 주인이 8월에 들어온다해서
    그때가서 올려서 옮겨야하고요

  • 16. 전세도 안나감
    '15.12.1 5:04 PM (124.56.xxx.186) - 삭제된댓글

    몇주사이에 전세도 안나가고 쌓이고 있어요.

  • 17. JP
    '15.12.3 8:49 AM (118.35.xxx.137)

    지금한국 금리 쉽게 못올려요 남들 생각하는만큼 확 올리면 한국에 망하는 회사 숫자만해도 수만개입니다.. 저희회사만해도 대출로 매꾸고있는 실정인데... 그리고 대출금리는 벌써 조금씩 올려놨구요 정말 10년은 그집에서 살거다! 실거주면 비싸도 사는게 맞아요 금리가 낮으니 갚기는 확실히쉽거든요 비싼강남이라니 비교할바가 아니지만 저촌에사는데도 여기 이름있는 아파트 3억넘습니다... 두산, 한신 여기는 평당 하루가 다르게 치솟구요 아파트값은 안내려갈것같아요 여기서 그냥 멈추는 수준될것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788 선보고 마음이 바뀌었는데 어떻게 거절해야할까요? 1 ... 2016/02/01 1,618
523787 런던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퍼포먼스, 영국 현지인들의 큰 관.. light7.. 2016/02/01 682
523786 여자는 50까지만 일하고 그 뒤론 즐기라고 하시는데 맞는거 같아.. 72 // 2016/02/01 19,248
523785 시어머니와 칼 7 2016/02/01 2,744
523784 저기 아래 23개월 아이 훈육법이란 글이 보여서 써봅니다. 17 아이셋 엄마.. 2016/02/01 4,691
523783 이쁜거 다 소용없더라구요 46 ㅇㅇ 2016/02/01 25,629
523782 아이폰6인데 옆으로 돌리면 화면도 수평돠는거 어떻게 하나요 1 아이폰 2016/02/01 1,178
523781 혹시 엘지디스플레이 생산직 연봉 아시는 분 계실까요? 4 한숨.. 2016/02/01 10,379
523780 초등학교 방과 후 영어교사 혹은 어린이집 영어교사 관련 문의 드.. 3 .. 2016/02/01 1,900
523779 30대후반 며느리입니다. 11 .. 2016/02/01 4,794
523778 PC통신 어디 이용들 하셨음?? 14 zzz 2016/02/01 1,013
523777 자기 전문분야 있는거 있으세요? 그러면..그분들은 자기분야에서 .. 아이린뚱둥 2016/02/01 611
523776 요즘 덧글 1 아유 2016/02/01 522
523775 영화 '접속'의 두 주인공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3 contac.. 2016/02/01 2,867
523774 고마운 분에게 선물하고싶어요 .... 2016/02/01 478
523773 택배, 대한통운이 왕좌인가요? 9 ㅇㅇ 2016/02/01 1,439
523772 형수님이 일을 안해요..;;/펌 43 어떠세요? 2016/02/01 17,519
523771 접시 이빠진거 보고 막 울었어요 94 엄마 여읜 .. 2016/02/01 17,455
523770 안과 안 가고 안경점에서 안경 맞춰도 되나요? 5 노안 2016/02/01 3,021
523769 해외사시는데 영어는 그저그런 엄마, 계시나요.. 6 외국경험없는.. 2016/02/01 2,438
523768 유럽생활 5년차. 여기저기 치이는 느낌이에요. 85 777 2016/02/01 24,792
523767 해외 국제학교 하이스쿨 보내시는 분??? 9 aa 2016/02/01 1,586
523766 가족여행 이런 저런 조언 부탁드려요~ 1 첫가족여행~.. 2016/02/01 582
523765 현대차 주식을 좀 사보려하는데 어쩌죠? 6 내일 2016/02/01 2,353
523764 퇴직한 남편이 무기력한데 강아지 키우는걸 고려하고 있어요 32 힘드네요 2016/02/01 6,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