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수 삶아 헹구는 이유가 뭔가요?

조회수 : 10,880
작성일 : 2015-11-30 21:06:03
마트에 파는 소면이나 중면 등의 국수요..
라면처럼 그냥 넣어 삶지 않고 왜 삶아 헹궈야 하는 건가요?
잔치국수 할 때도 삶아 헹궈 건진 다음에 다시 뜨거운 국물에 토렴해서 국물 붓는 거 맞나요?
가끔은 라면이나 찌개나 국에 그냥 넣어 끓일 때도 있는데 그러면 국물이 좀 걸쭉해지긴 하더군요. 그렇더라도 먹기에 문제는 없고, 찬물 넣어가며 끓이면 퍼지거나 하지도 않던데 말이에요.
여튼 삶아 헹궈 쓰는 이유가 궁금해요.
IP : 175.252.xxx.10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1.30 9:06 PM (121.150.xxx.227)

    찬물에 헹궈야 면발이 탱탱해짐

  • 2. 백주부
    '15.11.30 9:08 PM (183.100.xxx.240)

    프로에서 투명해질때까지
    정말 빡빡 빨던데요.
    쫄깃탱탱해진대요.

  • 3. ㅇㅇㅇ
    '15.11.30 9:08 PM (49.142.xxx.181)

    헹구지 않으면 전분질때문에 걸쭉해지고
    찬물에 바락바락 주물러 빨듯이 해야 면이 탱글탱글 또렷또렷해져서 식감이 좋아지고
    전분질도 씻겨져서 국물맛도 좋아지고
    면도 오래 둬도 덜 불어요.

  • 4.
    '15.11.30 9:10 PM (175.252.xxx.10)

    그럼 그냥 안 헹구고 라면처럼 끓여 먹어도 상관은 없는 거죠? 번거롭기도 한 데다 전 무르게 먹는 편이라 괜찮더라구요. 근데 무슨 다른 이유도 있나 싶어서요.

  • 5. 국물이
    '15.11.30 9:14 PM (101.250.xxx.37)

    좀 탁하고 뻑뻑해져요
    그리고 밀가루 냄새가 날거예요

  • 6. 그게
    '15.11.30 9:14 PM (175.209.xxx.160)

    아마 그냥 먹게 되면 찐득하고 맛 없을 걸요?

  • 7. ...
    '15.11.30 9:14 PM (121.141.xxx.230)

    맛이 확연히 틀리던데요.. 한 세번은 잘 씻어야해요.. 안그럼 진짜 밀가루맛나고 텁텁해요...

  • 8.
    '15.11.30 9:15 PM (175.252.xxx.10) - 삭제된댓글

    비빔국수나 뭐 그런 종류로 먹을 땐 물론 그렇긴 한데, 가끔 국 같은 데 면을 조금만 넣고 싶을 때가 있어서요. 식감 이유 외에 문제는 없는 거죠?

  • 9.
    '15.11.30 9:17 PM (175.252.xxx.10) - 삭제된댓글

    비빔국수나 뭐 그런 종류로 먹을 땐 물론 그렇긴 한데, 가끔 국 같은 데 면을 조금만 넣고 싶을 때가 있어서요. 여튼 전 그런 땐 그냥 넣거든요.
    근데 그럼 그럴 때도 따로 삶아 헹궈서 다시 국에 넣는 게 정석?일까요?

  • 10. 김흥임
    '15.11.30 9:20 PM (49.174.xxx.3) - 삭제된댓글

    김치슴슴하니익은거 다져넣고 같이 삶기도하고
    된장국에 삶아먹는 장국도 있죠
    나름 매력있어요

    다만 건면은 반죽할때 소금물로해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짭짤하게 간이되니 혹시 그냥삶을경우
    간을 가장 나중에 맞추세요

  • 11.
    '15.11.30 9:22 PM (175.252.xxx.10)

    그렇군요. 근데 비빔국수나 뭐 그런 종류로 먹을 땐 당연히 그렇긴 한데, 가끔 국 같은 데 면을 조금만 넣고 싶을 땐 전 그냥 넣었거든요.
    근데 그럼 그럴 때도 따로 삶아 헹궈서 다시 국에 넣는 게 정석?일까요?

  • 12. 정석은 그렇죠
    '15.11.30 9:24 PM (101.250.xxx.37)

    설렁탕에 국수 넣어먹거나
    곰탕에 국수사리 넣을때도
    삶아 씻어놓은걸 넣죠^^

    안그러면 국물맛을 버리거든요

    김흥임님 말씀처럼 된장이나 매운탕, 육개장 같이
    국물맛이 진한 경우엔 그냥 넣어도 될거예요

  • 13.
    '15.11.30 9:24 PM (175.252.xxx.10) - 삭제된댓글

    아 지우고 다시 쓰다 댓글이;.. 그렇군요.
    전부터 좀 궁금했는데 말씀들 정말 감사드려요.

  • 14. 예전에
    '15.11.30 9:25 PM (14.38.xxx.132)

    먹어본 어죽엔 소면을 삶지 않고 그냥 넣더군요. 원글님이 풀기있고 푹 무른 국수를 원하신다면 굳이 국수 삶고 헹구는 수고는 안하셔도 될거 같고요,부드럽고 탱글탱글한 면발을 원하시면 국수표면의 풀기를 다 제거하는 것이 좋을 거 같네요.^^

  • 15.
    '15.11.30 9:36 PM (175.252.xxx.10) - 삭제된댓글

    그렇군요. 집에서 칼국수 할 때도 밀가루 묻은 채로걸쭉하게 먹으니까 이런 국수도 그렇지 않을까 하고.. 여튼 제대로 알게 됐네요. 댓글 모두 정말 감사 드려요~~.

  • 16.
    '15.11.30 9:37 PM (175.252.xxx.10) - 삭제된댓글

    그렇군요. 집에서 칼국수 할 때도 밀가루 묻은 채 넣어 걸쭉하게 먹으니까 이런 국수도 그렇지 않을까 하고.. 여튼 제대로 알게 됐네요. 댓글들 모두 정말 감사 드려요~~.

  • 17.
    '15.11.30 9:37 PM (175.252.xxx.10) - 삭제된댓글

    그렇군요. 집에서 칼국수 할 때도 밀가루 묻은 채 넣어 걸쭉하게 먹으니까 이런 국수도 그렇지진 않을까 하고.. 여튼 제대로 알게 됐네요.
    댓글들 모두 정말 감사 드려요~~.

  • 18.
    '15.11.30 9:38 PM (175.252.xxx.10)

    그렇군요. 집에서 칼국수 할 때도 밀가루 묻은 채 넣어 걸쭉하게 먹으니까 이런 국수도 그렇진 않을까 하고.. 여튼 제대로 알게 됐네요.
    댓글들 모두 정말 감사 드려요~~.

  • 19. ㅇㅇ
    '15.11.30 9:46 P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김흥임님 댓글 고마워요.
    한 번 시도해봐야겠어요.^^

  • 20. ....
    '15.11.30 9:50 PM (122.37.xxx.25)

    소면 많이 먹는 일본에서는 지역 별미로 육수 만들어서 소면 그대로 삶아서 먹는류의 국수도 있어요.
    뭐 드시기 나름인거 같아요~
    시판하는 샘표에서 나온 간단 멸치국수 같은건 라면처럼 스프 들어있고 물 끓여서 스프랑 소면 넣고 바로 끓여서 먹게끔 되어있어요~

  • 21. ..
    '15.12.1 3:38 PM (125.177.xxx.5) - 삭제된댓글

    결국 위생상..

  • 22.
    '15.12.2 6:38 PM (175.252.xxx.208) - 삭제된댓글

    김흥임님 댓글 지난 번에도 받은 적 있는데 정말 매번 도움 많이 되고 다시 감사 드려요. 말씀대로 해볼게요.
    윗님 댓글도 잘 읽었습니다. 그렇군요. 감사 드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5815 온양온천 호텔좀 7 온천 2015/12/03 2,870
505814 혹시 See's candy 라고 초컬렛을 아시는지요? 11 초컬릿 2015/12/03 1,880
505813 사무업무에서 마케팅이나 기획업무로 넘어갈수도 있나요? 하하오이낭 2015/12/03 528
505812 1:100 퀴즈 보시는 분, 거기서 번호표시등이 너무 거슬리는 .. 1 별 걸 다... 2015/12/03 615
505811 북한의 청소년 학생회관 모습 2 ㅠㅠㅠ 2015/12/03 696
505810 황석정씨는 45살로알고있는데 어쩜저리노안인가요? 27 눈온다 2015/12/03 12,493
505809 유재열이 즐겨듣는 저녁스케치중에서...12월의 독백(오광수님) 은빛여울에 2015/12/03 783
505808 신은경 前남편 49 ㅇㅇ 2015/12/03 21,268
505807 아베, 박근혜 면전에서 위안부 소녀상 철거 요구 4 굴욕외교 2015/12/03 1,228
505806 신문 뭐 보세요? 신문 2015/12/03 467
505805 황석정 이분 누구에요? 7 ㅇㅇ 2015/12/03 2,622
505804 북경 샹하이 3일동안 비오고 드디여 파란하늘이 나타났데요 ㅎㅎ 2 중국 2015/12/03 1,023
505803 강남에서 가까운 괜찮은 운전면허학원 추천 요망 1종면허 2015/12/03 565
505802 김치만두하려는데 김치가 새콤하게 시어졌는데 8 화이트 2015/12/03 1,439
505801 허이재, 김혜리 이혼..요즘 이혼 왜이렇게 많아요? 49 이혼이요 2015/12/03 15,170
505800 좋은아침 하우스 나오는 저집은 6 .. 2015/12/03 2,399
505799 수시에서 수능 최저 맞췄다면?? 14 고3맘 2015/12/03 3,690
505798 한겨레 프리즘- 농민 백남기를 말한다 3 한겨레 2015/12/03 582
505797 없어진 다단계 회사..소득신고해서 건강보험료 엄청 나왔다는데요 2 짜증 2015/12/03 1,749
505796 가슴 큰게 자랑인 친구.. 48 .. 2015/12/03 6,960
505795 자식은 전생의 빚을 갚으러 왔다는 말이 공감될 때도 1 허브물티슈 2015/12/03 2,432
505794 아파트청약 넣을때 업자 통해 하는거 맞나요? 아파트당첨되.. 2015/12/03 609
505793 둘째가 너무 귀엽네요 4 ,,,, 2015/12/03 1,793
505792 이사 자주 다니는 분들 가구나 가전같은거 좋은거 사시나요?? 7 흐규흐규 2015/12/03 1,811
505791 짐 내리는 눈..쌓이려나요ㅠ? 1 zz 2015/12/03 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