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가와 매매가가 얼마 차이 나지 않는데 자발적 반전세로 가야할까요

곧 재계약.. 조회수 : 3,049
작성일 : 2015-11-26 09:29:35

곧 재계약인 전세 세입자입니다.

2년 전에 재계약 해서 살고 있어서 이번이 두번째 재계약입니다.

지난 번 재계약 때는 집주인이 날짜를 깜빡하고 계약 날짜 이후에 알아차리셔서

이전보다 3천만원만 더 내고 살았습니다 (시세보다 3천 더 싸게)

전세 시세 알아보려고 네이버 부동산 검색해보니.. 현재 전세가보다 1억 1천이 올랐네요..ㅜ.ㅜ

매매가는 4억 2천, 전세가는 3억 5천이에요. (현재는 2억 4천에 살고 있어요)

매매가와 전세가가 7천밖에 차이나지 않는 걸 보니..

전세를 3억 5천까지 올려주는 게 넘 불안하네요.. (제가 가진 재산의 거의 전부에요. 전세값이..;;)

현재 저축액으로는 딱 그 정도까지는 올려줄 여력은 되긴 해요.

나중에 혹시 매매가가 떨어져서 전세가보다 낮아지면 전세 보증금을 다 받지 못할 수도 있겠죠?

자발적 반전세로 가야할지.. 전세값을 다 올려주고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해야 할지..

전세보증보험 검색해보니 3억 이상은 서울보증보험만 가능한데

집주인 동의가 필수라네요...

집주인이 동의할까요.. 대출같은 건 하나도 걸려있지 않은 상황이라.. 자기를 못믿는 것 같아 기분나빠 할 것 같기도

한데요..

조언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152.99.xxx.14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차라리
    '15.11.26 9:36 AM (211.219.xxx.240)

    대출받아서 월세 낼 돈으로 은행 이자 주고 사세요. 자산이라도 남게.

  • 2. ..
    '15.11.26 9:38 AM (116.36.xxx.24)

    저희는 매매 6억 전세 5억3천 이라더군요..집주이이 맞벌이라 위험하지 않을거라 생각이 들긴하지만 맘편히 그냥 반 전세로 했어요..2년전 처음 들어올때 집 시세가 5억 초에서 중반정도었거든요.

  • 3. 작성자
    '15.11.26 9:42 AM (152.99.xxx.141)

    매매가가 최근까지 조금 오르긴 했지만 강북 산동네 아파트라 계속 오르기엔 한계가 있을 것 같아서요
    계속 살 집이라면 매매도 생각해 볼텐데 2년-4년 정도 후엔 애들 교육 때문에 이사 가려고 생각 중이에요

  • 4. Let orange
    '15.11.26 9:42 AM (122.32.xxx.215) - 삭제된댓글

    저도 어제 계약하고 왔는데요.서울보증보험은 주인들이 잘 안해주려고
    한다네요. 집값의 하락이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안전하게 가시는 것이 맞는것 같아요.

  • 5. 전세금
    '15.11.26 9:49 AM (112.173.xxx.196)

    집값 하락과 관계없이 주인이 의무적으로 돌려줘야 할 금액입니다.
    그러니 지금처럼 전세가가 고공 행진을 계속하면 나중에 주인이 그만큼 부담이 커지죠.
    전라도 같은 시골은 집값보다 전세가가 비싼 곳도 있어도
    주인들이 다 마련해서 돌려줘요.
    전세금이란 건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세이지 그게 집값과는 지금은 많이 무관해졌어요.

  • 6. ㅎㅎ
    '15.11.26 9:54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주인이 의무적으로 돌려줘야 하는게 맞고, 실제 많은 분들이 그려러고 노력하지만,
    집주인도 경제적 문제 생기면 어쩔 수 없습니다. 배째라로 나오면 결국 세입자는 돈 못 돌려받아요.

    전세금은 집값과 전혀 무관하지 않습니다.

  • 7. ㅎㅎ
    '15.11.26 9:54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주인이 의무적으로 돌려줘야 하는게 맞고, 실제 많은 분들이 그러려고 노력하지만,
    집주인도 경제적 문제 생기면 어쩔 수 없습니다. 배째라로 나오면 결국 세입자는 돈 못 돌려받아요.

    전세금은 집값과 전혀 무관하지 않습니다.

  • 8. ...
    '15.11.26 9:54 AM (114.108.xxx.48)

    의무적으로 안 돌려주니까 깡통전세니 뭐니 그런 불안한 말드이 나오는거죠.
    5억짜리 집에 5억 3천 전세라면 그 집을 포기하고 3천을 벌려는 사람들이 나오겠죠.
    요즘 그런집들 진짜 많드라고요. 재건축 대상 아닌 이상...
    저도 고민이에요.

  • 9. 법이
    '15.11.26 10:06 AM (112.173.xxx.196)

    괜히 있나요.
    나중에라도 소송하면 되죠.
    주인도 경제문제 생기면 어쩔수가 없다니 남의 돈 띠어 먹어도 좋다는 말인가요.
    그런것에 대비 하자고 계약서 쓰는거 아니겠어요.
    그러니 전세금 마구 오른다고 욕심 목구멍까지 채우지 말고 나중에 다른 세입자가 안들어와도
    자신들이 전세금 마련할 수 있는 금액 만큼만 받으세요.
    남의 눈에 눈물 나게 하고 상대는 끝까지 잘 되는 꼴을 못봤네요.
    예전에 누가 죽어서도 억울한 일은 잊지를 못하니 밤바다 귀신으로 찿아와 괴롭히고
    뱀으로도 환생해서 그 집에 찿아오고 그래서 결국 빌려간 돈은 갚아줬다고 하더군요.

  • 10. 작성자
    '15.11.26 10:53 AM (152.99.xxx.141)

    서울보증보험은 집주인들이 싫어하는군요...;;;
    할 수 없이 반전세로 가는게 맘 편할 것 같기도 하고..ㅜ.ㅜ

  • 11. ...
    '15.11.26 11:08 AM (118.32.xxx.47)

    최악의경우 집주인이 나몰라하고 집만 던진다고 면책되지 않아요. 모자르는 전세금은
    끝까지 추적해서 소송하면 죽지않음 갚아야해요.

  • 12. 00
    '15.11.26 1:49 PM (220.103.xxx.17)

    자발적 반전세도 하고싶다고 다 되는게 아니더라구요. 저도 지금 비슷한 상황이어서 반전세를 원했는데, 집주인들이 터무니없는 반전세(1억에 월200만원정도)를 원하던가, 아니면 전세를 원하더라구요.
    저희 동네는 원글님네보다 전세가랑 매매가가 더 차이가 안나거든요.
    그래서 지금 고민중이예요. 보험도 알아봤는데, 집주인의 의향을 떠나 조건이 성립해야 가입이 가능해요...ㅠ.ㅠ

  • 13. 보증보험의 현실
    '15.11.26 1:52 PM (211.172.xxx.248)

    1. 집주인이 동의해야 하는데 요즘 같은 전세난에 집주인 동의 거의 안해줍니다.
    2. 보험료가 꽤 많아요. 전세금에 비율제인데 2년동안 200만원 이상 내야 하고요.

    3. 그럼에도 불구하고 80%밖에 보장이 안돼요. 최대 7천만원은 날릴수도 있다는 거죠. (이거 중요!!!)

  • 14. 전세
    '15.11.26 3:12 PM (211.181.xxx.5)

    저도 지금 비슷한경우라 로긴했어요.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금반환보증가입하세요.이건 집주인 동의 필요없어요.서류발송만 하면 된다고 하구요.
    수도권4억,경기 3억까진가로 들었어요.
    증액한부분의 일부가입도 가능하구요. 보험료도 얼마 안하는거 같던데요.알아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2332 82님들은 네비 어떤제품 사용하세요? 그리고 어디서 사셨어요? 6 ... 2016/01/27 574
522331 이희호/김홍걸 정대철/정호준 유시민/유시민 딸 1 ㅎㅎ 2016/01/27 1,181
522330 딸아이가 드림렌즈 끼면 아프다고 하는데요... 8 드림 2016/01/27 4,380
522329 강아지 혼내야할때 어떻게 혼내시나요? 12 .. 2016/01/27 2,588
522328 명절선물로 괜찮을까요...? 5 뒤늦게 이런.. 2016/01/27 1,392
522327 영어해석 도움 필요 whitee.. 2016/01/27 440
522326 TV조선, 채널A, 엠비씨등.. 영상 무단도용 배상 판결 4 ATM기 2016/01/27 483
522325 문구류 이름좀 알려주세요 7 ;;;;;;.. 2016/01/27 965
522324 온라인마켓 옥*이나 지마* 말고 이용할만한 곳 있나요? 8 맘.. 2016/01/27 1,235
522323 나이47에 따두면 좋을 자격증 뭐가 있을까요? 11 중년여성 2016/01/27 6,703
522322 일어, 중국어를 업무상 사용하시는 분께 질문 3 궁금 2016/01/27 772
522321 유방엑스레이 검사해 보신 분 계세요? 7 알프스소녀 2016/01/27 1,836
522320 대장내시경 비수면으로 하시는 분들 많으신가요? 7 검진 2016/01/27 3,970
522319 치루 잘아시는분... 2 고민 2016/01/27 2,031
522318 김부선 이재명, 악연? SNS 설전 벌여' 성남사는 가짜 총각.. 5 ........ 2016/01/27 1,707
522317 대구 수성구 혼자살만한 곳 추천좀요~ 5 ㅇㅇ 2016/01/27 1,448
522316 서울 중학교아이들 언제부터 봄방학인가요? 6 ... 2016/01/27 3,267
522315 쉑쉑버거 한국 1호점은 어디에 오픈할까요? 6 Shake 2016/01/27 2,797
522314 분노조절 안되는 사람 계속 곁에 두세요? 7 인간관계정리.. 2016/01/27 2,354
522313 암보험좀 봐주세요.. 6 .. 2016/01/27 1,083
522312 오피스텔 대출이나 아파트 대출 잘 아시는 분들 좀 여쭙겠습니다... 한푼두푼 2016/01/27 725
522311 양수검사 고민이에요 26 둘째 2016/01/27 3,799
522310 집주인 등기부등본 떼봤는데 2 2016/01/27 3,640
522309 이재명 성남성장이랑 김부선이랑 난리났네요 ㅋ 14 .... 2016/01/27 7,887
522308 무서운 유권자되기 - 1.27오후 예비후보자 총 1170 명의 .. 탱자 2016/01/27 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