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가와 매매가가 얼마 차이 나지 않는데 자발적 반전세로 가야할까요

곧 재계약.. 조회수 : 2,935
작성일 : 2015-11-26 09:29:35

곧 재계약인 전세 세입자입니다.

2년 전에 재계약 해서 살고 있어서 이번이 두번째 재계약입니다.

지난 번 재계약 때는 집주인이 날짜를 깜빡하고 계약 날짜 이후에 알아차리셔서

이전보다 3천만원만 더 내고 살았습니다 (시세보다 3천 더 싸게)

전세 시세 알아보려고 네이버 부동산 검색해보니.. 현재 전세가보다 1억 1천이 올랐네요..ㅜ.ㅜ

매매가는 4억 2천, 전세가는 3억 5천이에요. (현재는 2억 4천에 살고 있어요)

매매가와 전세가가 7천밖에 차이나지 않는 걸 보니..

전세를 3억 5천까지 올려주는 게 넘 불안하네요.. (제가 가진 재산의 거의 전부에요. 전세값이..;;)

현재 저축액으로는 딱 그 정도까지는 올려줄 여력은 되긴 해요.

나중에 혹시 매매가가 떨어져서 전세가보다 낮아지면 전세 보증금을 다 받지 못할 수도 있겠죠?

자발적 반전세로 가야할지.. 전세값을 다 올려주고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해야 할지..

전세보증보험 검색해보니 3억 이상은 서울보증보험만 가능한데

집주인 동의가 필수라네요...

집주인이 동의할까요.. 대출같은 건 하나도 걸려있지 않은 상황이라.. 자기를 못믿는 것 같아 기분나빠 할 것 같기도

한데요..

조언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152.99.xxx.14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차라리
    '15.11.26 9:36 AM (211.219.xxx.240)

    대출받아서 월세 낼 돈으로 은행 이자 주고 사세요. 자산이라도 남게.

  • 2. ..
    '15.11.26 9:38 AM (116.36.xxx.24)

    저희는 매매 6억 전세 5억3천 이라더군요..집주이이 맞벌이라 위험하지 않을거라 생각이 들긴하지만 맘편히 그냥 반 전세로 했어요..2년전 처음 들어올때 집 시세가 5억 초에서 중반정도었거든요.

  • 3. 작성자
    '15.11.26 9:42 AM (152.99.xxx.141)

    매매가가 최근까지 조금 오르긴 했지만 강북 산동네 아파트라 계속 오르기엔 한계가 있을 것 같아서요
    계속 살 집이라면 매매도 생각해 볼텐데 2년-4년 정도 후엔 애들 교육 때문에 이사 가려고 생각 중이에요

  • 4. Let orange
    '15.11.26 9:42 AM (122.32.xxx.215) - 삭제된댓글

    저도 어제 계약하고 왔는데요.서울보증보험은 주인들이 잘 안해주려고
    한다네요. 집값의 하락이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안전하게 가시는 것이 맞는것 같아요.

  • 5. 전세금
    '15.11.26 9:49 AM (112.173.xxx.196)

    집값 하락과 관계없이 주인이 의무적으로 돌려줘야 할 금액입니다.
    그러니 지금처럼 전세가가 고공 행진을 계속하면 나중에 주인이 그만큼 부담이 커지죠.
    전라도 같은 시골은 집값보다 전세가가 비싼 곳도 있어도
    주인들이 다 마련해서 돌려줘요.
    전세금이란 건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세이지 그게 집값과는 지금은 많이 무관해졌어요.

  • 6. ㅎㅎ
    '15.11.26 9:54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주인이 의무적으로 돌려줘야 하는게 맞고, 실제 많은 분들이 그려러고 노력하지만,
    집주인도 경제적 문제 생기면 어쩔 수 없습니다. 배째라로 나오면 결국 세입자는 돈 못 돌려받아요.

    전세금은 집값과 전혀 무관하지 않습니다.

  • 7. ㅎㅎ
    '15.11.26 9:54 AM (119.192.xxx.203) - 삭제된댓글

    집주인이 의무적으로 돌려줘야 하는게 맞고, 실제 많은 분들이 그러려고 노력하지만,
    집주인도 경제적 문제 생기면 어쩔 수 없습니다. 배째라로 나오면 결국 세입자는 돈 못 돌려받아요.

    전세금은 집값과 전혀 무관하지 않습니다.

  • 8. ...
    '15.11.26 9:54 AM (114.108.xxx.48)

    의무적으로 안 돌려주니까 깡통전세니 뭐니 그런 불안한 말드이 나오는거죠.
    5억짜리 집에 5억 3천 전세라면 그 집을 포기하고 3천을 벌려는 사람들이 나오겠죠.
    요즘 그런집들 진짜 많드라고요. 재건축 대상 아닌 이상...
    저도 고민이에요.

  • 9. 법이
    '15.11.26 10:06 AM (112.173.xxx.196)

    괜히 있나요.
    나중에라도 소송하면 되죠.
    주인도 경제문제 생기면 어쩔수가 없다니 남의 돈 띠어 먹어도 좋다는 말인가요.
    그런것에 대비 하자고 계약서 쓰는거 아니겠어요.
    그러니 전세금 마구 오른다고 욕심 목구멍까지 채우지 말고 나중에 다른 세입자가 안들어와도
    자신들이 전세금 마련할 수 있는 금액 만큼만 받으세요.
    남의 눈에 눈물 나게 하고 상대는 끝까지 잘 되는 꼴을 못봤네요.
    예전에 누가 죽어서도 억울한 일은 잊지를 못하니 밤바다 귀신으로 찿아와 괴롭히고
    뱀으로도 환생해서 그 집에 찿아오고 그래서 결국 빌려간 돈은 갚아줬다고 하더군요.

  • 10. 작성자
    '15.11.26 10:53 AM (152.99.xxx.141)

    서울보증보험은 집주인들이 싫어하는군요...;;;
    할 수 없이 반전세로 가는게 맘 편할 것 같기도 하고..ㅜ.ㅜ

  • 11. ...
    '15.11.26 11:08 AM (118.32.xxx.47)

    최악의경우 집주인이 나몰라하고 집만 던진다고 면책되지 않아요. 모자르는 전세금은
    끝까지 추적해서 소송하면 죽지않음 갚아야해요.

  • 12. 00
    '15.11.26 1:49 PM (220.103.xxx.17)

    자발적 반전세도 하고싶다고 다 되는게 아니더라구요. 저도 지금 비슷한 상황이어서 반전세를 원했는데, 집주인들이 터무니없는 반전세(1억에 월200만원정도)를 원하던가, 아니면 전세를 원하더라구요.
    저희 동네는 원글님네보다 전세가랑 매매가가 더 차이가 안나거든요.
    그래서 지금 고민중이예요. 보험도 알아봤는데, 집주인의 의향을 떠나 조건이 성립해야 가입이 가능해요...ㅠ.ㅠ

  • 13. 보증보험의 현실
    '15.11.26 1:52 PM (211.172.xxx.248)

    1. 집주인이 동의해야 하는데 요즘 같은 전세난에 집주인 동의 거의 안해줍니다.
    2. 보험료가 꽤 많아요. 전세금에 비율제인데 2년동안 200만원 이상 내야 하고요.

    3. 그럼에도 불구하고 80%밖에 보장이 안돼요. 최대 7천만원은 날릴수도 있다는 거죠. (이거 중요!!!)

  • 14. 전세
    '15.11.26 3:12 PM (211.181.xxx.5)

    저도 지금 비슷한경우라 로긴했어요.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금반환보증가입하세요.이건 집주인 동의 필요없어요.서류발송만 하면 된다고 하구요.
    수도권4억,경기 3억까진가로 들었어요.
    증액한부분의 일부가입도 가능하구요. 보험료도 얼마 안하는거 같던데요.알아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5637 이베이에서 셀러 메일을 찾는데요. 아시는 분~~? 2 아가손 2015/12/02 635
505636 딱딱하지 않고 무른 비누 뭐가 있나요? 6 겨울 2015/12/02 1,329
505635 정부가 안 하는 복지, 지자체까지 못하게 5 샬랄라 2015/12/02 647
505634 남편 기살리는 비법있으세요? 18 힘내라힘 2015/12/02 4,729
505633 결혼하신 분들..매일 저녁 어떻게 해결하시는지 49 mistls.. 2015/12/02 1,511
505632 82 쿡에서 안철수빠 아줌마들 불펜에 몰려가서 왼쪽 오른쪽 .. 34 ... 2015/12/02 1,398
505631 빨리 50이 됐으면 좋겠어요 6 ㅇㅇ 2015/12/02 2,851
505630 초등 기출문제 출력해서 볼수 있는데 아시는 분 계시나요? 3 블루 2015/12/02 1,309
505629 정부, 성남시 ‘무상교복’도 제동.. 지자체 복지 불수용 5 무상교복 2015/12/02 813
505628 연말 실내 모임에선 봄가을용 재킷 입고있어도 될까요? 2 ㅁㅁ 2015/12/02 1,141
505627 팟캐스트 정치방송은 안철수에게 저주를 퍼붓네요 26 ..... 2015/12/02 1,870
505626 김제동씨가 편집국에 전화를 걸어... 11 좋아요 2015/12/02 2,987
505625 피부더러운데 이쁜여자 가능할까요 19 피부 2015/12/02 14,909
505624 선물고민 같이 부탁드려요 (60대) 8 선물 2015/12/02 957
505623 결정 장애..도와주세요(금호 설악vs 평창 알펜시아) 4 실바람 2015/12/02 1,051
505622 맛김치 고수분들께,,, 4 김치 2015/12/02 1,687
505621 수능 만점자 현황 보니까 48 궁금 2015/12/02 17,168
505620 서울인데 트리장식 사러 어디로 가요? 7 .. 2015/12/02 884
505619 핸드폰 요금 연체하면 연체료 있나요?아님 정지만 되나요 1 dsad 2015/12/02 890
505618 어떻게 년간 공부계획서를 세워야 하나~ 아돌아~ 2015/12/02 795
505617 금으로 씌운이 질문입니다 4 화이트스카이.. 2015/12/02 1,208
505616 지금 홈쇼핑에서 이순실 평양식 주물럭 드셔보신분~ 1 먹거리 불안.. 2015/12/02 1,410
505615 김윤진요 한국영화에서 연기못하는것같아요. 5 다리나야 2015/12/02 2,423
505614 압구정, 신사 등 요리 배울만한 곳 요리 2015/12/02 632
505613 설사를 지금 했는데 점심이 원인인가요? 어제식사가 문제일까요? 9 죄송.. 2015/12/02 2,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