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카들이 너무 예의가 없어서 기분상하네요

기본예의 조회수 : 4,360
작성일 : 2015-11-25 21:40:50
조카가 셋인데 하나는 초등이에요.
얘는 유일하게 존대말을 써요.
그런데 고등 다 큰 애들이 예의가ㅈ없어요.
반말에 우리집을 방문해도 문열면 멀뚱히 서있고
그집가도 우리가 나올때면 폰하고 앉아있어요.
가든지 말든지 그런 모양.
조카라고 용돈줘도 주는 사람이 민망해요.
내가 왜 주고 기분 상하는지.
아이 엄마에게 인사성 좀 길러라했더니 엄마가 왜 가르치냐니?
그럼 예의를 엄마가 가르치지 친척이 가르치냐했네요.
그런 모습으로 애들 볼때마다 기분 안좋다했더니
그럼 애들 데리고 오지말라는소리냐면서 발끈하네요.
그리 우리집 놀러오고 싶어하면서 예의는 정말!
IP : 211.246.xxx.12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스스로
    '15.11.25 9:43 PM (114.203.xxx.248) - 삭제된댓글

    화 낼 일을 만드시면서....
    오지 말라.오면 언니 혼자 와라.용돈 주지 않기.
    이러면 화 날 일이 뭐가 있는지?

  • 2. 미란다
    '15.11.25 9:44 PM (112.167.xxx.81)

    저 이거 무척 공감합니다.딱 제가 하고싶었던 말.근데 부모는 혼을 내는데도 아이들은 끄떡도 안하네요.이젠 조카라도 보고싶지않고 용돈도 아까워요

  • 3. 공감*100
    '15.11.25 9:51 PM (180.92.xxx.226)

    원글님도 윗님도 백퍼 공감...
    저희집 이야기네요...
    그넘의 사춘기라는 이유로 엉망...
    올 추석때 완전 정떨어지더라구요...
    다행이라면 일년에 두번정도만 보는 것....또 그렇기때문에 내가 혼낼 수도 없다는 것...저희 부모님도 못 혼냄..
    같은 지역에 살았으면 큰일날 뻔...
    저도 조카라고 보고 싶지도 않고 용돈도 아까워요...222

  • 4. 우렁된장국
    '15.11.25 9:57 PM (5.254.xxx.118) - 삭제된댓글

    부모 문제여요. 부모가 가르치지 않으면 대부분의 애들은 뭐가 문제이지 몰라요.
    안 가르쳐도 잘 하는 예쁜 애들도 있지만...

    더 문제는, 가르쳐도 애가 말을 안 듣는다며 속상해하거나, 미안해하면 이해하는데....

    애가 항시 저래도 뭐가 문제인지 파악 못하는 부모.
    또는 요즘 애들이 다 그렇지라며 옹호하면.. 할 말 없죠.
    그런 경우는 애가 문제가 아니라 부모가 문제.

  • 5. --
    '15.11.25 10:04 PM (220.118.xxx.84) - 삭제된댓글

    어휴.. 사춘기라고 무조건 다 면죄부를 줘야 하나요?
    시댁에 큰 조카가 중학생일 때 제가 남편과 결혼했는데 그때 중 1이던 조카녀석, 그때는 물론 지금 대학 졸업반인데도
    시부모님 댁에서 만나면 쪼르르 달려와서 인사합니다. 심지어 남자아이. 10년 가까이 단 한번도 조카녀석이
    작은 아버지, 작은 어머니인 우리 부부한테 인사 안 하는 거 본 적 없어요. 아이가 없는 제가 남편에게 늘 말합니다.
    저러니 안 예뻐할 수가 있냐고.

  • 6. 무명
    '15.11.25 10:10 PM (175.117.xxx.15)

    애들 인사성이 없어지는건 번호키 사용과도 관련이 있는거같아요. 예전엔 딩동 벨이 울리니 집에 어른이 들어오실때 문앞에서 인사하는 습관이 있었는데
    매일 보는 부모님은 스스로 문을 열고 들어오니 애들이 인사하는 습관이 안들어요. 손님은 가끔 오시니 우리 자랄때 잡혔던 개념(어른이 들고 날때 꼭 인사하는거)이 안생기는거 같아요.
    인사가 시작인데 그게 안잡히니 아이들도 또 어른이 느끼기에도 요즘 애들은 예의가 없다는 생각이 들구요

  • 7. 그건
    '15.11.25 10:11 PM (175.209.xxx.160)

    100% 부모 잘못이죠. 안 하면 하게 해야죠. 부모는 애 쓰는데 애들이 말을 안 듣는 거면 같은 부모 입장으로서 이해도 하거든요.

  • 8. .....
    '15.11.25 10:44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전반적인 사회구조가 점점 패악으로 가고 있는가봐요ㅠ.ㅠ
    이제 고모 삼촌 조차도 조카를 훈계하고 가르치려하면 아이 부모가
    소중한 내자식에게 뭐란다고 지랄을 할 판이니....
    금쪽같이 키운 자식에게 늙으면 버림받고 죽음까지 당하는 일이 늘고 있는 것도
    인성과 예절 교육의 부재로부터이고 그 모두가 부모들 스스로 판 무덤이 될겁니다~~

  • 9. 그래서
    '15.11.25 10:49 PM (118.42.xxx.55)

    전 친정 가거나하면 조카들 다 불러내요. 인사해야지~~하고 억지로라도 받아요. 손님오시면 인사해야지~~하고 시키고..자꾸 가르쳐야해요. 고딩이면 이미 늦었을수도...

  • 10. 정말
    '15.11.25 11:21 PM (182.230.xxx.93)

    공감합니다.

    남들에게는
    그래도 내 조카이니
    이런 얘기 하지도 못합니다. 누워 침뱉기니..

    사춘기도 아닌 대학까지 다니는 애인데도
    오랜만에 봐도 인사를 안해요.

    가끔 만나 용돈줘도
    고맙다는 말 한마디가 없으니
    준 사람이 더 민망하고
    돈준게 아까워요.

    저희 오빠는
    가르쳐도 안된다고 탄식하고
    올케는 자기 닮아 그렇다고 (올케도 제가 뭘 사줘도 고맙다는 말을 안하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941 pmp는 보통 3년이상 쓸수 있나요 2 까막눈 2016/02/01 627
523940 전세랑 매매랑 차이많이안나면 사나요? 15 ㅇㅇ 2016/02/01 11,295
523939 집에 들어가기가 싫어요.. 6 고민 2016/02/01 3,170
523938 라귀올 커트러리 잘 아시는분? 3 살림 2016/02/01 3,510
523937 쎈수학 중3상 씽번호 안쓰시는분 계실까요? 6 시유니 2016/02/01 965
523936 네째 손가락이 아프고 부었어요. 1 .. 2016/02/01 730
523935 휘슬러 전기레인지가 없다고 하는군요? 2 독일에서는 2016/02/01 2,285
523934 아담한 크기의 밥그릇 추천 부탁드려요. 7 김밥 2016/02/01 1,291
523933 목동 아파트단지는 언제부터 비쌌는지요 9 sss 2016/02/01 4,270
523932 김포 한강 신도시 5 푸른하늘 2016/02/01 2,042
523931 박근혜 3주년 전날 광화문에서 유령집회연다 1 엠네스티 2016/02/01 649
523930 6학년 2학기때 전학시켜 보신분 계세요? 1 고민 2016/02/01 2,291
523929 시레기 - 삶아서 냉동된 거 있는데 어떻게 해먹죠? 4 요리 2016/02/01 1,548
523928 신동욱 공화당 총재 “강용석 용산 출마땐, 도도맘도 출마해 맞불.. 다크하프 2016/02/01 1,243
523927 노트북만 인터넷이 자꾸 끊어지는 이유가 뭘까요? 7 답답 2016/02/01 1,216
523926 중고등학생의자 일룸, 시디즈중 어떤게 좋은가요? 5 학생의자 2016/02/01 5,284
523925 영화 악마를 보았다 궁금증 4 .. 2016/02/01 3,316
523924 제왕절개후 다인실에서 회복 가능하겠죠? 10 OO 2016/02/01 4,533
523923 층간소음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5 아이고머리야.. 2016/02/01 1,463
523922 남편 동남아쪽 주재원...고민글 25 바람 2016/02/01 5,803
523921 제가 본 공부잘하는 집 분위기 64 ㅇㅇ 2016/02/01 25,729
523920 이완구 1심 유죄...나머지 6명 무혐의..부실수사 논란 성완종리스트.. 2016/02/01 391
523919 경주시장 오는길인데 온통 새누리.. 4 ㅇㅇ 2016/02/01 906
523918 공동명의 부동산일때 의료보험 . . 2016/02/01 944
523917 투표해주세요 블라인드, 허니콤, 시트지.. 뭐가 좋을지.. 2 복도식 2016/02/01 1,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