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송유근 지도교수는 송유근 군면제 해야한다고..

... 조회수 : 5,210
작성일 : 2015-11-25 10:14:26
며칠전 신문기사를 보니 ..
송유근 지도교수 박석재인가하는 사람은...
송유근 같은 인재는 국가에서 군면제를 해줘야한다고 주장하더만요 ...
솔직히 과학고 다니면서 수학 올 림피아드 수상등으로 검증된 영재들도 우리나라에 많은데...
유독 송유근만 주목받고 국민적 지지를 받는건가요?
어릴때 인간극장나와서 대중에게 알려지고 그 부모는 더 최연소라는 타이틀에 집착하고..
크면서 대외적으로 영재나 천재성을 입증(?)해본적도 없는데도...
솔직히 이번일은 어느정도 예견된일 아닌가요?
IP : 39.7.xxx.42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
    '15.11.25 10:16 AM (211.58.xxx.154)

    진짜 부모가 최연소에 목멘듯....

  • 2. 예견됐죠.
    '15.11.25 10:18 AM (110.47.xxx.57)

    매스컴에서 만든 이미지만으로도 국민적인 성원이 가능한 나라가 우리나라 말고도 많겠지요?

  • 3. ...
    '15.11.25 10:24 AM (118.222.xxx.165) - 삭제된댓글

    그냥 올림피아드 수상이 아니라 탑골드한 아이도 면제가 아닌데,,무슨??
    그아이들하고 지금 경쟁하면 누가 더 잘할가요??

  • 4. 흠.
    '15.11.25 10:27 AM (223.62.xxx.99)

    박사 특례하면 되는데 왜 저런 얘기를 할까요? 이공계 박사들 박사특례해서 4주 훈련받고 5년간 연구하면 되는데요. 박사특례가 없어진건지..제 주위 국내 박사는 대부분 박사특례에요

  • 5. 박사 특례는
    '15.11.25 10:33 AM (110.47.xxx.57)

    시험을 쳐야 한다고 나오네요.
    그러고보니 송유근이 제도권내에서 실력을 인증받을 수 있는 시험을 친건 검정고시와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이 유일하긴 하네요.
    어쩐지 제도권내에서 실력을 인정받기를 싫어(?) 하는 듯 합니다.

  • 6. 흠.
    '15.11.25 10:39 AM (223.62.xxx.99)

    박사특례 시험 그건 그냥 최소한의 시험이에요. 동기들이나 선배들 때 되면 시험보는. 물론 떨어지면 무쟈게 창피하고 다시 시험을 보던가 그래야 하니 다들 숨어서 공부하던지 하여간 신경 씁니다만. 그리고 교수님들도 그 기간에는 프로젝트 심하게 안 시키고 살짝 배려해 줍니다.

    그 박사 특례는 자기가 가진 거라 취업할때도 들고 가는 거고 다들 그렇게 하고 이미 길이 있는데도 또 달라 하는것도 웃기고 이미 박사 과정을 하고 있는 제자를 위해 또 다른 특혜를 주장하는거? 좀 웃기네요. 외국에서 박사하는 것도 아니면서.

  • 7. ...
    '15.11.25 10:42 AM (180.66.xxx.81) - 삭제된댓글

    질투 쩌네요. 송유근이 우리나 우리애들과 차원이 다르다는 걸 인정하기가 그리 어렵고 질투나나요... 암튼 이런 애가 군면제받는 거 찬성이고요. IMO에서 수상하면 면제해주는 것도 찬성입니다. 송유근은 서울대나 그런 타이틀에 목을 매는 일반인들과는 생각이 다른거겠죠. 자기 연구를 하고 싶을 뿐이니 그런 곳을 찾아간거라고 생각되네요.

  • 8. 질투타령 또 등장
    '15.11.25 10:50 AM (110.47.xxx.57) - 삭제된댓글

    자기 연구의 결과가 지도교수의 논문 표절이랍니까?

  • 9. 질투타령 또 등장
    '15.11.25 10:50 AM (110.47.xxx.57)

    자기 연구의 결과가 지도교수의 논문 표절이랍니까?
    타이틀이 필요없는데 박사학위는 왜 따려고 했을까요?

  • 10. ㅇㅇ
    '15.11.25 11:01 A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서울대 교수한테 들은 말
    얘는 천재다 싶은 애들 가끔 있대요.
    대부분 수재고 뛰어난 학생들이지만 그 중에서도 가끔 그런 애 있다고.
    그런 부모들도 아이가 너무 뛰어나서 고민이 없었을까요?
    영재교육 안 해도
    진짜 뛰어난 애들은
    정규교육 제대로 받아도 다 때가 되면 다 천재성 발휘하더라고요.

  • 11.
    '15.11.25 11:04 AM (118.42.xxx.87)

    송유근군이 어린이집 다닐때 어린이집 적응을 못해서 쫒겨났었데요. 아이가 부모와 지낸시간이 없다보니 다른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단체생활을 하는 방법을 몰랐던 것 뿐인데 사람들은 유근이를 자폐라 하였고.. 부모는 유근이를 천재라 했죠. 제 주변에도 간혹 그런케이스들이 많은데.. 영재나 천재라는 타이틀에 집착하는 부모는 다른 이유가 아니라.. 부모 자신들의 잘못과 실수를 인정하기 싫고 현실을 부정하기 위해서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제보니 유근이가 필요하고 원했던 것은 공부가 아니라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아니었나 싶어요. 그냥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좋았던거죠. 그게 보통 평범한 아이들이 끔찍하게도 싫어하는 공부라할지라도요. 유근이가 공부하는 시간만큼은 부모가 늘 함께 해주고 도와주니까 더이상 외롭지 않아도 되니까요.

  • 12. ...
    '15.11.25 11:08 AM (1.229.xxx.93)

    지금 아이가 잘못 되어 있는것도 아니고
    열심히 자기길 가고있는 것 같던데 멀그리 말들이 많은지..
    송유근이 성장하더니 정신병자가 되어서 미쳐버렸다.. 이러면 부모탓할만하겠지만..것도아니고
    오지랍쩌네요

  • 13. ...
    '15.11.25 11:10 AM (1.229.xxx.93)

    설령 정신병자가 되서 미쳐버렸다고 해도 또 부모탓이라고만 할수도 없는거고
    여러가지 상황이 있었을테니..
    또 남들은 알수도 없는거고..
    암튼 잘알지도 못하면서 단편적으로 평가하고 이러는거 좀 보기안좋네요

  • 14. ...
    '15.11.25 11:12 AM (180.66.xxx.81) - 삭제된댓글

    지도교수가 표절아니라고 하잖아요. 저자가 아니라고 하는데 왜 다른사람들이 나서서 표절이다 천재아니다 물고 뜯고 난리인지... 그리고 최연소에 목을 매는게 아니라 머리좋은 아이들 정규 학교 수업에 지루해합니다. 그 시간에 빨리 진도나가고 자기 연구하고 그러는게 좋죠. 시간낭비없이요. 지루한 수업 듣고 있는것도 힘들거예요.

  • 15. 근데요
    '15.11.25 11:18 AM (211.43.xxx.2) - 삭제된댓글

    무엇을 보고 아직도 천재라고 하나요?
    지도교수가 표절아니라고 한 말을 믿나요, 학계에서 표절이라고 한 말은 안 믿고요?
    머리좋은 아이들 정규 학교수업에 지루해해서 학년 뛰어넘어 착실히 공부해서 어린 나이에 대학 입학하고 좋은 성과 내는 아이들 제법 있어요. 언론 안타고요.

  • 16. 아~~
    '15.11.25 11:19 AM (211.43.xxx.2) - 삭제된댓글

    일부러 그러는구나,,,,진지하게 답해서 죄송하네요.

  • 17. ...
    '15.11.25 11:23 AM (118.222.xxx.165) - 삭제된댓글

    서울영재고 다니는 아이들은 다 지루해서 어떻게 학교 수업했을까요?
    학교수업은 학교 수업이고 영재원이라든가 자기가 필요한 공부는 별도로 하면서 성장하는거죠?
    똑똑하고 잘하는 아이들은 많은데 조용히 갈길 가니 우리가 모르는거죠,(관계된 사람만 알거예요)
    부모님이 직장도 그만두고 아이한테만 집중한걸로 아는데.....,...

  • 18. ...
    '15.11.25 11:27 AM (180.66.xxx.81) - 삭제된댓글

    그 머리좋은 아이들이 무슨 성과를 냈다는건지 모르겠네요. 학계에서도 표절아니라고 기사 났어요. 아무튼 송유근이가 우리나라 과학발전에 큰 기여를 하길 바랄뿐입니다.

  • 19. ㅇㅇ
    '15.11.25 11:27 A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초등학교 때 대학 교재에 나온 문제 푸는 애들 있어요.
    그런 애가 전국에 한 명이 있는 게 아니라
    특목고, 서울대, 카이스트 가면 그런 애들 좀 있습니다.
    집은 가난하고 애가 너무 뛰어나면 당황할 만하지만
    애를 위해서는 언론에 노출 안 시키는 게 좋아요.

    송유근 군도
    천재 만들고 싶은 주변 어른들, 가십에 목마른 언론에 그만 휘둘리고
    하고 싶은 공부 꾸준히 하세요.

  • 20. 거참
    '15.11.25 11:32 AM (110.47.xxx.57) - 삭제된댓글

    학자는 논문으로 말하는건데 논문 표절이 왜 단편적인 건가요?
    노벨상은 주는 기준이 뭔지나 아세요?
    논문을 보고 주는 겁니다.

  • 21. 거참
    '15.11.25 11:32 AM (110.47.xxx.57)

    학자는 논문으로 말하는건데 논문 표절이 왜 단편적인 건가요?
    노벨상을 주는 기준이 뭔지나 아세요?
    논문을 보고 주는 겁니다.

  • 22. ㅇㅇ
    '15.11.25 11:32 A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머리 좋은 애들이 무슨 성과를 냈느냐고요?
    이런 말 때문에 송유근 같은 애가 탄생한 거예요.
    천재로 태어나 일생을 학문에 몸 바쳐서
    학계에 한 점 성과를 내는 거예요.
    언론이 주목하는 인기는 성과가 아니죠.

    송유근 군의 논문이 훌륭했다면
    학계가 먼저 알아봤을 거예요.
    어쨌든 송군이 상처받을까 걱정이네요.
    지도교수가 섣불리 언론플레이 한 걸로 보여요.

  • 23. ...
    '15.11.25 11:33 AM (1.229.xxx.93)

    단편적인평가라는건 저위에 부모에대한 글에대한 이야기입니다

  • 24. ...
    '15.11.25 11:37 AM (121.166.xxx.178) - 삭제된댓글

    왜 이견나오면 무조건 질투라고 몰아 대는 건지? 댓글보니 질투해서 그런거 같진 않은데요. 저 정도의 의문이나 의견은 충분히 나올 수 있고 송군을 지지하는 분들도 맹목적으로 질투라고 매도하는 것도 좋아 보이진 않네요.

  • 25. 천재들의 성과
    '15.11.25 12:21 PM (211.43.xxx.2) - 삭제된댓글

    홉킨박사의 이론을 이해하시나요? 링띠어리의 획기적인 전환에 대해 이해하시나요?
    천재라서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을 확 바꾸고 성과가 확 나타나는 줄 아시는 분이 많으니
    이런 사태가 나지요.
    요즘 세상에 천재는 묵묵히 자기가 흥미를 가지는 분야에서 더 나은 무언가를 찾기위해 묵묵히 연구해요.
    언론에서 우리 아이 천재다, 학교교육 못믿는다 하며 과고에서도 적응못하고 나와버릴 때부터 불안해보였어요. 그러고는 또 방송에서 계속 학교교육이 문제라고, 사회가 천재를 못알아본다하고 대학에서도 못있었죠.
    타고난 아이큐에 집중하고 적응하고 노력하는게 얹어져야 뭐라도 하는거죠.....

  • 26. 천재들의 성과
    '15.11.25 12:30 PM (211.43.xxx.2) - 삭제된댓글

    홉킨박사의 이론을 이해하시나요? 링띠어리가 천체에서 어떤 성과를 냈는지 이해하시나요?
    노벨상 화학상, 물리상, 경제상 분야의 수상자들의 성과에 대해 이해하시나요?

    천재라서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을 확 바꾸고 성과가 확 나타나는 줄 아시는 분이 많으니
    이런 사태가 나지요.

    요즘 세상에 천재는 묵묵히 자기의 분야에서 더 나은 무언가를 찾기위해 연구해요.
    언론에서 우리 아이 천재다, 학교교육 못믿는다 하며 과고에서도 적응못하고 나와버릴 때부터 불안해보였어요. 그러고는 또 방송에서 계속 학교교육이 문제라고, 사회가 천재를 못알아본다하고 대학에서도 못있었죠.
    타고난 아이큐에 집중하고 적응하고 노력하는게 얹어져야 뭐라도 하는거죠.....
    10년을 세상이 못알아준다, 학교에서 뭘 안해준다,,,,
    왜 딱 1명의 천재에게만 세상은 안알아주고 아무것도 안해줬을까요?
    지도교수가 표절아니다 하면 표절이 아니란것도 참,,,
    축구감독이 저건 골인이다 하면 골인인가요?

  • 27. 어이상실
    '15.11.25 12:42 PM (125.129.xxx.29)

    지도교수가 아니라고 하면 아닌 게 되나요 ㅋㅋㅋ
    이미 저널에서 표절이라고 게재 철회하겠다고 발표가 났고
    이미 표절인 건 사실이에요.
    지도교수 말이 그리 대단하면 지도교수가 학위도 주고 노벨상도 주면 되겠네요.
    타이틀이 필요 없는데 왜 대학 들어가서 학위 따고 저녈에 논문 게재해요?
    실드도 정도껏 쳐아지. 그렇게 맹목적으로 밑도 끝도 없이 송유근은 천재야. 송유근이 과학계와 이 나라에 공헌할 큰 인재야 이런 게 오히려 더 독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7023 아침에 일어나면 유독 손가락이 많이 붓는데.. 왜 이럴까요? 4 부종 2016/02/12 2,633
527022 2016년 2월 12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4 세우실 2016/02/12 665
527021 이 나라를 떠나고 싶어요 36 ... 2016/02/12 5,258
527020 급) 제주도에서 유아옷 구입할 곳 부탁드려요 6 똘똘이 2016/02/12 1,053
527019 졸업식에 반장인데 담임샘 꽃다발 사가야겠죠? 6 2016/02/12 1,966
527018 한국인 고아 출신이 프랑스에서 장관이 되었네요 16 데미지 2016/02/12 4,957
527017 양모이불& 알팔카이불중 뭘 살까요 뉴질랜드 2016/02/12 525
527016 가장 몰상식한 행동이라 생각되는 거 하나씩 말씀해주세요 4 인간 2016/02/12 1,636
527015 맞은편 여자 치마 안이 다 보이는데 5 ~~ 2016/02/12 5,153
527014 외국인들을 많이 만나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데 9 한화 2016/02/12 2,550
527013 초1아들이 반친구때렸다고 상대방아빠가 가만안두겠답니다 13 초1 2016/02/12 5,104
527012 사드무기 팔아먹으려는 미국 1 미국의목적 2016/02/12 889
527011 초등입학 전에 이사 언제쯤 하세요? 2 호호아줌마 2016/02/12 696
527010 유툽에 타로 수비학 1강 2강 연희동 한선.. 2016/02/12 991
527009 다니엘 헤니 얼굴만 봤을때요 12 ee 2016/02/12 4,943
527008 국회의원 예비후보자에 대한 시민/유권자 댓글 목록 입니다. 탱자 2016/02/12 458
527007 다운튼애비, 질문있어요 3 pupu 2016/02/12 1,193
527006 갓난아기 덧버선 뜨기 제맘대로 2016/02/12 846
527005 서울에서 공기좋고 학군 괜찮은 동네가 어디일까요? 27 eunice.. 2016/02/12 8,410
527004 재외선거인/국외 부재자 등록이 13일까지입니다. 2 재외동포들... 2016/02/12 413
527003 초간단 어린이 아침식사 한가지 공유요^^ 8 나의사랑너의.. 2016/02/12 4,817
527002 개성공단 폐쇄와 자본주의 원칙 6 ?? 2016/02/12 1,092
527001 남자들의 근자감 이야기가 나와 퍼왔어요 충격과 공포 주의 27 크흡 2016/02/12 7,645
527000 "향신료는 빼 주세요." 영어로 어떻게 하나요.. 38 동남아여행자.. 2016/02/12 24,978
526999 남편이랑 싸웠어요. 20 ㅇㅇㅇ 2016/02/12 5,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