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드로 윌슨이 인종차별주의자였군요.

백인우월주의 조회수 : 1,587
작성일 : 2015-11-25 09:32:44
20세기초 민족자결주의로 유명한 우드로 윌슨이 심각한 인종차별주의자였군요. 
미국도 최근 우상화된 우드로 윌슨의 이미지를 타파하고 그의 공과 과를 같이 재평가하자는 움직임이 있군요. 
http://newspeppermint.com/2015/11/23/wilsonprinceton/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가운데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과 프린스턴 대학교의 관계만큼 한 사람이 학교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경우를 찾기는 아마 힘들 것입니다. 20세기 초 총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윌슨은 프린스턴 대학교를 명문 종합대학으로 한 단계 격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교육수준을 향상시켰고, 새로운 전공 과목을 도입했으며, 여전히 프린스턴 대학교의 훌륭한 교육법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소규모 학습 모임 프리셉트(precepts)를 만든 것도 우드로 윌슨이었습니다.

“사실 저희 학교는 28대 대통령의 성지와 같은 곳으로 윌슨교 신자들이 가득한 곳이랍니다!”

하지만 윌슨의 공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과실에 관한 논의가 지난 9월 학생들이 붙인 여러 장의 격문들과 함께 갑자기 점화됐습니다. 바로 윌슨이 지독한 인종차별주의자였고, 대통령직을 수행할 때도 인종차별 성향을 거리낌없이 드러냈으며 흑인을 대놓고 차별하는 정책을 앞장서 실행에 옮겼다는 점입니다.

프린스턴 대학교 교정 곳곳에 포스터를 붙인 단체는 이제 생겨난 지 1년 된 흑인정의연맹(Black Justice League)이라는 단체입니다. 포스터에는 우드로 윌슨의 인종차별 사고가 그대로 묻어나는 인용구가 함께 실렸는데, 윌슨은 흑인 단체 지도자에게 “인종에 따른 분리(segregation, 인종차별의 의미)는 누군가를 모욕하려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당신네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이니, 오히려 당신들이 먼저 지키고 따라야 할 것”이라고 한 말도 포함됐습니다.

총장실을 점거한 학생들을 바라보는 동료 학생들의 의견은 분분합니다. 흑인정의연맹의 문제제기 자체에는 공감하면서도 학교의 간판과도 같은 윌슨의 이름 자체를 지워버리는 건 지나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웹사이트 Change.org에서는 학생들의 주장에 대한 반대 청원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흑인정의연맹의 요구가 과거의 인물을 현재의 도덕적 잣대로 판단해 재단하는 위험한 선례를 남길지 모른다고 지적하며 윌슨의 유산 가운데 유익한 것들마저 지워질지 모른다고 덧붙였습니다.

흑인정의연맹 소속 2학년 학생이자 카메룬에서 태어나 워싱턴 근처에서 자란 윌글로리 탄종(Wilglory Tanjong)은 이런 우려에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

“우리는 우드로 윌슨의 모든 유산을 철폐하자고 주장하는 게 아닙니다. 현재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캠퍼스와 학교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드로 윌슨이란 인물을 지금처럼 우상화하고 거의 신격화하는 건 우리 학교의 역사를 균형잡힌 시각으로 배우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우드로 윌슨은 세계 1차대전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고, 전쟁이 끝난 뒤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 창설을 주도했던 인물로 잘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윌슨 전 대통령은 남북전쟁 이후 재건 시대(Reconstruction)를 지나며 흑인들이 점진적으로 쟁취해냈던 권리를 다시 빼앗고, 연방 정부의 고위 공무원들 가운데 흑인들을 잇따라 해고했으며, 일반 노동자들 사이에서도 흑백 분리가 철저히 이뤄지고 있는지를 적극적으로 감시하는 등 인종차별 성향을 전혀 숨기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남부 출신으로 인종차별적 사고를 굳건히 유지했던 윌슨은 “위대한 쿠 클룩스 클랜(a great Ku Klux Klan)”이란 글에서는 “무식한 검둥이들(ignorant Negroes)의 표 덕분에 계속해서 미국 정부가 짊어져야 할 견딜 수 없는 짐”으로부터의 해방에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KKK가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쓰기도 했습니다.

또한, 윌슨이 총장으로 있는 동안 프린스턴은 단 한 명의 흑인 학생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하버드와 예일은 이미 수십 년 전에 흑인 학생의 입학을 허가했지만, 윌슨은 당시 이렇게 썼습니다. “학교의 성향과 전통 덕분에 아직까지 흑인은 아무도 지원조차 하지 않았다.” 프린스턴 대학교는 1940년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흑인 학생의 입학을 허락합니다.

오늘날 프린스턴에서도 흑인 학생들은 보이지 않는 차별과 소외를 느낀다고 토로합니다. 미국 최고의 명문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던 것이 (사실 실력은 부족한데) 피부색 덕분 아니냐는 주변의 시선을 종종 느낀다는 겁니다. 교수진 가운데 흑인은 2%에 불과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합니다. 학생들 가운데 흑인 비율은 8%입니다.

관련 영문기사: 

When Woodrow Wilson Segregated the Federal Workforce

http://www.govexec.com/federal-news/fedblog/2015/11/when-woodrow-wilson-segre...




IP : 222.233.xxx.2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인종차별주의자 우드로 윌슨
    '15.11.25 9:33 AM (222.233.xxx.22)

    흑인 학생들의 시위로 다시 평가 받는 우드로 윌슨
    http://newspeppermint.com/2015/11/23/wilsonprinceton/


    When Woodrow Wilson Segregated the Federal Workforce
    http://www.govexec.com/federal-news/fedblog/2015/11/when-woodrow-wilson-segre...

  • 2. 당시 서구를
    '15.11.25 10:57 AM (116.126.xxx.152) - 삭제된댓글

    지배했던 사조가 그랬어요...혹자는 나찌 독일만 인종차별의 대명사로 알고있는데, 히틀러는 극단적 인종차별주의자로 인종청소를 실행에 옮겼을 뿐이지 당시 유럽, 미국의 석학, 지식인들 조차 지독한 인종차별주의자였던 예는 흔해요.
    백남준이 86년 서울 아시안게임을 기념해 제작한 바이 바이 키플링이라는 작품도 서구의 백인우월주의에 대한 조롱이라고 할 수 있어요.
    서구의 인종차별주의는 20세기초 영국을 대표하는 지식인 키플링도 해당할 정도로 유럽,미국 사회에 만연해 있었죠. 우드로 윌슨 역시 그 사조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었겠죠.

  • 3. 바로
    '15.11.25 11:40 AM (73.176.xxx.213)

    저 대통령이
    미국 연방 준비 은행 FRB 를 사기업에 넘기는데 싸인한 사람입니다.
    물론 막강한 보이지 않는 세력에 의한것이었겠지만요.

    사기업 ( 일루미나티)에 넘어간 연준을 국가기관으로 다시 찾아오려 노력했던
    케네디의 죽음이 이것과 아주 깊은 관련이 있었다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4643 영화 - 대호 - 잘 만든 영화네요! 감동이에요 11 푸른대잎 2016/02/03 1,565
524642 중3되는 아들이 올해 산 오리털 잠바 소매를 뜯어 먹었네요 ㅠ 8 .. 2016/02/03 1,571
524641 너무궁금해서그럽니다 3 갑자기 2016/02/03 634
524640 자궁경부암예방접종 (가다실) 아무데서 맞아도 되나요? 3 .. 2016/02/03 1,957
524639 저 술먹고 싶은데 아무리 뒤져도 없을때 미림 마신적 있어요..... 13 고백..? 2016/02/03 7,065
524638 남자들은 효도를 왜 4 ㅇㅇ 2016/02/03 1,454
524637 교습소 하시는 분중 사업자현황신고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사업자현황신.. 2016/02/03 1,032
524636 미군의 민간인 집단학살..끊나지 않은 전쟁 노근리 이야기 1 한국전쟁 2016/02/03 480
524635 집주인이 전세 재계약을 보름 앞당겨서 하자는데 7 2016/02/03 1,670
524634 반찬사려는데 추천 부탁드려요. 2 반찬구입 2016/02/03 887
524633 현대 기아차 생명 직결 mdps 수리기 흉기차 2016/02/03 582
524632 게보린 펜잘은 요새 안먹나요? 16 2016/02/03 2,696
524631 친정부모님 문제 7 이해 2016/02/03 2,046
524630 140일 아기인데요 3시간 거리 차 타는 것은 괜찮은가요? 30 씨앗 2016/02/03 5,526
524629 열정페이 없애자더니…대학생 무보수 동원한 새누리 의원 세우실 2016/02/03 494
524628 어릴때 동물 키웠던 분들 육아에 도움 되시나요? 9 ..... 2016/02/03 1,151
524627 홈쇼핑 ᆢ역시 6 2016/02/03 2,552
524626 주병진 집 어마어마하네요 34 wisdom.. 2016/02/03 21,833
524625 다들 점심안드세요? 10 밥묵자 2016/02/03 1,650
524624 노건호씨, '노무현 조롱' 홍대교수 상대 손배소 패소 12 11 2016/02/03 1,901
524623 조각남과 헤어진 ㄱㅁㅎ 열애 소문 50 .. 2016/02/03 33,469
524622 안달라붙는 후라이팬 추천좀 해주세요^^ 10 푸푸라이 2016/02/03 3,786
524621 이런경우 어쩌시겠어요? 고민 2016/02/03 433
524620 사회적으로 성공하는데 여자들은 한계가 있는데... 9 ... 2016/02/03 1,581
524619 크기 적당한 영양제 있나요?? 2 궁금 2016/02/03 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