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 언론의 뉴욕타임스 외면

샬랄라 조회수 : 876
작성일 : 2015-11-24 19:15:07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718720.html
IP : 125.176.xxx.23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12
    '15.11.24 8:25 PM (182.215.xxx.10) - 삭제된댓글

    가 19일 마침내 박근혜 정권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사설을 실었다. 뉴욕 타임스는 ‘한국 정부, 그 반대자들을 겨냥하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 정권과는 밤과 낮처럼 다른 한국의 민주적 자유를 후퇴시키려 골몰하고 있는 것 같아 아주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사설은 수만명의 한국인들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와 재벌기업의 노동자 해고를 더 쉽게 하는 노동법 개정에 항의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면서, 박근혜 정부는 또한 사회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표출되는 비판과 반대를 통제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톡의 이석우 공동대표가 검찰에 기소돼 사임한 것을 두고 정부의 감시 시도에 저항하고 정부에 비판적인 사용자들의 의견 제한을 거부한 것이 기소의 진짜 이유라는 비판적 시각을 소개하기도 했다. 신문은 올해 한국 경제가 좋지 않지만 “해외에서 한국의 평판에 대한 가장 큰 위험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으로, 주로 역사를 다시 쓰고 비판자들을 억압하는 박 대통령의 탄압조처들”이라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에서도 여론을 주도하는 대표적 고급지다. 그 사설이 지니는 무게는 다른 신문과 비교할 수 없다. 또한 국정화를 옹호하는 해외 언론은 하나도 없다.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VOA)도 비판적인 분석을 보도했다. 구글은 뉴욕 타임스 사설을 우리말로 번역해놓기까지 했다. 그런데 와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은 뉴욕 타임스의 사설을 소개하지 않았다. 국가의 기간 통신사라는 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연합뉴스, 한국방송(KBS), 와이티엔(YTN)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참여한 직원들을 징계하겠다는 방침을 선포했다. 명백한 언론자유 탄압이다. 한국 언론의 부끄러운 현주소다. 박근혜 정권의 민주주의 수준을 반영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런 정권을 민주의 정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언론을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민주주의 옷으로 위장한 파시스트 체제라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4년 전 영국의 미디어 황제 루퍼트 머독이 신문 부수 확장을 위해 센세이션 신문을 만들 욕심에서 인터넷을 마구 해킹하다 들통이 난 일이 있었다. 머독은 해킹 혐의가 드러나자 극구 부인했다. 심지어 경찰까지 매수해 해킹 사실을 은폐했다. 그러자 영국의 주요 신문들이 영국 신문의 명예를 위해 해킹 혐의가 있는 머독의 (NOW)의 취재 과정을 추적해서 해킹을 입증하는 데 힘을 모았다. 미국 언론인들도 머독 언론의 불법 취재를 밝히는 데 협조했다. 결국 머독 언론의 해킹 사실은 드러났고, 머독은 문제의 신문을 폐간하고 영국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했다.
    언론은 권력과의 싸움에서 단신으로는 승리를 기대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머독 언론에 공동 대항한 영국 언론처럼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사명을 위해 언론인들의 연대가 불가피할 때가 있다. 그런데 한국의 친권력 언론들은 오히려 정권을 옹호하는 데 힘을 모아 앞장서면서, 민주 진보 언론과의 연대는 한사코 피하고 있다. 20세기 미국 언론의 대원로인 월터 리프먼은 100년 전, 진실되고 필요한 뉴스가 꾸준히 공급되지 않으면 민주주의는 실패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바로 오늘 한국의 언론을 두고 한 예언 같다.

    장행훈 언론광장 공동대표

  • 2. 기사 퍼왔어요
    '15.11.24 8:25 PM (182.215.xxx.10)

    뉴욕타임즈가 19일 마침내 박근혜 정권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사설을 실었다. 뉴욕 타임스는 ‘한국 정부, 그 반대자들을 겨냥하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 정권과는 밤과 낮처럼 다른 한국의 민주적 자유를 후퇴시키려 골몰하고 있는 것 같아 아주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사설은 수만명의 한국인들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와 재벌기업의 노동자 해고를 더 쉽게 하는 노동법 개정에 항의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면서, 박근혜 정부는 또한 사회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표출되는 비판과 반대를 통제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톡의 이석우 공동대표가 검찰에 기소돼 사임한 것을 두고 정부의 감시 시도에 저항하고 정부에 비판적인 사용자들의 의견 제한을 거부한 것이 기소의 진짜 이유라는 비판적 시각을 소개하기도 했다. 신문은 올해 한국 경제가 좋지 않지만 “해외에서 한국의 평판에 대한 가장 큰 위험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으로, 주로 역사를 다시 쓰고 비판자들을 억압하는 박 대통령의 탄압조처들”이라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에서도 여론을 주도하는 대표적 고급지다. 그 사설이 지니는 무게는 다른 신문과 비교할 수 없다. 또한 국정화를 옹호하는 해외 언론은 하나도 없다.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VOA)도 비판적인 분석을 보도했다. 구글은 뉴욕 타임스 사설을 우리말로 번역해놓기까지 했다. 그런데 와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문은 뉴욕 타임스의 사설을 소개하지 않았다. 국가의 기간 통신사라는 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연합뉴스, 한국방송(KBS), 와이티엔(YTN)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참여한 직원들을 징계하겠다는 방침을 선포했다. 명백한 언론자유 탄압이다. 한국 언론의 부끄러운 현주소다. 박근혜 정권의 민주주의 수준을 반영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런 정권을 민주의 정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언론을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민주주의 옷으로 위장한 파시스트 체제라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4년 전 영국의 미디어 황제 루퍼트 머독이 신문 부수 확장을 위해 센세이션 신문을 만들 욕심에서 인터넷을 마구 해킹하다 들통이 난 일이 있었다. 머독은 해킹 혐의가 드러나자 극구 부인했다. 심지어 경찰까지 매수해 해킹 사실을 은폐했다. 그러자 영국의 주요 신문들이 영국 신문의 명예를 위해 해킹 혐의가 있는 머독의 (NOW)의 취재 과정을 추적해서 해킹을 입증하는 데 힘을 모았다. 미국 언론인들도 머독 언론의 불법 취재를 밝히는 데 협조했다. 결국 머독 언론의 해킹 사실은 드러났고, 머독은 문제의 신문을 폐간하고 영국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했다.
    언론은 권력과의 싸움에서 단신으로는 승리를 기대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머독 언론에 공동 대항한 영국 언론처럼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사명을 위해 언론인들의 연대가 불가피할 때가 있다. 그런데 한국의 친권력 언론들은 오히려 정권을 옹호하는 데 힘을 모아 앞장서면서, 민주 진보 언론과의 연대는 한사코 피하고 있다. 20세기 미국 언론의 대원로인 월터 리프먼은 100년 전, 진실되고 필요한 뉴스가 꾸준히 공급되지 않으면 민주주의는 실패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바로 오늘 한국의 언론을 두고 한 예언 같다.

    장행훈 언론광장 공동대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5780 한겨레 프리즘- 농민 백남기를 말한다 3 한겨레 2015/12/03 576
505779 없어진 다단계 회사..소득신고해서 건강보험료 엄청 나왔다는데요 2 짜증 2015/12/03 1,746
505778 가슴 큰게 자랑인 친구.. 48 .. 2015/12/03 6,955
505777 자식은 전생의 빚을 갚으러 왔다는 말이 공감될 때도 1 허브물티슈 2015/12/03 2,430
505776 아파트청약 넣을때 업자 통해 하는거 맞나요? 아파트당첨되.. 2015/12/03 606
505775 둘째가 너무 귀엽네요 4 ,,,, 2015/12/03 1,793
505774 이사 자주 다니는 분들 가구나 가전같은거 좋은거 사시나요?? 7 흐규흐규 2015/12/03 1,810
505773 짐 내리는 눈..쌓이려나요ㅠ? 1 zz 2015/12/03 685
505772 깍두기 담글 때 양파 갈아 넣어도 괜찮나요? 6 무절이는중 2015/12/03 1,849
505771 집에 있는데 손만 시려워요... 2 이상함.. 2015/12/03 737
505770 분당 죽전 길 많이 미끄러운가요 2 ㅂㅂ 2015/12/03 1,018
505769 탄 냄새에서 구제해주세요 ㅠㅠ 4 이클립스74.. 2015/12/03 802
505768 사마귀제거(신경외과,피부과) 3 푸른바다 2015/12/03 2,761
505767 파킨슨병 환자 보호자분께 조언부탁드립니다. 11 .. 2015/12/03 3,084
505766 절친이 다단계 판매원되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6 2015/12/03 1,635
505765 성북 메가와 성북종로 조언부탁드려요 재수학원 2015/12/03 513
505764 진학사 유웨이 정시예측이 너무 달라요 5 고3엄마 2015/12/03 4,408
505763 연대항쟁 2 제인에어 2015/12/03 1,164
505762 자식자랑 하는 친구...속이 상하네요 49 ... 2015/12/03 5,889
505761 내비게이션 신뢰할만 한가요? 4 ... 2015/12/03 754
505760 수시와 고교 선택 12 원글 2015/12/03 1,958
505759 박근혜.. 푸틴에게'북한 비핵화 러시아 역할 당부' 2 120년전 2015/12/03 700
505758 19] 뜻모를 불감증 2 000 2015/12/03 4,011
505757 마마 무대연출이 아쉽네요 2015/12/03 1,112
505756 미국 빨갱이 사냥군 매카시.. 미 의회에서 퇴출.. 2 냉전프레임빨.. 2015/12/03 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