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전기세 5만원대에서 1만원대로 떨어짐.

난방비까지 하락 조회수 : 22,919
작성일 : 2015-11-23 22:57:11

이유는 추측하건대

티비를 없앴거든요. 그 이후 그렇네요.

티비 없앤 지 8년 정도 되는데 그 당시 60인치 정도 되는 배둘뚝이 티비였거든요.

그거 없애니 전기세가 2만원대로 떨어지더만요.

그 이후 계속 그 상태로 가다가

요즘 와서 전기밥솥이 압력이 잘 안 돼서 압력밥솥을 쓰고 있는데

이후 만원대로 전기세가 떨어졌어요.

다른 거 다리미,헤어용품들 자주 쓰고 다른 집 다 있는 전기제품 다 있구요.

아-중간에 컴이 고장나서 노트북만 쓰고 있기도 하네요.

어쨌든 현재 4인 가족에 전기세 만원대 쓰고 있어요.

IP : 61.79.xxx.56
3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프지말게
    '15.11.23 11:02 PM (121.139.xxx.146)

    음...
    냉장고 오래 쓰셨으면
    그것도 바꾸시면 더 적게 나오겠네요
    저희 김치냉장고,냉장고 바꿨더니
    만원이상 덜나오네요

  • 2. 아-
    '15.11.23 11:05 PM (61.79.xxx.56)

    냉장고는 고장이 안나서 양문이 유행이라 할 수 없이 바꿨구요.
    딤채가 좀 오래 됐네요.
    안 그래도 보상판매로 바꿀까 궁리중이네요.

  • 3. ...
    '15.11.23 11:15 PM (221.151.xxx.207) - 삭제된댓글

    데스크탑도 전기 엄청 먹어요
    우리도 모두 노트북으로 바꾸니 전가요금이 뚝 떨어졌어요

  • 4. 고장
    '15.11.23 11:23 PM (112.173.xxx.196)

    안난 냉장고 버리고 새로 산 비용 빼내려면 전기세 무지 아껴야 할거에요.
    그게 무슨 절약인지..ㅎㅎ

  • 5. 4인가족이
    '15.11.23 11:25 PM (203.128.xxx.67) - 삭제된댓글

    만원대라고요???
    세상에 이런일이네요 ㅎㅎㅎ

  • 6. 괜찮아요
    '15.11.23 11:28 PM (61.79.xxx.56)

    20년이 지나도 고장이 안나니요.
    본전은 뽑았겠죠?
    그리고 절약을 말함이라기보단 전기세가 떨어지는 게 신기해서요.

  • 7. 맞아요 컴퓨터도 은근
    '15.11.23 11:28 PM (115.93.xxx.58)

    전기세 많이 나오는듯요

  • 8. ,,
    '15.11.23 11:32 PM (211.36.xxx.71)

    싱글 20평 아파트 이번 달 전기세 5700원

  • 9. ㅁㅁㅁㅁ
    '15.11.23 11:33 PM (112.149.xxx.88)

    냉장고만 약하게 틀어놔도 한달 전기요금 8천원정도 나오더라구요..
    열고 닫지도 않았는데도..
    아 냉장고 바꾸고 싶다..

  • 10. ..
    '15.11.23 11:39 PM (223.62.xxx.84)

    온수매트 매일 TV 50 인치
    냉장고 김치냉장고 냉동고 300L
    전기주전자 매일
    전자렌지.2일에...3~4회 정도
    --->싱글 이번달 133kw 나왔네요.
    전기세 만원대면 냉장고 고장날때까지 쓰시는게 남는겁니다.
    단..새 냉장고는 신선도가 오래간다는 장점

  • 11. 뭐지
    '15.11.23 11:42 PM (175.121.xxx.139)

    전기세 아낀다고 고장도 없는 냉장고 바꾸는게 과연 절약일까요?

  • 12. 저희집
    '15.11.23 11:49 PM (211.201.xxx.63)

    4인가족인데 전기밥솥은 요즘은 잘 쓰지만 2주전까진 거의 사용안했어요. 겨울빼고는 잘 안써요.
    그리고, 노트북 한대 조금 사용하고, 오래된 2칸짜리 딤채, 국산냉동고, 수입양문냉장고 사용하고 tv는 없어요.. 이런 식으로 전기세는 항상 이만원 미만으로 나오더라구요. 여름엔 스텐드형 에어컨 하루 5~6시간써도 에어컨은 생각보다 별로 안나오구요..여름전기세 보면 많이 나와도 5~6만원정도??
    이 상태에서

  • 13. ..
    '15.11.24 12:34 AM (222.107.xxx.2)

    전자회사 교육받을때 모니터종류들이 전기세 많이 잡아먹는다고 들었어요 TV 컴모니터...안볼때는 꺼놓으세요
    의외로 냉장고는 전기세안나오구요

  • 14. tods
    '15.11.24 1:11 AM (59.24.xxx.162)

    3인가족 46평에 냉장고 바꾸고 이번달(지난달 사용)고지서보니까 190KW에요.

  • 15. 저희두
    '15.11.24 8:25 AM (114.199.xxx.142) - 삭제된댓글

    저희두 4인가족 40평대 1만원후반대(이번달 14000원)입니다.
    자짤한 전기용품 다쓰구요. 전기주전자도 쓰고 제빵기, 믹서, 전기오븐도 자주쓰는편에예요.

    다른집과 비교하자면 tv없고, 테스크탑컴퓨터없구 노트북쓰구요, 전기밥솥없은지는 좀됏구요. 30평대 2만중후반나왔던거같아요. 이사하면서 14년된 냉장고바꾸고나서 1만원대로 떨어졌어요.

    얼마전 부모님이 김치냉장고 남는거 가져가라시는데 고민중이예요 과연 꼭필요한가 생각중이예요...

  • 16. 저희두
    '15.11.24 8:25 AM (114.199.xxx.142) - 삭제된댓글

    저희두 4인가족 40평대 1만원후반대입니다.
    자짤한 전기용품 다쓰구요. 전기주전자도 쓰고 제빵기, 믹서, 전기오븐도 자주쓰는편에예요.

    다른집과 비교하자면 tv없고, 테스크탑컴퓨터없구 노트북쓰구요, 전기밥솥없은지는 좀됏구요. 30평대 2만중후반나왔던거같아요. 이사하면서 14년된 냉장고바꾸고나서 1만원대로 떨어졌어요.

    얼마전 부모님이 김치냉장고 남는거 가져가라시는데 고민중이예요 과연 꼭필요한가 생각중이예요...

  • 17. ..
    '15.11.24 8:35 AM (222.234.xxx.193) - 삭제된댓글

    4인 1만원 초반 나와요.

    전기밥솥 김치냉장고 없구요.
    항상 켜져 있는건 냉장고, 부엌의 라디오겸시계 뿐입니다.
    왠만한건 다 스위치있는 멀티탭 연결해서
    대기전력 없게해요.

    외출할때는 공유기 포함 해서 모든 가전 멀티탭 스위치 다 끄고 나가구요.
    TV, IPTV 매일 한 번 정도씩 보는데 항상 멀티탭 전원까지 끕니다.

    밖에 나갈때 한번씩 복도에 있는 전기계량기 돌아가는 속도 체크하는데 옆집보다 빨리 돌아가면
    괜히 뭔가 켜놓고 낭비한 기분이 드네요 ㅋ

  • 18. ..
    '15.11.24 8:39 AM (222.234.xxx.193)

    4인 1만원 초반 나와요.

    전기밥솥 김치냉장고 없구요.
    항상 켜져 있는건 냉장고, 부엌의 라디오겸시계 뿐입니다.
    왠만한건 다 스위치있는 멀티탭 연결해서
    대기전력 없게해요.

    외출할때는 공유기 포함 해서 모든 가전 멀티탭 스위치 다 끄고 나가구요.
    세탁기 돌리고나면 전원플러그 빼구요. 정수기는 정수만 되는거라 전기안쓰구요.
    TV, IPTV, 노트북 매일 한 번 정도씩 보는데 항상 멀티탭 전원까지 끕니다.

    집에 있을때 제일 많이 쓰는건 라디오, 휴대폰 충전기 정도예요. 항상 라디오 켜놓고 있거든요.

    밖에 나갈때 한번씩 복도에 있는 전기계량기 돌아가는 속도 체크하는데 천천히 돌면 흐믓하고 옆집보다 빨리 돌아가면
    괜히 뭔가 켜놓고 낭비한 기분이 드네요 ㅋ

  • 19. dkgkgk
    '15.11.24 8:43 AM (122.153.xxx.66)

    싱글 17평 아파트 4000원 정도 나와요
    항시 꼽혀 있는것은 tv, 냉장고, 세탁기고
    노트북 드라이 전기밥솥 다리미 등등 자잘한것은 거의 매일 쓰고요

  • 20. TV보단 다른거 때문
    '15.11.24 9:23 AM (211.202.xxx.240) - 삭제된댓글

    아닌가요?
    저도 무진장 큰 TV가 작년에 고장난 이후로 안봤는데 전기세는 변함이 없었는데
    전기밥솥을 전기밥솥 항상 꽂아두건거 꺼두니 전기세가 줄어들던데요.
    딱 밥만 하고 보온을 안하니까요.
    보면 전기밥솥이 TV나 냉장고와 같이 에너지효율 1등급 짜리보단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거 같아요.

  • 21. TV보단 다른거 때문
    '15.11.24 9:24 AM (211.202.xxx.240)

    아닌가요?
    저도 무진장 큰 TV가 작년에 고장난 이후로 안봤는데 전기세는 변함이 없었는데
    압력전기밥솥 항상 꽂아두던거 꺼두니 전기세가 줄어들던데요.
    딱 밥만 하고 보온을 안하니까요.
    보면 전기밥솥이 TV나 냉장고와 같이 에너지효율 1등급 짜리보단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거 같아요.

  • 22. ....
    '15.11.24 10:31 AM (118.176.xxx.233)

    대형 모니터가 전기을 많이 먹는 것 같애요.
    티비 모니터, 데스크탑 컴퓨터 모니터 그런 거 없으면 전기 값이 얼마 안 나오죠.
    에어콘만 안 쓰면 ㅠㅠ

  • 23. ..
    '15.11.24 11:13 AM (118.218.xxx.46)

    겨울, 여름이야 에어컨이나 보일러 전기세라도 쳐도..저희집은 항상 전기세 28만원 정도 나와요. 55인치 티비 2대, 데스크탑2개, 김치냉장고, 10년된 지펠, 냉동고...ㅠㅠ 다른분들 전기세보고 우리집도 대책을세워야하나 싶네요..쩝..

  • 24. ..
    '15.11.24 12:10 PM (124.48.xxx.211)

    늘 사용하던 전기용품중에 종일 사용중이던 데스크용 컴 안쓴지가
    일년이 지났고 스맛폰으로 대체했는데
    전기세 줄어든지 모르겠어요
    여름은 에어컨으로 많이 나왔지만요.
    그래서 데스크용 컴도 크게 영향 없는줄 알고있어요.

  • 25. 33평 4인가족
    '15.11.24 12:13 PM (175.114.xxx.185)

    저희는 190kw~210kw 사이 써요.
    2만원 초반 대 전기세가 나오죠.

    늘 꽂힌 건 냉장고, 김냉 이구요....
    컴퓨터는 데스크탑1개 노트북2개 있는데...
    주로 노트북 1개를 18시간 정도 켜놓고 써요. 나머지는 필요할 때만 가끔 쓰구요.

    전자렌지 하루 2회 정도, 6인용 식기세척기 일주일에 3번,
    열대어수조에 t5등 3자 짜리 10시간 정도 켜놓고 여과기,히터 365일 돌아가요.

    중고딩 딸 둘이 하루 1번 이상 고대기 쓰고
    tv는 평균 하루 2시간 정도 시청합니다.

    전기포트 하루 1번 쓰고 나머지 믹서, 토스터, 전기오븐렌지 등은 가끔 쓰구요.

    모든 가전에 멀티탭 사용해서 안쓸 때 대기전력 안 생기게 합니다.

    전기압력밥솥을 쓰지 않고 데스크탑에서 노트북으로 바꾼 후 전기세 만원 이상 줄었으니
    아마도 밥솥과 데스크탑이 전력을 많이 소비하나보다 하고 있습니다.

  • 26. ㅇㅇㅇ
    '15.11.24 12:14 PM (61.98.xxx.39)

    가전제품중 전기밥솥이 전기세 가장 많이 나와요
    전기밥솥은 밥하고나서 보온상태로 놔두어도 전기세 엄청 먹거든요
    냉장고 TV 세탁기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전기세 그렇게 많이 나오지 않아요
    문제는 전기밥솥이 전기세 주범이라고 보면 됩니다.

  • 27.
    '15.11.24 12:21 PM (211.36.xxx.46)

    전기밥솥이 많이 나와나봐요

  • 28. ..
    '15.11.24 12:22 PM (211.224.xxx.178)

    윗분은 심각하네요. 티비 셋탑박스도 전기 많이 먹는다네요. 그거 꼭 꺼놓고. 컴퓨터 모니터가 예전 배불뚝이면 모니터를 lcd나 led로 가시고, 10년된 냉장고 문짝 촥하고 잘 잠기는 문짝인가요? 냉장고 문짝 촥 안잠기면 그 틈으로 냉기세서 계속 돌아가요. 전기세폭탄돼요. 저희집 냉장고가 첨부터 문제있던 냉장고라 회사서 자체적으로 문짝 리콜을 해줬던건데 오히려 리콜 후 문짝이 촥 안잠기고 그랬느데 그냥 아까워서 사용했는데 전기세가 7-8만원대 나왔었어요. 근데 바보같이 냉장고때문이라 생각을 못하고 누전된다고 생각 ㅋ. 그러다 몇년후에 인테리어 다시하면서 냉장고를 새걸로 샀더니 전기세가 3-4만원 아래로 떨어지더라고요. 일년이면 40만원돈이고 몇년이면 냉장고 하나 살 돈였어요

  • 29. tv
    '15.11.24 12:36 PM (121.168.xxx.14)

    요즘 나오는 led tv는 전기요금 얼마 안나와요.
    설명서에 하루 5시간보면 일년에 만원인가, 만오천원인가 그렇대요

  • 30. dma
    '15.11.24 12:56 PM (1.231.xxx.135)

    50평 5인 190kw 쓰는 집인데 데스크탑 모니터 15시간은 켜져있어요. 일하느라..
    별로 전기 안나오는거 같은데요?
    전기밥통은 안쓴 이후 확실히 많이 줄었구요
    모니터 요금 많이 나온다길래....

  • 31. 우리집은
    '15.11.24 1:03 PM (118.217.xxx.50)

    32평 아파트에 가전도 안쓰는데 전기요금이 6만원 넘게 나와요. 전기밥솥도 안쓰고 TV도 없어요. 컴퓨터도 휴대폰땜에 안써요. 세탁기 일주일에 3번 돌려요. 헤어드라이기만 아침저녁으로 쓰고요. 식구도 2명이구요. 전기매트 같은거도 없어요. 냉장고 양문형냉장고에 김치냉장고는 50L 정도로 아주 작은거 하나 있어요. 가끔씩 건조기 신일서 나온 작은거 돌리고. .. 전기요금도 혹시 누수되는지요? 전기가 어디로 새나가는거 같아요

  • 32. eunah
    '15.11.24 2:06 PM (58.29.xxx.132) - 삭제된댓글

    제가 최고 많이 나오는 것 같네요. 양문형 냉장고 하나, 전기밥솥 안 씀 , 드라이도 안 씀, 데스크탑 컴퓨터2대, 노트북 하나, TV 32인치led 거의 안 봄, 세탁기 1주일 한 번, 김냉 없음, LG인터넷 공유기 셋탑박스 등 있어요. 그게 다에요.


    참 평수는 25평 방 3개.

    근데 일년 내내 9-10만원..
    여름에 벽걸이 에어콘 하나 켜면 30만원

    벽걸이 에어콘이 2007년형이라 그런가 너무 많이 나와요.

    어디를 어떻게 줄여야 하는 지 답답하네요.

    컴 모니터도 다 LCD/LED 모니터고.

    단 컴 하나는 아이가 거의 항상 켜 놓고 있어요

  • 33. 차니맘
    '15.11.24 2:11 PM (121.142.xxx.44)

    전기압력솥이 전기 많이 먹어요.
    저희 40평대이고. 4인가족인에. 이번달 만오천원 나왔어요.

    저희는 까스압력솥쓰고. 끼니때마다 밥해먹고. 남은건 냉동실행..~~

    시댁이 저희보다 집도 작고 식구도 적은데 저희보다 전기요금 많이나와요..

  • 34. eunah
    '15.11.24 2:13 PM (58.29.xxx.132)

    제가 최고 많이 나오는 것 같네요. 양문형 냉장고 하나, 전기밥솥 안 씀 , 드라이도 안 씀, 데스크탑 컴퓨터2대, 노트북 하나, TV 32인치led 거의 안 봄, 세탁기 1주일 한 번, 김냉 없음, LG인터넷 공유기 셋탑박스 등 있어요. 그리고 비데, 냉수용 정수기. 그게 다에요.


    참 평수는 25평 방 3개.

    근데 일년 내내 9-10만원..
    여름에 벽걸이 에어콘 하나 켜면 30만원

    벽걸이 에어콘이 2007년형이라 그런가 너무 많이 나와요.

    어디를 어떻게 줄여야 하는 지 답답하네요.

    컴 모니터도 다 LCD/LED 모니터고.

    단 컴 하나는 아이가 거의 항상 켜 놓고 있어요

  • 35. 58.29님
    '15.11.24 8:34 PM (119.198.xxx.128)

    세탑박스=양문형 냉장고와 거의 맞먹는 소비전력입니다.
    비데도 항상 온도 유지해야하니 생각보다 전기 많이 먹구요... 정수기도 마찬가지..

  • 36. 붕어빵마미
    '15.11.24 10:29 PM (112.148.xxx.123)

    전 티비끌때 셋탑 박스도 항상 같이꺼요. 정확히 말하면 플러그를 빼버리죠. 멀티탭을 하나하니 제어할수 있는거로 사서 안볼땐 전원을 차단시켜요. 그러면 전기요금 많이 줄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0119 삼재 믿는건 아닌데....삼재 끝나니까 좋은일이 좀 생기네요 5 ... 2016/02/21 2,907
530118 주말 아침에 강남역 모임의 정체 궁금해요 8 2016/02/21 3,505
530117 히지구리하다는말 아세요? 30 히지구리 2016/02/21 4,714
530116 맘에 드는옷 비싸도 구입하시나요? 24 ㅎㅎ 2016/02/21 4,770
530115 아파트 구입 괜찮을까요?? 3 아파트 2016/02/21 1,465
530114 백종원 3대천왕이 우리 지역에도 왔네요. 12 드디어 2016/02/21 7,053
530113 편애받으면서 자라도 불만에 가득찬 경우도 있나요? 1 ㅇㅇㅇ 2016/02/21 745
530112 결혼생활로 몸소 체험한점 무엇인가요? 29 인생은 2016/02/21 6,963
530111 말똑부러지게못하는여부가 똑똑하다 어리버리판단? 2 논리정연 2016/02/21 1,324
530110 시그널.. 다들 재미있다는데.. 더 보면 재미있어지나요? 17 ... 2016/02/21 4,989
530109 법륜스님 법문이... 5 ... 2016/02/21 1,946
530108 네일샵의 커피서비스는 어떤 것이 좋을까요? 14 커피좋아 2016/02/21 2,235
530107 블루투스스피커 jbl flip3 사용하시는분 어떤가요? 10 백합 2016/02/21 1,608
530106 의지할곳이나 힘이 되는사람이 아무도 없어요 25 ........ 2016/02/21 16,787
530105 낳아준 엄마에 대한 증오심 13 증오 2016/02/21 5,742
530104 LA 날씨 엄청 더운가요? 5 여행 2016/02/21 1,141
530103 영국물가.. 2 123 2016/02/21 1,059
530102 케이팝스타 안예은 곡 잘쓰고 독특하네요.... 4 아줌마 2016/02/21 1,738
530101 여자많은 직장 정말 짜증나요 18 2016/02/21 6,496
530100 서울구경일정 좀 봐주세요. 한식부페도 추천 11 조언) 2016/02/21 2,401
530099 샤넬같이 파우더리한 향수 역하다는 말에 대해서... 10 dd 2016/02/21 4,038
530098 음대 전공하려는 조카.. 궁금하네요. 21 .... 2016/02/21 4,743
530097 수돗물을 끓였더니 2 .... 2016/02/21 1,843
530096 사람이 삐뚫어지는데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큰이유가 6 딸기체리망고.. 2016/02/21 2,119
530095 운동이랑 키랑 관계 있나요? 1 궁금 2016/02/21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