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이 갑자기 잠을 못자네요.

... 조회수 : 3,007
작성일 : 2015-11-10 10:38:46
40대후반 남편이요..
요근래들어서 잠을 못자요.(2주정도 된듯)
예전엔 씻자마자 코골고 자서 제가 짜증까지 내고 할 정도였는데...
요즘은 1시넘어도 계속 잠 못 이루고 영화보다가 뉴스보다가...
불다끄고 누워서도 한동안 뒤척뒤척..
어제도 1시 40분정도 잠들었어요.
7시에 출근해야하니 빨리 자라고 해도 잠이 안온다고 하네요
고민 있냐고 해도 절대 아니라고 해요.
고민도 있을것도 없고요.
남편말로는 너무 피곤해서 잠이안온다는데 맞는말인가요?
7시에 출근해서 어제도 10넘어 퇴근했어요.
일시적으로 생활패턴이 바뀌어서 그런건지..
이런 경험 있는분 계신가요?
IP : 58.143.xxx.38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1.10 10:40 AM (112.220.xxx.101)

    음...바람이...들랑말랑하는 단계인듯한 -_-;;

  • 2. 그냥
    '15.11.10 10:45 AM (61.78.xxx.137)

    낮에 커피 너무 많이 드시는 건 아닌가요 ?

    직장에서 고민같은것이 있을 수 있는 나이대이시긴 한데
    (안정적인 직장이시라면 죄송하고요 ㅎ )

    남성들도 호르몬이 감소하면 잠을 못잔다고 하던데
    남성갱년기 같은것은 아닌지 염려스럽네요.

  • 3. dd
    '15.11.10 10:48 A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남자나 여자나 갱년기 접어들면서 그럴 때가 있던데요,
    남편도 잠 정말 잘 자는 사람인데 한동안 새벽에 깨서 잠 잘 못잤다고
    그런 적이 있었어요. 요즘은 다시 잠 잘 자고요..

  • 4. ....
    '15.11.10 10:49 AM (58.143.xxx.38)

    직장에서도 고민이 없지는 않겠지요
    근데 갑자기 잠을못자니..
    남성갱년기 검색한번 해봐야겠네요.

  • 5. 저는
    '15.11.10 11:00 AM (112.173.xxx.196)

    잠이 한창 오는 시기 (대충 11시 전후)를 놓치고 나면 잠이 더 안오더라구요.
    그리고 티브나 컴도 중독성이 있어서 잠을 달아나게 하는 원인도 되는 것 같아요.

  • 6. -.,-
    '15.11.10 11:09 AM (182.225.xxx.118)

    1:40 이면 걱정할 정도는 아닌것같은데..
    제나폄은 잠자는 시간이 아깝다며 (책보거나 tv 핸드폰) 일찍 자는게 드문일( 아주 피곤할때)이고 늦잠도 안자는데요
    나이드니(여자) 2:30 3:30 까지도 잠 안올때 종종 있어요
    매일 지속적으로 그럼 병나겠지만요..

  • 7. ****
    '15.11.10 11:18 AM (121.145.xxx.240)

    지인 한분은 직장생활하면서 고등학생 수학과외를 시작했었는데, 그때부터 불면증이 왔어요, 직장에서 긴장상태에 있다가, 퇴근해서도 더 심한 긴장을 해야하니 신경이 너무 예민해져서 불면증이 온거죠.. 한동안 과외하다가, 불면증때문에 과외를 끊엇는데 지금도 불면증을 약간 남아있어요.. 원글님 남편분도 신경을 이완해줄 필요가 있을것 같아요...

  • 8. ㅇㅇ
    '15.11.10 11:27 AM (223.62.xxx.76)

    신경이완 필요해요
    어깨와 목을 맛사지해줘 보세요
    과하지않는 걷기후
    따뜻한물 샤워도 도움되고요

  • 9. ..
    '15.11.10 12:01 PM (116.124.xxx.152) - 삭제된댓글

    너무 피곤하면 잠 안 와요.
    잠에 드는데도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거든요.
    그 에너지까지 소진되버리는 거죠.
    에너지는 80% 정도 쓰고 나머지는 남은 채로 다 쓰지 않은 채로
    잠이 들어야
    잠으로 충전되고.. 다시 반복되는데
    100% 써버리면
    잠 잘 에너지가 없고.. 다시 잠이 충분치 않아
    100% 충전이 되지 않으면
    다시 100% 방전이 일어나고..
    이제부터 악순화이요.
    무조건 회복시켜야 해요 80%로..
    정신노동은 금물.. 영화, tv..이런 것 말고
    산책이나 조깅등..
    그래서 무조건 몸을 다운시켜 눕혀야 해요.
    그리고 햇빛도 많이 쪼여주구요.
    햇빛에 말린 표고 끓인 물도 좋구요.

  • 10. ..
    '15.11.10 12:05 PM (116.124.xxx.152) - 삭제된댓글

    너무 피곤하면 잠 안 와요.
    잠에 드는데도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거든요.
    그 에너지까지 소진되버리는 거죠.
    에너지는 80% 정도 쓰고 나머지는 남은 채로 다 쓰지 않은 채로
    잠이 들어야
    잠으로 충전되고.. 다시 반복되는데
    100% 써버리면
    잠 잘 에너지가 없고.. 다시 잠이 충분치 않아
    100% 충전이 되지 않으면
    다시 100% 방전이 일어나고..
    이제부터 악순화이요.
    무조건 회복시켜야 해요 80%로..
    정신노동은 금물.. 영화, tv..이런 것 말고
    산책이나 조깅등..
    그래서 무조건 몸을 다운시켜 눕혀야 해요.
    그리고 햇빛도 많이 쪼여주구요.
    햇빛에 말린 표고 끓인 물도 좋구요.
    쉬는 시간에 건물 밖으로 나가서 햇빛 쪼여주거나 근처 한바퀴 돌다가 들어오는 것도 좋아요.
    점심 후 근처 공원을 산책하다가 들어가는 것도 좋구요.

  • 11. ..
    '15.11.10 12:06 PM (116.124.xxx.152) - 삭제된댓글

    너무 피곤하면 잠 안 와요.
    잠에 드는데도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거든요.
    그 에너지까지 소진되버리는 거죠.
    에너지는 80% 정도 쓰고 나머지는 남은 채로 다 쓰지 않은 채로
    잠이 들어야
    잠으로 충전되고.. 다시 반복되는데
    100% 써버리면
    잠 잘 에너지가 없고.. 다시 잠이 충분치 않아
    100% 충전이 되지 않으면
    다시 100% 방전이 일어나고..
    이제부터 악순화이요.
    무조건 회복시켜야 해요 80%로..
    정신노동은 금물.. 영화, tv..이런 것 말고
    산책이나 조깅등..
    그래서 무조건 몸을 다운시켜 눕혀야 해요.
    그리고 햇빛도 많이 쪼여주구요.
    햇빛에 말린 표고 끓인 물도 좋구요.
    쉬는 시간에 건물 밖으로 나가서 햇빛 쪼여주거나 근처 한바퀴 돌다가 들어오는 것도 좋아요.
    점심 후 근처 공원을 산책하다가 들어가는 것도 좋구요.
    대추, 산조인..이 신경안정에 쓰이는 민간요법이죠.

  • 12. ...
    '15.11.10 12:21 PM (222.238.xxx.125)

    자기 위해서는 tv나 컴퓨터 같은 것을 하면 뇌가 활동하기 때문에
    잠자기엔 너무 자극이 커요.
    그래서 잠을 못 들게 합니다.
    차라리 책을 읽는 게 낫습니다.

  • 13. 감사
    '15.11.10 12:28 PM (58.143.xxx.38)

    조언들 너무 감사합니다~~
    여기 댓글들 남편 보여줘야겠어요~^^

  • 14.
    '15.11.10 3:08 PM (222.101.xxx.103)

    평소 혈압은 정상인가요? 뇌졸증 전조증상에 불면증도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9957 모던하우스 2월에 파는 캐리어 ... 2016/02/20 897
529956 어제 시그널 보신분 1 ㄱㄴ 2016/02/20 1,480
529955 영화 동주 보고 왔어요. 6 ........ 2016/02/20 2,409
529954 7살 아들이 자꾸 다리를 떨어요 2 ㅜㅜ 2016/02/20 631
529953 은수미의 현란한 혀에 이준석 박살나다 14 은수미 2016/02/20 4,555
529952 집들이 땜에 혼수 그릇 8인용 사야할까요? 14 glaema.. 2016/02/20 3,710
529951 프랑스 국립 레지스탕스 박물관의 낡은 인쇄기 한 대 1 lol 2016/02/20 597
529950 붙박이장 어두운색 어떤가요? 5 .. 2016/02/20 2,415
529949 일주일에 한번 야채 정리한 것 어디에 보관하는게 좋을까요? 1 어디에 2016/02/20 1,023
529948 입학하기도 전에 뵙자는 교수님. 두번째 이야기...이거 뭘까요?.. 8 ㅇㅇㅇ 2016/02/20 3,695
529947 게임만하는 아들 포기하는 방법좀 갈춰주세요 4 2016/02/20 3,486
529946 핸펀 g2 냐 g3냐 결정장애네요. 6 .. 2016/02/20 1,178
529945 이정희 '진보를 복기하다' 출간 15 진보 2016/02/20 1,421
529944 고등 어머님들~ 엄마노릇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6 엄마는노력중.. 2016/02/20 2,582
529943 방송통신대학 제적에 대해서 물어요. 5 .. 2016/02/20 1,282
529942 엄마 혼자 쓸 원목침대(슈퍼싱글) 추천해 주세요~ 12 .. 2016/02/20 3,391
529941 무릎이타는 듯한통증이 있는데요. 혹시 2016/02/20 720
529940 의대 학점은 몇점이 되어야 상위권인가요? 학점 2016/02/20 1,231
529939 중학생들 시그널 보게 하나요? 1 쫌‥ 2016/02/20 1,512
529938 숨들이쉴때 흉통 1 .. 2016/02/20 3,910
529937 준열아 사랑한다 11 ㄲㅊㅊ 2016/02/20 3,081
529936 금목걸이 팔려고 하는데 어디가 좋을까요? 3 처분 2016/02/20 1,861
529935 영동고등학교 학생들은 영어학원 영동고 2016/02/20 800
529934 많이 낡은 옷,신발 어디에 버리나요? 7 .. 2016/02/20 5,682
529933 . 56 싱글처자.... 2016/02/20 6,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