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클래식 문외한입니다. 안드레이가브릴로프는 어떤 평가를 받고 있나요?

우댕 조회수 : 894
작성일 : 2015-11-09 12:07:03

예전에 모스크바필하모니 내한공연때 들어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먼가 좀 격정적이라는 느낌을 받았는데요.


이제는 나이도 많고 전성기는 지나셨겠죠. 어떤 평가르 받고있나요? 그리고 음반도 몇개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119.192.xxx.20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우렁된장국
    '15.11.9 12:37 PM (207.244.xxx.44) - 삭제된댓글

    안드레이가 유독 한국인들에게 오래 기억되는 것
    차콥 콩쿨때 정명훈이 안드레이에 밀려 2위를 했기 때문인데요.

    안드레이가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에 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전 사실 좀 많이 의아했습니다.
    안드레이가 실력이 없다기보다 더 유명세의 피아니스트들이 많은데 그들을 젖히고 끼었다는 것이요.

    기성무대에서 각광을 크게 받으려면
    어느 한 작곡가의 연주에 누구도 근접할 수 없는 큰 획을 그어야 평가가 높아지는데
    안드레이는 뭐랄까요. 이것저것 다 무난히 잘하는 스타일이랄까.
    90년대 이후는 레코딩도 안 했지만 (2000년대부턴 다시 시작) 그의 레코딩 목록 중에서 길이 남을 명반류는 없는 게 좀 아쉽죠.

    안드레이 연주는 호불호가 크죠.
    그의 까다로움과 독특한 해석에 매료된 사람들은 헤어나질 못하고 금세기 최고라고 손꼽기에 아낌이 없고
    그 외의 분들은 마음을 확 끌어당기는 마력은 없지만 누구도 부인 못하는 실력의 연주자..
    이렇게 안드레이블 바라보고 있는 듯 하죠.

    그의 쇼팽 에튀드나 바흐의 연주를 듣노라면
    마음을 넓게 열지 않으면 거부감이 상당히 느껴집니다.
    템포도 특이하고 해석이나 개성이 너무 강해 연주자체가 작곡가에 충실하기 보단 안드레이化 돼 있는 느낌이죠.

    우리나란 뭐랄까. 좀 투박하면서도 기교를 과시하지 않는 교과서적인
    그리고 정통파의 대가들의 연주들을 아직도 최고라고 꼽는 경향이 강해서리..

    개인적으론 안드레이의 바흐 연주는 즐겨듣습니다.
    골드베르그나 프랑스조곡 류의 안드레이 연주는 수준과 평가도 높죠.
    근데 위의 두 음반 역시 호불호가 크게 갈립니다.
    너무 개성이 강해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죠. 이건 바흐가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하는 사람도..

    골드베르그가 듣기 좀 지루한 음악이지만…. 만약 이 곡을 좋아하신다면
    안드레이의 음반도 한번쯤은 권해보고 싶네요.
    물론 전 음악에 있어선 융통성이 없는 답답한 보수 과라 아직도 글렌 굴드의 바흐 해석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레이블은 도이치그라모폰이고 녹음년도는 기억 안 나네요.
    아마 노태우정권때 무렵의 녹음일 겁니다. (90년대 초)

  • 2. 우렁된장국
    '15.11.9 12:37 PM (5.254.xxx.203) - 삭제된댓글

    안드레이가 유독 한국인들에게 오래 기억되는 것
    차콥 콩쿨때 정명훈이 안드레이에 밀려 2위를 했기 때문인데요.

    안드레이가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에 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전 사실 좀 많이 의아했습니다.
    안드레이가 실력이 없다기보다 더 유명세의 피아니스트들이 많은데 그들을 젖히고 끼었다는 것이요.

    기성무대에서 각광을 크게 받으려면
    어느 한 작곡가의 연주에 누구도 근접할 수 없는 큰 획을 그어야 평가가 높아지는데
    안드레이는 뭐랄까요. 이것저것 다 무난히 잘하는 스타일이랄까.
    90년대 이후는 레코딩도 안 했지만 (2000년대부턴 다시 시작) 그의 레코딩 목록 중에서 길이 남을 명반류는 없는 게 좀 아쉽죠.

    안드레이 연주는 호불호가 크죠.
    그의 까다로움과 독특한 해석에 매료된 사람들은 헤어나질 못하고 금세기 최고라고 손꼽기에 아낌이 없고
    그 외의 분들은 마음을 확 끌어당기는 마력은 없지만 누구도 부인 못하는 실력의 연주자..
    이렇게 안드레이블 바라보고 있는 듯 하죠.

    그의 쇼팽 에튀드나 바흐의 연주를 듣노라면
    마음을 넓게 열지 않으면 거부감이 상당히 느껴집니다.
    템포도 특이하고 해석이나 개성이 너무 강해 연주자체가 작곡가에 충실하기 보단 안드레이化 돼 있는 느낌이죠.

    우리나란 뭐랄까. 좀 투박하면서도 기교를 과시하지 않는 교과서적인
    그리고 정통파의 대가들의 연주들을 아직도 최고라고 꼽는 경향이 강해서리..

    개인적으론 안드레이의 바흐 연주는 즐겨듣습니다.
    골드베르그나 프랑스조곡 류의 안드레이 연주는 수준과 평가도 높죠.
    근데 위의 두 음반 역시 호불호가 크게 갈립니다.
    너무 개성이 강해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죠. 이건 바흐가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하는 사람도..

    골드베르그가 듣기 좀 지루한 음악이지만…. 만약 이 곡을 좋아하신다면
    안드레이의 음반도 한번쯤은 권해보고 싶네요.
    물론 전 음악에 있어선 융통성이 없는 답답한 보수 과라 아직도 글렌 굴드의 바흐 해석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레이블은 도이치그라모폰이고 녹음년도는 기억 안 나네요.
    아마 노태우정권때 무렵의 녹음일 겁니다. (90년대 초)

  • 3. 우렁된장국
    '15.11.9 12:37 PM (5.254.xxx.203) - 삭제된댓글

    안드레이가 유독 한국인들에게 오래 기억되는 것
    차콥 콩쿨때 정명훈이 안드레이에 밀려 2위를 했기 때문인데요.

    안드레이가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에 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전 사실 좀 많이 의아했습니다.
    안드레이가 실력이 없다기보다 더 유명세의 피아니스트들이 많은데 그들을 젖히고 끼었다는 것이요.

  • 4. 우렁된장국
    '15.11.9 12:38 PM (5.254.xxx.203) - 삭제된댓글

    기성무대에서 각광을 크게 받으려면
    어느 한 작곡가의 연주에 누구도 근접할 수 없는 큰 획을 그어야 평가가 높아지는데
    안드레이는 뭐랄까요. 이것저것 다 무난히 잘하는 스타일이랄까.
    90년대 이후는 레코딩도 안 했지만 (2000년대부턴 다시 시작) 그의 레코딩 목록 중에서 길이 남을 명반류는 없는 게 좀 아쉽죠.

    안드레이 연주는 호불호가 크죠.
    그의 까다로움과 독특한 해석에 매료된 사람들은 헤어나질 못하고 금세기 최고라고 손꼽기에 아낌이 없고
    그 외의 분들은 마음을 확 끌어당기는 마력은 없지만 누구도 부인 못하는 실력의 연주자..
    이렇게 안드레이블 바라보고 있는 듯 하죠.

    그의 쇼팽 에튀드나 바흐의 연주를 듣노라면
    마음을 넓게 열지 않으면 거부감이 상당히 느껴집니다.
    템포도 특이하고 해석이나 개성이 너무 강해 연주자체가 작곡가에 충실하기 보단 안드레이化 돼 있는 느낌이죠.

  • 5. 우렁된장국
    '15.11.9 12:38 PM (5.254.xxx.203) - 삭제된댓글

    우리나란 뭐랄까. 좀 투박하면서도 기교를 과시하지 않는 교과서적인
    그리고 정통파의 대가들의 연주들을 아직도 최고라고 꼽는 경향이 강해서리..

    개인적으론 안드레이의 바흐 연주는 즐겨듣습니다.
    골드베르그나 프랑스조곡 류의 안드레이 연주는 수준과 평가도 높죠.
    근데 위의 두 음반 역시 호불호가 크게 갈립니다.
    너무 개성이 강해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죠. 이건 바흐가 아니다라고 평가절하하는 사람도..

    골드베르그가 듣기 좀 지루한 음악이지만…. 만약 이 곡을 좋아하신다면
    안드레이의 음반도 한번쯤은 권해보고 싶네요.
    물론 전 음악에 있어선 융통성이 없는 답답한 보수 과라 아직도 글렌 굴드의 바흐 해석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레이블은 도이치그라모폰이고 녹음년도는 기억 안 나네요.
    아마 노태우정권때 무렵의 녹음일 겁니다. (90년대 초)

  • 6. ....
    '15.11.9 12:41 PM (218.236.xxx.232)

    사실 평가라는 게 별 의미가 없어요. 점수 매기는 것도 아니고..
    단지 가브릴로프는 개성적인 연주라는 일반적인 평은 있습니다.
    아무리 잘 안 알려진 연주자라도 매니아는 있게 마련이고
    대가로 인정받는 사람도 내가 싫으면 그만인 거

  • 7. kiki
    '15.11.9 12:41 PM (14.52.xxx.171)

    적당한 쇼맨십? 도 있고 다소 정치적? 이고
    레파토라는 한국 사람들에게 어필 할 만 한데 워낙 개성이 뛰어나다보니 취향을 많이 타죠
    차이콥스키나 프로코피에프 등 북쪽 음악연주는 꽤 들을만 합니다. 유투브 영상으로 감상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2028 국민연금 8 임의가입 2016/01/26 1,916
522027 반영구눈썹할 때 색소종류 같은 거 물어봐야 할까요? 2 mong9 2016/01/26 994
522026 혜리 써클렌즈 낀걸까요?? 남친이랑 내기 중이예요ㅠ 12 ... 2016/01/26 3,887
522025 82에도 직업 성우 계세요? 1 여기 2016/01/26 1,041
522024 캐비어에 어울리는 술 3 캐비어 2016/01/26 702
522023 카톡 씹는경우요. 13 .. 2016/01/26 4,153
522022 장기간 저축할 수 있는 금융상품 뭐가 있을까요? 4 .. 2016/01/26 1,416
522021 길냥이에게 핫팩 준 사진 보셨어요? 11 ... 2016/01/26 5,179
522020 암재발시 국가지원금 비율이 어찌되나요? 2 ㅇㅇㅇ 2016/01/26 1,930
522019 구슬 함박 어떄요? 7 111 2016/01/26 1,908
522018 브라질채권 매입하신분들 계신가요?진짜 죽을맛이네요 11 동그라미 2016/01/26 2,485
522017 미혼 여성분들 한달에 쓰는 돈 얼마세요? 6 ... 2016/01/26 2,914
522016 Em비누로 머리감으니 좋네요 2 나도 2016/01/26 2,381
522015 중고거래 스님이랑 했어요 41 중고 2016/01/26 22,380
522014 맥앤치즈 레시피 궁금해요 2 dddd 2016/01/26 1,336
522013 ak프라자는 뭔가요? 8 때인뜨 2016/01/26 1,709
522012 이즈니 가염 버터, 이를 어째요 ㅠ ㅠ 1 버터 2016/01/26 6,877
522011 요즘 ars 콜센타 지연된다고 끊기고 너무 하네요 2 아니 2016/01/26 643
522010 저렴이 마스크팩있잖아요. 그거 소용 1도 없는건가요?ㅜ 16 피부여 2016/01/26 9,040
522009 우울증 때문에 살이 급속도로 빠져서 기아 수준이 되어가네요 7 @@ 2016/01/26 3,388
522008 전셋집은 제 재산 중에 동산인가요, 부동산인가요?(법적으로) 7 궁금 2016/01/26 3,180
522007 목동8단지근처 토피아건물 수학여행이라는 수학학원 어떤가요? .. 2016/01/26 666
522006 키성장 센터 - 과연 효과 있는지 주위에서 보셨나요? 5 근데 2016/01/26 1,617
522005 도대채 호남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11 호남 2016/01/26 1,905
522004 오늘 새벽에 EBS 트니 한일샘이란 사람이 영어를 가르치는데.... 11 .... 2016/01/26 3,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