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봉 2400이하가 절반이 넘는다는게 사실인가요...

...... 조회수 : 7,248
작성일 : 2015-11-07 15:04:18
간간히 올라오는 글들보면 고연봉자들이 많아서 기본 월급에 대한 눈높이가 많이 높아졌었는데 
정말로 백 몇십만원대 월급이 대부분인가요? 통계가 그렇다는데 놀라워서요..
혹시 시골이나 중소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월급 기준인건지 제가 대도시에 살아서 못느끼며 살아온건지
헷갈립니다...
예쁘게 잘 꾸미고 다니는 사람들 많은데 그것도 내가 도시에 살아서 월급 잘 받는 사람들 속에 있어서 그런건지..
아니면 그 돈으로 열심히 꾸미고 사는건지... 
IP : 1.237.xxx.230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워크넷 한번 들어가 보세요
    '15.11.7 3:08 PM (223.62.xxx.10)

    월 120 준다는 구인광고가 대부분입니다 서을요,
    물론 잘버는 분들은 잘 벌겠죠
    문제는 양극화가 지독해요
    너무 모르시네요,,

  • 2. ㆍㆍㆍ
    '15.11.7 3:09 PM (119.75.xxx.6)

    그만큼 비정규직이 많다는 증거일거에요.
    요즘은 4대보험 넣어주는 비정규직.기간제
    너무 많아요..
    저도 그래서 연봉이 들쑥날쑥.
    저는 연봉 2700~4000까지 해마다 달라요.

  • 3. 평균 말고 중간 값`
    '15.11.7 3:12 PM (1.231.xxx.66)

    1800정도라고 압니다

    중간층이
    수능중간 지방대학 월수입 150정도
    아래 말고 중간이요....

  • 4. 필리핀 멕시코
    '15.11.7 3:14 PM (1.231.xxx.66)

    남 얘기가 아닌 거
    언젠가도 아니고 지금.......

  • 5. 월 150미만도
    '15.11.7 3:15 PM (175.223.xxx.138)

    많아요. 사회초년생 얘기가 아니라 경력직도요. 주6일에 공휴일외 휴가 전무 또는 공휴일도 제대로 못쉬는 경우도 허다해요.헬조선 소리가 괜히 나오는줄들 아나요. 1988글에서도 그렇고 어릴 때 부모대에서부터 잘살던 분들이 많아서인지 세상보는 시각도 너무 좁네요.

  • 6. 존심
    '15.11.7 3:16 PM (110.47.xxx.57)

    노동개혁이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이 아마 인구의 70%는 되는 듯...

  • 7. ...
    '15.11.7 3:17 PM (222.108.xxx.23)

    저도 대학생 아들 둘 나중에 취업이 문제라고 했더니 남편 말이 대학4년제 나와서
    연봉 3000만원도 아주 어렵다네요.
    아! 제발 학교 졸업하고 어디라도 취업만 했으면 하는데, 남편말이 중소기업은 발전이 없어서
    대기업 취업 하려는거라고..

  • 8. ==
    '15.11.7 3:20 PM (147.47.xxx.34)

    양극화 진짜 심하죠. 중소도시나 시골이 아니라 서울에도 많습니다. 20대 임금이 아니라 더 나이 많고 경력 많은 사람들도 그렇게 받아요. 지방으로 가면 임금 더 떨어지죠.

    사무직이든, 서비스직이든 월수 200만원 안 되는 사람 많아요. 그 사람들이 무슨 하루 6시간쯤 일하는 것도 아니고, 일을 대충해도 되는 것도 아니고, 하루에 8시간 또는 그 이상 열심히 일해도 월 200만원 미만인거죠. 그런데 물가는 너무 비싸잖아요. 그러면서 최저임금은 안 올리려고 하고.

  • 9. 평균의 오류죠
    '15.11.7 3:21 PM (39.7.xxx.12)

    물이 펄펄 끓는 온도와 저온이 섞으면 미지근한 물이 되겠죠. 평균을 내면 중간온도 되는 거예요. 편차가 심하면 통계의 오류가 생깁니다.

  • 10. 제가 생각하기에
    '15.11.7 3:45 PM (121.171.xxx.44)

    그 절반에 대다수는 아마 40~50대 아줌마들이 차지할 것 같아요
    현실적으로 할수있는게 저임금 직업밖에 없어요
    마트 캐셔..뭐 이런것들....

  • 11. 아마도
    '15.11.7 4:09 PM (60.253.xxx.213) - 삭제된댓글

    잘버는 사람은 잘벌고요 못버는 사람은 못버는것같아요
    잘벌려면 그만큼 자신에 대한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겠고
    또한 운도 따라줘야되는것같아요

  • 12.
    '15.11.7 6:07 PM (223.62.xxx.184)

    평균 연봉 3100만원으로 뉴스에서 봤어요
    많이버는 사람은 억대연봉이고 서민층은 월200미만도 많아요

  • 13. ..
    '15.11.7 6:38 PM (223.62.xxx.10)

    150만받아도좋겠어요

  • 14. 1234
    '15.11.7 7:04 PM (125.143.xxx.174) - 삭제된댓글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월평균연봉 2000만원 미만이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40%입니다.

  • 15. 1234
    '15.11.7 7:06 PM (125.143.xxx.174) - 삭제된댓글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월평균연봉 2000만원 미만이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40%입니다. 먹고 살기에도 부족한 가구수가 40% 후덜덜하죠.

  • 16. 1234
    '15.11.7 7:10 PM (125.143.xxx.174) - 삭제된댓글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월평균연봉 2000만원 미만이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40%입니다. 먹고 살기에도 부족한 가구수가 40% 후덜덜하죠.
    월평균 150만원 이하로 빚 없이는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가구가 무려 40%...

  • 17. 1234
    '15.11.7 7:16 PM (125.143.xxx.174)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평균연봉 2000만원 월 150만원 미만인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20%입니다. 먹고 살기에도 부족한 가구수가 20% 후덜덜하죠.
    월평균 150만원 이하로 빚 없이는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가구입니다.

    그리고 월급 288만원 가구가 약 40%에요.
    그냥 먹고 쓰면 저축이 안되는 가구들이요. 이런 가구들도 사실 집을 구입하지 못하는 세대들입니다.
    합해서 60% 우리나라 60% 가구들은 먹고 쓰면 없어요. 저축도 못하구요.

  • 18.
    '15.11.7 7:21 PM (14.39.xxx.150) - 삭제된댓글

    여기는 1억은 보통이던데요
    공항은 넘쳐나고
    관광지는 흥청망청
    이해불가지요

  • 19. 윗님
    '15.11.7 9:12 PM (112.173.xxx.196)

    공항 관광지.. 결국 돈 있는 사람들 이야기네요.

  • 20. ...
    '15.11.7 11:05 PM (223.62.xxx.15)

    제가 중간 관리자인데 제 아래 직원 17명 다 2400 안되요
    저는 외벌이 간신히 3500에요.외식 여행???다 sns에서 봐요
    남편이 공무원 준비해서요...그런데 인터넷에서 보는 삶의 기준은 한 대략 연봉 1억에 맞춰 진거 같아요...
    남동생은 대기업 연봉 4천이고 올케도 그런데 아무도 그렇게 호화스렇게 못살아요.
    또 정말 웃긴게 개원의사인 동창도 어렵데요. 여행도 잘 못간다면서 하는얘기가 우리 사회 구조가 잘못되서 상위1프로 말고는 다 앖다고 하데요..
    상위1프로가 50만 정돈가요?흠 많긴하죠. 그런데 어려운건 4500만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9818 40대인데 보청기 착용하시는분 2 걱정 2015/11/12 1,918
499817 거두절미하고 한가지 여쭤볼게요 71 .... 2015/11/12 19,518
499816 어느 학원장의 말이 너무 가슴에 와 닿아서.. 8 왠지~ 2015/11/12 5,697
499815 재래시장에서 상추많이 삿어요 처치 진짜 곤난하네요. 14 야채채소야채.. 2015/11/12 1,907
499814 29살.. 수능 치고 왔네요. 15 주르륵 2015/11/12 8,049
499813 급해서)차 팔아보신분 4 차팔때 2015/11/12 865
499812 박상민씨 방송 결론이? 3 ebs 2015/11/12 2,987
499811 디자인과 졸업 후 해외 유학 후 4 ... 2015/11/12 1,927
499810 수학학원 부족시... 과외나 학원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까요? 6 bb 2015/11/12 1,528
499809 지금 차 밀리죠?? 2015/11/12 507
499808 나이별 평균월급이 공개됐는데 충격이군요/LG경제연구원 7 그냥 2015/11/12 6,591
499807 코스트코에서 야단치는 아줌마 12 지나가다 2015/11/12 6,655
499806 사골 처음 끓이려고 하는데 도움 글 주세요 4 막막하다.... 2015/11/12 920
499805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외부빵 먹는거 흔한일인가봐요 16 카페에서 2015/11/12 3,808
499804 연미사 올리려는데 금액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4 성당에 2015/11/12 5,206
499803 수능치른 아이데리고 들어왔어요~~ 9 ᆞᆞ 2015/11/12 4,222
499802 혼이 3 .... 2015/11/12 1,041
499801 수학 잘하시는 분들 도와주세요. 2 ㅇㅇ 2015/11/12 854
499800 아베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역사 직접 고치겠다&q.. 1 샬랄라 2015/11/12 476
499799 이번주 인간극장 부부 존경스럽네요. 9 ... 2015/11/12 4,070
499798 길거리에서 담배 못피우게 하는 법은 도대체 못정한답니까..??!.. 18 간접흡연 여.. 2015/11/12 2,331
499797 나보다 여러모로 나은 사람 만나고 나서 기분이 어떤가요? 12 ..... 2015/11/12 3,026
499796 (결정장애) 암보험,의료실비 보험료 가입설계 좀 봐주세요. 10 혼돈맘 2015/11/12 1,848
499795 이런 남자는 어디가서 찾아야되나요? 49 ㅇㅇ 2015/11/12 11,438
499794 이웃이 피아노를 치고있는데 못쳐도 너무 못치네요 ㅠ 15 .. 2015/11/12 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