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봉 2400이하가 절반이 넘는다는게 사실인가요...

...... 조회수 : 7,308
작성일 : 2015-11-07 15:04:18
간간히 올라오는 글들보면 고연봉자들이 많아서 기본 월급에 대한 눈높이가 많이 높아졌었는데 
정말로 백 몇십만원대 월급이 대부분인가요? 통계가 그렇다는데 놀라워서요..
혹시 시골이나 중소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월급 기준인건지 제가 대도시에 살아서 못느끼며 살아온건지
헷갈립니다...
예쁘게 잘 꾸미고 다니는 사람들 많은데 그것도 내가 도시에 살아서 월급 잘 받는 사람들 속에 있어서 그런건지..
아니면 그 돈으로 열심히 꾸미고 사는건지... 
IP : 1.237.xxx.230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워크넷 한번 들어가 보세요
    '15.11.7 3:08 PM (223.62.xxx.10)

    월 120 준다는 구인광고가 대부분입니다 서을요,
    물론 잘버는 분들은 잘 벌겠죠
    문제는 양극화가 지독해요
    너무 모르시네요,,

  • 2. ㆍㆍㆍ
    '15.11.7 3:09 PM (119.75.xxx.6)

    그만큼 비정규직이 많다는 증거일거에요.
    요즘은 4대보험 넣어주는 비정규직.기간제
    너무 많아요..
    저도 그래서 연봉이 들쑥날쑥.
    저는 연봉 2700~4000까지 해마다 달라요.

  • 3. 평균 말고 중간 값`
    '15.11.7 3:12 PM (1.231.xxx.66)

    1800정도라고 압니다

    중간층이
    수능중간 지방대학 월수입 150정도
    아래 말고 중간이요....

  • 4. 필리핀 멕시코
    '15.11.7 3:14 PM (1.231.xxx.66)

    남 얘기가 아닌 거
    언젠가도 아니고 지금.......

  • 5. 월 150미만도
    '15.11.7 3:15 PM (175.223.xxx.138)

    많아요. 사회초년생 얘기가 아니라 경력직도요. 주6일에 공휴일외 휴가 전무 또는 공휴일도 제대로 못쉬는 경우도 허다해요.헬조선 소리가 괜히 나오는줄들 아나요. 1988글에서도 그렇고 어릴 때 부모대에서부터 잘살던 분들이 많아서인지 세상보는 시각도 너무 좁네요.

  • 6. 존심
    '15.11.7 3:16 PM (110.47.xxx.57)

    노동개혁이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이 아마 인구의 70%는 되는 듯...

  • 7. ...
    '15.11.7 3:17 PM (222.108.xxx.23)

    저도 대학생 아들 둘 나중에 취업이 문제라고 했더니 남편 말이 대학4년제 나와서
    연봉 3000만원도 아주 어렵다네요.
    아! 제발 학교 졸업하고 어디라도 취업만 했으면 하는데, 남편말이 중소기업은 발전이 없어서
    대기업 취업 하려는거라고..

  • 8. ==
    '15.11.7 3:20 PM (147.47.xxx.34)

    양극화 진짜 심하죠. 중소도시나 시골이 아니라 서울에도 많습니다. 20대 임금이 아니라 더 나이 많고 경력 많은 사람들도 그렇게 받아요. 지방으로 가면 임금 더 떨어지죠.

    사무직이든, 서비스직이든 월수 200만원 안 되는 사람 많아요. 그 사람들이 무슨 하루 6시간쯤 일하는 것도 아니고, 일을 대충해도 되는 것도 아니고, 하루에 8시간 또는 그 이상 열심히 일해도 월 200만원 미만인거죠. 그런데 물가는 너무 비싸잖아요. 그러면서 최저임금은 안 올리려고 하고.

  • 9. 평균의 오류죠
    '15.11.7 3:21 PM (39.7.xxx.12)

    물이 펄펄 끓는 온도와 저온이 섞으면 미지근한 물이 되겠죠. 평균을 내면 중간온도 되는 거예요. 편차가 심하면 통계의 오류가 생깁니다.

  • 10. 제가 생각하기에
    '15.11.7 3:45 PM (121.171.xxx.44)

    그 절반에 대다수는 아마 40~50대 아줌마들이 차지할 것 같아요
    현실적으로 할수있는게 저임금 직업밖에 없어요
    마트 캐셔..뭐 이런것들....

  • 11. 아마도
    '15.11.7 4:09 PM (60.253.xxx.213) - 삭제된댓글

    잘버는 사람은 잘벌고요 못버는 사람은 못버는것같아요
    잘벌려면 그만큼 자신에 대한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겠고
    또한 운도 따라줘야되는것같아요

  • 12.
    '15.11.7 6:07 PM (223.62.xxx.184)

    평균 연봉 3100만원으로 뉴스에서 봤어요
    많이버는 사람은 억대연봉이고 서민층은 월200미만도 많아요

  • 13. ..
    '15.11.7 6:38 PM (223.62.xxx.10)

    150만받아도좋겠어요

  • 14. 1234
    '15.11.7 7:04 PM (125.143.xxx.174) - 삭제된댓글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월평균연봉 2000만원 미만이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40%입니다.

  • 15. 1234
    '15.11.7 7:06 PM (125.143.xxx.174) - 삭제된댓글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월평균연봉 2000만원 미만이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40%입니다. 먹고 살기에도 부족한 가구수가 40% 후덜덜하죠.

  • 16. 1234
    '15.11.7 7:10 PM (125.143.xxx.174) - 삭제된댓글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월평균연봉 2000만원 미만이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40%입니다. 먹고 살기에도 부족한 가구수가 40% 후덜덜하죠.
    월평균 150만원 이하로 빚 없이는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가구가 무려 40%...

  • 17. 1234
    '15.11.7 7:16 PM (125.143.xxx.174)

    평균이라는건 함정이죠. 평균연봉 2000만원 월 150만원 미만인 가구가 몇프로인지? 그게 먼저 아닐까요?

    우리나라 하위 소득가구가 약 20%입니다. 먹고 살기에도 부족한 가구수가 20% 후덜덜하죠.
    월평균 150만원 이하로 빚 없이는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가구입니다.

    그리고 월급 288만원 가구가 약 40%에요.
    그냥 먹고 쓰면 저축이 안되는 가구들이요. 이런 가구들도 사실 집을 구입하지 못하는 세대들입니다.
    합해서 60% 우리나라 60% 가구들은 먹고 쓰면 없어요. 저축도 못하구요.

  • 18.
    '15.11.7 7:21 PM (14.39.xxx.150) - 삭제된댓글

    여기는 1억은 보통이던데요
    공항은 넘쳐나고
    관광지는 흥청망청
    이해불가지요

  • 19. 윗님
    '15.11.7 9:12 PM (112.173.xxx.196)

    공항 관광지.. 결국 돈 있는 사람들 이야기네요.

  • 20. ...
    '15.11.7 11:05 PM (223.62.xxx.15)

    제가 중간 관리자인데 제 아래 직원 17명 다 2400 안되요
    저는 외벌이 간신히 3500에요.외식 여행???다 sns에서 봐요
    남편이 공무원 준비해서요...그런데 인터넷에서 보는 삶의 기준은 한 대략 연봉 1억에 맞춰 진거 같아요...
    남동생은 대기업 연봉 4천이고 올케도 그런데 아무도 그렇게 호화스렇게 못살아요.
    또 정말 웃긴게 개원의사인 동창도 어렵데요. 여행도 잘 못간다면서 하는얘기가 우리 사회 구조가 잘못되서 상위1프로 말고는 다 앖다고 하데요..
    상위1프로가 50만 정돈가요?흠 많긴하죠. 그런데 어려운건 4500만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1399 염색이 넘 밝은갈색이 되었는데 다른색으로 다시해도 나오나요? 4 .. 2016/02/25 1,239
531398 허리견인기 쓰는분 계시나요? 2 ........ 2016/02/25 1,060
531397 이제 부터 좀 좋은 물건들을 사야겠어요. 옷이나 가방 5 xdgasg.. 2016/02/25 3,069
531396 남해 3월에 가려합니다.거기 사시는 분이나 가보신분 질문잇습니다.. 3 남해 2016/02/25 1,166
531395 수학 모르는 문제 해결하는 방법 여쭈어봅니다 3 하늘채 2016/02/25 924
531394 버버리 퀼팅 트렌치코트,활용도 높을까요? 1 질문 2016/02/25 1,650
531393 여덟개 옷을 주문해서 받았는데 그중 하나를 교환하려고했어요.. 6 이런경우 2016/02/25 1,665
531392 감기약을 계속 먹어도 되는지 6 기침하는데 2016/02/25 818
531391 류준열팬들 기세등등하네요 23 2016/02/25 3,367
531390 애를 늦게 낳을수록 빨리 늙는것같아요ㅠㅠ 9 ㅇㅇ 2016/02/25 2,756
531389 야당의 대테러 방지법 필리버스터의 무리수 22 길벗1 2016/02/25 1,801
531388 베스트에 올랐던 미친 카레 해먹어 보신 분 5 카레 2016/02/25 2,854
531387 영화 동주 예비중아들과 같이 6 예비중맘 2016/02/25 1,139
531386 택시기사님께 할인받아본 기억... ^^ 2016/02/25 738
531385 왜 테러방지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반박은 없고 3 ㅇㅇ 2016/02/25 706
531384 예비중들어가는 딸 편두 아데노이드 수술 7 잘한것 2016/02/25 1,171
531383 핸드폰 공기계로 옮겨가려면 sim만 갈아끼우면 바로 작동할까요?.. 5 궁금 2016/02/25 1,070
531382 참존컨트롤 크림 어디서 사나요? 19 궁금해요~ 2016/02/25 4,177
531381 목동 vs 중계동, 학군과 집값 차이?? 14 201208.. 2016/02/25 9,779
531380 은수미 의원 법륜스님 제자인가요? 8 ..... 2016/02/25 2,452
531379 폼클린싱 - 순하고 부드러운 거 추천 좀...(로드샵 브랜드 중.. 4 화장품 2016/02/25 1,573
531378 평택~대전동구 통학 가능할까요? 10 아이 2016/02/25 1,490
531377 귀향..관객 공감대 얻었다 개봉 첫날 1위 귀향 2016/02/25 464
531376 지방거점국립대 vs 성신여대 18 학부모 2016/02/25 5,746
531375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 비율이 늘어난다는데요. 13 그래서 2016/02/25 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