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나이 드니 많은 대출 안고 집 사기가

부담 조회수 : 3,780
작성일 : 2015-11-07 13:32:10

30대만 해도 대출 안고 집 사는 걸 당연시 여겼는데 40중반 되니

많은 대출 안고 집 사기가 부담스럽고 대출금 이자도 아깝고

심지어 집 살때 드는 세금까지도 다 아깝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래서 나이 들면 더 집을 못산다고 했을까요?

솔직히 집값이 너무 올라버려 절망스럽고 예전엔 대출 몇천이면

제 형편에서는 그래도 살만한 집은 샀는데 지금은 어림도 없어요.

그렇다고 이제와 그 이상 대출 하기는 너무 부담스럽고

이사가 정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움직이기도 싫고

대출 안고 집 사기도 너무너무 싫고 답답하네요.

이럴 줄 알았으면 예전 집 안팔고 그냥 가지고 있는건데.

후회되고 살고싶은 집들은 이제 비싸서 엄두도 안나네요.

대를 이어 빚을 갚는다고 생각하지 않는 한 이제 시내에서는 집 못살 것 같아요..

진짜 50대까지도 대출금 갚아가며 살고싶지는 않는데..ㅜㅜ

비슷한 생각 하시는 분 계신가 싶어 하소연 합니다.

IP : 112.173.xxx.196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1.7 1:35 P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저도 그래요.
    언제 아플지, 수입이 줄거나 일자리를 잃을지 모르는 일이라 돈이 있어도 집 안 넓혀요.
    근데 이런 건 그냥 성격이더라구요.
    욕구를 억누르고 새가슴인 타입인거죠.
    삶의 만족도는 앞일 생각 안하고 원하는 거 맘껏 하는 사람들이 훨씬 높은데.

  • 2. 제제
    '15.11.7 1:54 PM (119.71.xxx.20)

    30대에는 애들도 어려 교육비가 덜 나갔으니 가능했던 것 같아요.
    양가 부모님들도 그땐 보태 줄 여력되셔서 이것 저것 도움도 주셨고..
    다시 대출 받아 집 옮기라고 하면 이 여유,이 생활 버려야하는데 도저히 못할 듯 해요..
    대출 갚느라 한동안 상거지,찌질이로 살았거던요^^

  • 3. ...
    '15.11.7 1:56 PM (125.143.xxx.206)

    서울은 우습게 10억은 넘어가니 세금.복비 4.5천은 버리는돈.

  • 4. ㅇㅇ
    '15.11.7 2:01 PM (58.140.xxx.252) - 삭제된댓글

    집은 한번팔면 바로 작은집이라도 사놔야하는건데 대출 내지말고 가능한선에서 타협해야죠 늙어도 집한채는 있어야 집으로 연금신청이라도 해서 먹고는 사니까요
    서울이라면 빌라 삼억미만대도 가능한집 많더라구요 저는 노후에 아파트 세주고 빌라로 이동하려고 계획중이예요 한번 전세로 살아보니 관리비 적게들고 괜찮았어요

  • 5. 몸도
    '15.11.7 2:03 PM (112.173.xxx.196)

    슬슬 고장나는 시기에 대출 안고 내집장만이 이렇게 부담으로 다가올 줄 몰랐어요.
    지금 외곽에 살아 시내로 나가고 싶은데 어찌해야 하나 무척 고민되서 밤에 잠도 안옵니다.
    그냥 여기서 적당한 거 사서 눌러 살아야 하나.. 애들 활동할 것 생각해서라도
    지금이라도 좀 무리해서 나가야 하나.. 그런데 무리해도 딱히 살고 싶은 집도 아니에요.
    집은 이곳이 더 나은데 조건은 별루면서 돈은 더 줘야 하니 말이죠.

  • 6. 저두
    '15.11.7 2:08 PM (112.173.xxx.196)

    노후에 관리비라도 아끼고픈 마음에 지금 신축빌라도 보고 있답니다.
    지금이라도 하나 사지 않으면 나이 들어서까지 비싼 월세살이 할것같아
    집을 다시 사야한다는 생각은 드는데 집값이 지난 몇년새에 순식간에 올라버려
    뭘 어찌해야 좋을지 몰라 한숨만 푹푹 쉬고 있네요.

  • 7. 나이들수록
    '15.11.7 2:16 PM (121.124.xxx.107)

    병원비에 돈들어갈일 너무 많아요 고정지출 줄여나가는게 현명한거 같아요 자식에게 대출물려주고 싶지않아 힘들어도 원금 이자 같이 상환하고 있어요

  • 8. 물가상승
    '15.11.7 3:29 PM (61.82.xxx.167)

    돈의 값어치가 떨어지니 그래도 타이밍 잘 맞춰 대출 안고 집사는게 저축보다 낫다는 생각입니다.
    저희는 2년전에 집값이 바닥에서 무릎즘 가격이 올랐을때 대출 2억 안고 집 갈아 탔어요. 나이 43일때였고요.
    이율이 이렇게 떨어질줄 그 당시엔 몰랐네요. 그땐 4%대, 지금은 2%대 입니다.
    저축예금 이율은 1%대죠. 20만원씩 1년 저금하니 세금떼고 연이자 13000원 나오더군요.
    대출안고 집 샀으니 더 허리띠 졸라매 강제저축의 효과가 있어요. 대출 원금도 꾸준히 갚아가고 있고요.
    집은 교통좋고, 학군 좋은곳 로얄층, 로얄매물로 샀어요. 환금성 좋게요.
    2년전 매입했을때보다 현재 1억 5천 더 올라있어요. 물론 이변이 없는 한 팔 생각없어요.
    은퇴후엔 이 집을 지렛대로 쓸거고요. 반전세놔서 월세 뽑고, 반전세 보증금으로 저흰 외곽으로 나가든가 해야죠.
    암튼 하우스푸어가 렌트 푸어보다는 나을테니까요.
    경제력 되는 범위에서 집값 하락기 잘 타셔서 구매하세요.

  • 9. 그래도
    '15.11.7 4:59 PM (221.140.xxx.60)

    빌라는.... 아파트를 하시는게 어떨까요. 평수를 줄이더라도 말이죠

  • 10. ㆍㆍㆍ
    '15.11.7 7:18 PM (119.75.xxx.60)

    빌라는좀 말리고싶네요.
    저도 나이가 50바라보는데 대출받기싫어서
    눌러앉아 있네요.
    빚내는 순간 삶의질 하락이에요.
    최대한 현금모아서 이사 가려구요.대출 조금받으려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5556 결혼식 일주일 전 임대아파트 고백 201 ㅇㅇ 2016/01/06 39,739
515555 부티 지름신 왔어요 부티 2016/01/06 825
515554 한국의 치욕적인 위안부합의... 미국과 일본에 완전한 항복 1 국가의배신 2016/01/06 538
515553 이눔 명절 돌아오니 또 쌈박질 하게 생겼어요!! 17 미치겠어요 2016/01/06 5,013
515552 대학생 자녀들 책상 좀 추천해주세요 4 사랑이여 2016/01/06 1,508
515551 위안부, 다음은 한일군사동맹 3 샬랄라 2016/01/06 504
515550 냉장고를 부탁해에서 정형돈 대신할 mc? 22 정형돈 하차.. 2016/01/06 3,319
515549 가게이름 부탁드립니다 12 ... 2016/01/06 1,187
515548 엄마의 전쟁 다시보기 안되나요? 2 엄마의.. 2016/01/06 1,268
515547 대망 소설 읽어 보신분 계신가요~? 21 ㅇㅇ 2016/01/06 2,631
515546 덴마크 다이어트하고 나서. 2 .... 2016/01/06 1,298
515545 혹시 제가쓴글 한분이라도 기억하고 계실까요? 10 감사인사 2016/01/06 1,612
515544 비행기 탑승시 물약,가루약 등 조제약 기내반입... 4 ㄴㄴ 2016/01/06 13,323
515543 받고싶은 선물 1 친구 2016/01/06 529
515542 유방암 확정이래요. 꿈같은 시간 입니다.. 29 새댁 2016/01/06 20,993
515541 한시간째 뛰네요...10분 단위로 3 심하네 2016/01/06 1,188
515540 ssg 에서 5만원 이상이면 장바구니 준다고해서... 10 000 2016/01/06 3,512
515539 결혼식 부주금 글을 읽고... 2 장녀 2016/01/06 1,584
515538 전문계고 특별전형좀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5 전문계 2016/01/06 1,725
515537 편의점에 토스트식빵 파나요 모닝빵이라도 5 .. 2016/01/06 1,962
515536 엄마랑 둘이 기차타고 온천여행 갈생각인데요 추천좀 해주세요~^^.. 10 ... 2016/01/06 2,746
515535 영화 내부자들 안보신분들 추천합니다 14 영화가좋아 2016/01/06 3,406
515534 설마 청와대에 일장기가? 7 묘한 현수막.. 2016/01/06 1,066
515533 어린아이들이 물건을 줄 세우는 것 10 궁금해서요 2016/01/06 6,698
515532 제사에 쓸 전, 나물 주문할 곳 추천 좀 해주세요~ 6 반찬가게 2016/01/06 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