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선시대 왕들의 사망원인이래요..

,, 조회수 : 23,338
작성일 : 2015-11-07 00:10:43

1대부터 마지막까지 완전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네요.

보면 생각보다 장수한 왕들이 많은 것 같아요.

그 시대의 평균수명을 보면 말이죠.

근데 중간에 간장게장은......정말일까요????ㅡㅡ;;


http://www.issuein.com/index.php?mid=index&document_srl=721479

IP : 125.187.xxx.204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1.7 12:15 AM (61.102.xxx.22)

    간장게장.. 정말이에요. 독살당했죠.
    그 다음 왕위에 오른 이복동생 영조와 그 측근들이 꾸민 일이라는 의심을 받았죠.
    영조는 억울해하면서 부정했구요. 진실은 영조만이 알겠죠.

  • 2. ㅡㅡ
    '15.11.7 12:15 AM (175.223.xxx.188) - 삭제된댓글

    간장게장 먹고 갑각류 알러지 난거 아닐까요?
    수전증 어의가 침을 잘못놔서 돌아가신분도 있다니
    어이없다증말..

  • 3. ==
    '15.11.7 12:17 AM (218.236.xxx.232) - 삭제된댓글

    어의가 수전증은 정말 어이상실

  • 4. 지금
    '15.11.7 12:17 AM (125.187.xxx.204)

    찾아보니 연잉군이었던 영조가
    게장과...그와 상극인 생감을 연이어 진상을 했대요.
    그걸먹고 그리 되셨다고,,,,

  • 5. ...
    '15.11.7 12:18 AM (39.127.xxx.213) - 삭제된댓글

    옥탑방왕세자가 경종을 모델로 한 거라죠.
    빨리 죽어서 행복해 졌을 거라능.. ㅜㅠ

  • 6. 성병과 매독
    '15.11.7 12:18 AM (14.34.xxx.199)

    왕이 성병에 걸렸다는 건
    왕이 상대했던 사람들이 깨끗하지 않았다는 거네요.
    조선은 유교 국가였고
    게다가 궁궐에서 왕을 상대하는 사람들이었는데도..

  • 7. 간장게장은요
    '15.11.7 12:20 AM (220.122.xxx.17)

    감하고 상극인 음식인데 계속 같이 먹여서 죽인걸로 아는데요

  • 8. 세종 성병이건
    '15.11.7 12:20 AM (203.228.xxx.204) - 삭제된댓글

    일본인들에게 의해서 역사가 조작된 거라고 합니다

    다시 한번 알아보세요
    요즘 정말 검증안된 이런 자료들 너무 많아서
    이게 인터넷 페해인듯해요

  • 9. 그닥
    '15.11.7 12:36 AM (58.229.xxx.13)

    신뢰할만한 자료는 아닌듯 하네요.
    예종이 복상사했단 증거가 도대체 어디에 있는지..허허.

  • 10. 예종은
    '15.11.7 1:11 AM (39.7.xxx.57)

    패혈증으로 사망했다는대요.
    한참 양기가 솟구칠 20살의 나이에 복상사라니 말이 안돼죠.

  • 11. mrs.valo
    '15.11.7 1:24 AM (118.35.xxx.105) - 삭제된댓글

    옛날 분들은 왜그리 사망이 잦았을까요? 왕세손이나 왕비의 경우에 못먹고 산 사람도 아닐텐데.. 여자의 경우 산후출혈이나 감염이고, 아기의 경우 예방접종이 없었던게 제일 큰 원인일까요?

  • 12. mrs.valo
    '15.11.7 1:25 AM (118.35.xxx.105)

    옛날 분들은 왜그리 일찍 사망했을까요? 왕세손이나 왕비의 경우에 못먹고 산 사람도 아닐텐데.. 여자의 경우 산후출혈이나 감염이고, 아기의 경우 예방접종이 없었던게 제일 큰 원인일까요?

  • 13. 헉..
    '15.11.7 1:29 AM (222.102.xxx.207) - 삭제된댓글

    세종 대왕 성병은 정말 터무니 없는 왜곡 조작이죠.. 궁밖에서 살던 기생들을 궁으로 들여서 노닥거리다 쫓겨난 연산군도 안 걸린 성병을 세종대왕이 걸렸다는 게 말이 안되는 소리죠. 그 당시 왕의 잠자리 상대에 대해 따지는 게 얼마나 까다로웠는데요. 왕의 잠자리도 시기를 정해서 하는 판에. 게다가 대부분 왕의 후궁들은 소수의 궁녀 출신 아니고서는 양반가 여식이 대부분인데 왕한테 성병 옮긴다는 게 말이 안되죠. 궁녀 뽑는 기준도 무척 엄격하고 어릴 때부터 들이는 판에. 영조가 출신 컴플렉스가 심했던 이유도 영조 친모가 궁안에서 막일했던 여인들 신분중에서도 가장 하급 출신으로 궁밖으로 출퇴근이 가능했던 부분 때문에 숙종의 친자가 아니란 의혹을 끊임없이 받아왔다는 말도 있잖아요. 일단 궁안에 어릴 때 궁녀로 선별돼 들어오면 궁밖 출입도 자유롭지 못하는데 성병을 옮아서 왕한테 옮길 루트 자체가 힘들어요. 게다가 우리나라가 성병으로 문제가 생긴 건 일본놈들이 왜관을 통해 자리를 잡으며 매춘업을 하는 바람에(지금으로 치면 매춘녀들이 몸 굴릴대로 굴리다가 결국 방석집 수준까지 떨어지는,일본 퇴물 기생들을 대거 데려와 조선인들을 상대로 매춘업을 했죠) 매독 문제가 생긴 거죠. 다른 시대도 아닌 조선시대에 여자가 성병이 걸렸다는 건 막말로 매춘업에 종사한 가장 천한 신분의 여자란 건데 그런 여자가 궁안에 들어와 왕한테 매독까지 옮긴다는 게 말이 안되죠.더구나 그 왕이 세종대왕이라면 더더구나 말이 안됩니다.

  • 14. 헉...
    '15.11.7 1:34 AM (222.102.xxx.207)

    세종 대왕 성병은 정말 터무니 없는 왜곡 조작이죠.. 궁밖에서 살던 기생들을 궁으로 들여서 노닥거리다 쫓겨난 연산군도 안 걸린 성병을 세종대왕이 걸렸다는 게 말이 안되는 소리죠. 그 당시 왕의 잠자리 상대에 대해 따지는 게 얼마나 까다로웠는데요. 왕의 잠자리도 시기를 정해서 하는 판에. 게다가 대부분 왕의 후궁들은 소수의 궁녀 출신 아니고서는 양반가 여식이 대부분인데 왕한테 성병 옮긴다는 게 말이 안되죠. 궁녀 뽑는 기준도 무척 엄격하고 어릴 때부터 들이는 판에. 영조가 출신 컴플렉스가 심했던 이유도 영조 친모가 궁안에서 막일했던 여인들 신분중에서도 가장 하급 출신으로 궁밖으로 출퇴근이 가능했던 부분 때문에 숙종의 친자가 아니란 의혹을 끊임없이 받아왔다는 말도 있잖아요. 일단 궁안에 어릴 때 궁녀로 선별돼 들어오면 궁밖 출입도 자유롭지 못하는데 성병을 옮아서 왕한테 옮길 루트 자체가 힘들어요. 오히려 일본놈들이 왜관을 통해 자리를 잡으며 매춘업을 하는 바람에(지금으로 치면 매춘녀들이 몸 굴릴대로 굴리다가 결국 방석집 수준까지 떨어지는,일본 퇴물 기생들을 대거 데려와 조선인들을 상대로 매춘업을 했죠) 매독 문제가 생긴 거죠. 성이 개방적이었던 다른 시대도 아닌 조선시대에 여자가 성병이 걸렸다는 건 막말로 매춘업에 종사한 가장 천한 신분의 여자일 확률이 높은데 그런 여자가 궁안에 들어와 왕한테 매독까지 옮긴다는 게 말이 안되죠.더구나 그 왕이 세종대왕이라면 더더구나 말이 안됩니다.

  • 15. 세종의 사망원인 중 하나인
    '15.11.7 1:36 AM (39.7.xxx.57)

    성병은 실록에 '임질'에 걸렸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네요.
    그런데 학자들의 연구결과 실록에 기록된 임질은 요즘을 성병이름이 아니라 요로결석을 뜻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세종이 고기를 좋아했다는 기록과 요로결석의 원인 중 하나가 동물성 단백질 섭취라는 점이 맞아떨어지기는 하네요.
    그리고 조선의 왕은 후계자 문제에 대한 잡음을 피하기 위해 가능하면 처녀와만 관계를 가지려고 노력한 것으로 압니다.
    연산군처럼 상대를 가리지 않았던 특별한 사례도 있지만 중도에 폐위됐죠.

  • 16. ...
    '15.11.7 1:55 AM (222.102.xxx.207)

    그리고 우리나라 왕들 일상을 보면 기본적으로 과로할만한 스케쥴이더군요. 왕의 업무가 상당히 빡세더라고요. 게다가 삼시세끼 영양가 있는 음식을 챙겨먹는 것에 반해 몸의 움직임은 많지 않고 대부분 장시간 앉아서 나라 일을 살펴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고.(이건 이미 최근 연구결과에도 나왔죠.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업종은 사망율이 높아진다고) 조선시대 경우는 태종이나 숙종 같은 몇몇 왕을 빼놓고는 사대부의 나라라고 할 정도로 신하들 파워가 세던 나라이고 표면상 왕의 파워가 세보일지라도 그 이면엔 신하들과 끊임없는 힘겨루기를 하던 때라, 왕한테 태클거는 신하들 상대하는 것도 보통 정신적 스트레스가 아니었을 거예요. 우스개 소리로 왕이 무슨 말만 하면 전하 아니되옵니다.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문무백관들이 날마다 이럴텐데 심혈관 질환 가능성도 확 높아졌을 것 같고요. 그나마 타고난 건강체인 영조 같은 경우 아니고서는 유약하게 타고날 경우 지금 수준에선 병원만 가서 치료 받고 좀 입원했다가 퇴원 가능한 병이라도 그 당시엔 치명적이었을테니까요.

  • 17. 야사
    '15.11.7 2:51 AM (207.244.xxx.206)

    간장게장은 야사 아닌가요? 경종한테 영조가 간장게장에 꿀인가 감 타서 줬다고 줬다고 들었어요. 유난히 게장 맛이 달구나, 라고 하고 죽었다고... 남인들이 만들어낸 야사일 거예요.

    실제로는 과로와 유전병인 당뇨로 죽은 경우가 태반이었다고 해요.

  • 18.
    '15.11.7 8:34 AM (117.111.xxx.144)

    지금은 간단한 염증들로
    죽은경우도 많다고알아요.

  • 19. ???
    '15.11.7 10:27 AM (211.223.xxx.203)

    세종대왕은 피부병 같은 게 있었다고 알고 있었는데...

    자손들이 많은 왕이긴한데..

  • 20. 울화병, 홧병보니
    '15.11.7 11:33 AM (211.202.xxx.240) - 삭제된댓글

    조선시대 왕이란 자리들이 참 고달펐구나 싶네요.
    조선시대 하면 떠오르는게 당파싸움인데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노론, 소론으로 분열되어 싸우고
    이게 민생 문제도 아니고 자기들간의 세력다툼으로 되어 이를테면 세자책봉 하는데도 저런 양상으로 나뉘어
    대립되었다니 이해가 갈만도 하네요.
    나중엔 영정조가 탕평책을 펴서 누그러졌다고 하나 그게 또 세도정치로 변질되어 주선후기엔 그 모양이 되었죠.

    그리고 종기가 있는 왕들도 많았다는데 이게 지금의 면역, 혈관과 관련된 현대병 같은 성인병이나 아토피 같은거라네요. 예전 못살던 대다수의 서민들에겐 없는 병이라고 해요.
    서민들이야 전염병이 돌아 많이들 죽었지만 이런 병으로 죽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고.
    왕은 산해진미 기름진 음식에 주안상이다 뭐다 해서 밤에도 야식에 알콜에 운동은 안하고 그러니 몸이 비대해지고 현대의 성인병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 거겠죠.

  • 21. 울화병, 홧병보니
    '15.11.7 11:34 AM (211.202.xxx.240) - 삭제된댓글

    조선시대 왕이란 자리들이 참 고달펐구나 싶네요.
    조선시대 하면 떠오르는게 당파싸움인데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노론, 소론으로 분열되어 싸우고
    이게 민생 문제도 아니고 자기들간의 세력다툼으로 되어 이를테면 세자책봉 하는데도 저런 양상으로 나뉘어
    대립되었다니 이해가 갈만도 하네요.
    나중엔 영정조가 탕평책을 펴서 누그러졌다고 하나 그게 또 세도정치로 변질되어 주선후기엔 그 모양이 되었죠.

    그리고 종기가 있는 왕들도 많았다는데 이게 지금의 면역, 혈관과 관련된 현대병 같은 성인병이나 아토피 같은거라네요. 예전 못살던 대다수의 서민들에겐 없는 병이라고 해요.
    서민들이야 전염병이 돌아 많이들 죽었지만 영양과잉으로 발생되는 이런 병으로 죽는 사람은 없었다고.
    왕은 산해진미 기름진 음식에 각종 보약에 주안상이다 뭐다 해서 밤에도 야식에 알콜에 운동은 안하고 그러니 몸이 비대해지고 현대의 성인병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 거겠죠.

  • 22. 울화병, 홧병보니
    '15.11.7 11:35 AM (211.202.xxx.240) - 삭제된댓글

    조선시대 왕이란 자리들이 참 고달펐구나 싶네요.
    조선시대 하면 떠오르는게 당파싸움인데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노론, 소론으로 분열되어 싸우고
    이게 민생 문제도 아니고 자기들간의 세력다툼으로 되어 이를테면 세자책봉 하는데도 저런 양상으로 나뉘어
    대립되었다니 이해가 갈만도 하네요.
    나중엔 영정조가 탕평책을 펴서 누그러졌다고 하나 그게 또 세도정치로 변질되어 주선후기엔 그 모양이 되었죠.

    그리고 종기가 있는 왕들도 많았다는데 이게 지금의 면역, 혈관과 관련된 현대병 같은 성인병이나 아토피 같은거라네요.
    예전 못살던 대다수의 서민들에겐 없는 병이라고 해요.
    서민들이야 전염병이 돌아 많이들 죽었지만 영양과잉으로 발생되는 이런 병으로 죽는 사람은 없었다고.
    왕은 산해진미 기름진 음식에 각종 탕재 보약에 주안상이다 뭐다 해서 밤에도 야식에 알콜에 운동은 안하고
    그러니 몸이 비대해지고 현대의 성인병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 거겠죠.

  • 23. 울화병, 홧병보니
    '15.11.7 11:36 AM (211.202.xxx.240) - 삭제된댓글

    조선시대 왕이란 자리들이 참 고달펐구나 싶네요.
    조선시대 하면 떠오르는게 당파싸움인데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노론, 소론으로 분열되어 싸우고
    이게 민생 문제도 아니고 자기들간의 세력다툼으로 되어 이를테면 세자책봉 하는데도 저런 양상으로 나뉘어
    대립되었다니 이해가 갈만도 하네요.
    나중엔 영정조가 탕평책을 펴서 누그러졌다고 하나 그게 또 세도정치로 변질되어 주선후기엔 그 모양이 되었죠.

    그리고 종기가 있는 왕들도 많았다는데 이게 지금의 면역, 혈관과 관련된 현대병 같은 성인병이나 아토피 같은거라네요.
    예전 못살던 대다수의 서민들에겐 없는 병이라고 해요.
    서민들이야 전염병이 돌아 많이들 죽었지만 영양과잉으로 발생되는 이런 병으로 죽는 사람은 없었다고.
    왕은 산해진미 기름진 음식에 각종 탕재 보약에 주안상이다 뭐다 해서 밤에도 야식에 알콜에 운동은 안하고
    그러니 몸이 비대해지고 현대의 성인병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 거겠죠.
    세종도 지금 만즐어진 이미지와는 다르게 비만이었다고 합니다.

  • 24. 울화병, 홧병보니
    '15.11.7 11:37 AM (211.202.xxx.240)

    조선시대 왕이란 자리들이 참 고달펐구나 싶네요.
    조선시대 하면 떠오르는게 당파싸움인데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노론, 소론으로 분열되어 싸우고
    이게 민생 문제도 아니고 자기들간의 세력다툼으로 되어 이를테면 세자책봉 하는데도 저런 양상으로 나뉘어
    대립되었다니 이해가 갈만도 하네요.
    나중엔 영정조가 탕평책을 펴서 누그러졌다고 하나 그게 또 세도정치로 변질되어 주선후기엔 그 모양이 되었죠.

    그리고 종기가 있는 왕들도 많았다는데 이게 지금의 면역, 혈관과 관련된 현대병 같은 성인병이나 아토피 같은거라네요.
    예전 못살던 대다수의 서민들에겐 없는 병이라고 해요.
    서민들이야 전염병이 돌아 많이들 죽었지만 영양과잉으로 발생되는 이런 병으로 죽는 사람은 없었다고.
    왕은 산해진미 기름진 음식에 각종 탕재 보약에 주안상이다 뭐다 해서 밤에도 야식에 알콜에 운동은 안하고
    그러니 몸이 비대해지고 현대의 성인병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 거겠죠.
    세종도 지금 만들어진 이미지와는 다르게 비만이었다고 합니다.

  • 25. ㅡㅡ
    '15.11.7 11:38 AM (210.126.xxx.6) - 삭제된댓글

    지나친 방사..만 눈에 쏙

  • 26. ㅇㅇ
    '15.11.7 11:42 AM (211.212.xxx.236) - 삭제된댓글

    간장게장과 감을 줬는데 그 두개가 상극인데다
    경종이 원체 몸이 약해서 먹고있던 약과는 정말 상극극이었죠.
    영정조 둘다 머리 좋기로 유명하고 책 많이 읽고 의학에도
    밝았는데 그럼 영조는 그런 문헌을 읽은 적이 있느냐.
    영조가 읽은 문헌을 샅샅이 뒤진결과. 분명히 그 상극관계에 대해 기술한 문헌이 있었다는거죠.

  • 27. 과로는
    '15.11.7 12:10 PM (221.143.xxx.203) - 삭제된댓글

    이해되네요.
    실록을 보면 왕은 쉬는 날없이 거의 업무 매일 보고를 받았더라구요.
    아파서 누운날빼고...

  • 28. 과로는
    '15.11.7 12:10 PM (221.143.xxx.203) - 삭제된댓글

    이해되네요.
    실록을 보면 왕은 쉬는 날도 없이 거의 업무 매일 보고를 받았더라구요.
    아파서 누운날빼고...

  • 29. 흠~~
    '15.11.7 2:05 PM (221.147.xxx.122)

    조선왕조실록 들여다 보고 있었는데..
    이것도 참고자료가 되겠네요..

  • 30. 더블준
    '15.11.7 5:36 PM (175.113.xxx.48)

    고종이 독살 당했나요?

  • 31.
    '15.11.7 11:40 PM (103.245.xxx.126) - 삭제된댓글

    저 시대로 가고 싶어져요. 직접 보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7705 지금 좋은아침 하우스 나오는 집 6 .. 2015/12/10 2,252
507704 예비고1 수학 얘기에 수학정석 I, II 많이 나오는데 기본인가.. 4 예비고1 수.. 2015/12/10 1,399
507703 자사고다니는 아들을 둔 친구 6 .... 2015/12/10 2,855
507702 친정 제사는? 48 궁금 2015/12/10 4,164
507701 외도의 심리학 5 .. 2015/12/10 3,983
507700 선생님 같은 이미지 7 코흐 2015/12/10 2,903
507699 부동산하고 싸웠어요 6 아파트등기 2015/12/10 2,856
507698 모직이랑 아크릴머플러 자르면 이상할까요? 3 .. 2015/12/10 433
507697 실리콘 마사지 글러브 써보신분..?? 2 때수건 2015/12/10 644
507696 ‘서울시 비방·강남구 칭송’ 댓글이 지워지고 있다 4 세우실 2015/12/10 679
507695 해독주스 좋나요? 5 파워업 2015/12/10 1,852
507694 앞니가 마모됐는데요 5 환자 2015/12/10 2,413
507693 수의학과 나오시거나 재학자녀분두신분계신지요 5 하트하트 2015/12/10 2,872
507692 세탁기 가격 차이 2 때인뜨 2015/12/10 3,061
507691 오래전에 혼자 공부하는 학생에게 필요한 수학 강의 올려주신 분이.. 49 수학 2015/12/10 1,924
507690 60대인데 며느리 시켜서 제사지내는 건 왜인가요? 22 ?? 2015/12/10 4,981
507689 저희 엄마의 무섭고 신기하고 슬픈이야기 10 엄마 사랑해.. 2015/12/10 6,110
507688 아시는 분 도움 좀 달리 2015/12/10 397
507687 2015년 12월 10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5/12/10 454
507686 생각나는 우리 할머니 제사 이야기 6 소랑소랑 2015/12/10 2,735
507685 과학고등학교에서 최하위권이면 대학을 어느 정도 가나요 12 교육 2015/12/10 5,524
507684 미국 대리군대, 일본..대테러센터 개소 1 proxy .. 2015/12/10 474
507683 웃음일 없는데 웃고 싶으신 분들 여기로~~ 8 복분자 2015/12/10 2,288
507682 이 주부 육아만화 제목좀요 3 2015/12/10 888
507681 한국의 간추린 역사 1 Bbc 2015/12/10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