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보수 개신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친일반공교회 조회수 : 975
작성일 : 2015-11-04 20:55:03
http://www.vop.co.kr/A00000954072.html

보수 개신교가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정부와 발맞춰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무엇일까?

보수 개신교가 발표한 성명서에서 개신교에 대해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되었으며, 해방 후에는 이 땅에 자유 민주주의 국가를 세우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말한 대목도 사실과 다르다. 우리나라 개신교 가운데 일부가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보수 개신교를 비롯한 상당수 교회들은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 압력에 무릎을 꿇었다. 단순히 압력에 굴복하는 차원을 넘어 일제의 내선일체 정책과 이에 따른 전쟁 수행에 앞장섰다.

1930년대 후반부터 일제는 일반 개신교인들에게까지 경찰력을 동원해 신사 참배와 국가의식 참여를 강요했다. 그리고 개별 교회는 물론 교단 총회에도 신사참배 결의를 요구했다. 각 노회와 교단들의 신사참배 결의가 이어졌다. 1938년 9월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는 선언문을 통해 “우리들에게 신사는 종교가 아니다. 또 그리스도교의 교리에 반대되지 않는 본의를 이해하여 신사참배는 애국적 국가의식인 것을 자각한다. 그리하여 여기서 신사참배를 솔선여행하고 나아가 국민정신 총동원에 참가함으로써 시국 하에 있어서 후방황국신민으로 하여금 정성을 다할 것을 기함”이라고 밝혔다.

결의에 이어 부회장과 각 노회장들이 총회를 대표하여 즉시 평양신사에 직접 참배했다. 또 “후방황국신민으로 하여금 정성을 다할 것”이라는 결의를 바탕으로 일제의 전쟁에 적극 협력했다. 신도대회를 개최해 소속 신도들과 학생 등 3천여 명이 모여 조선총독부 광장에서 미나미 총독의 격려사를 듣고, 조선신궁을 참배한 뒤에 ‘황군의 무운장구’를 빌기도 했다. 1940년대엔 성금을 모금해 일제에 비행기를 헌납하기도 했다. 장로교는 물론 감리교 등 당시 대부분의 개신교회가 일제에 굴복했다. 주기철 목사 등 일부 개신교인들이 신사참배에 저항했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묻히고 말았다.

이때부터 보수개신교는 친일과 함께 반공의 길을 걸었다. 반공이 자신들의 신념에 맞았기 때문이 아니라 반공이 일본제국주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하나의 방식이기 때문이었다. 일제로부터 비롯된 반공은 이후 해방 공간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해방이후 권력을 장악한 친일파들이 그러했듯이 보수개신교도 반공을 기치로 내걸고 권력에 협조하며 신분 변신에 나섰다. 일제 강점기엔 일제에 협력했고, 뒤이어 독재정권이 들어선 뒤에는 독재 정권에 협조를 아끼지 않았다. 지금도 악명 높은 우익단체인 서북청년단의 핵심은 대부분 보수 개신교인들이었다.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극우세력에 의해 수많은 국민이 ‘빨갱이’로 몰려 죽임을 당해야만 했다.

그들이 섬기는 신은 하나님이 아니라 권력이다

보수 개신교에게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일제에 부역하고, 독재에 협력한 과거에 대한 신분세탁이다. 이는 친일의 후예들인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 현 지배세력의 이익과도 맞물리는 대목이다. 현재의 역사교과서에서도 개신교의 친일은 거의 기록돼있지 않다. 하지만 역사교과서가 국정화되면 친일의 과거는 지워지고 앞서 보수개신교가 성명에서 밝혔듯 자신들이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되었다고 역사는 왜곡될 것이다. 독재 정권에 부역하고, 해방 공간에서 극우적 행태를 보인 과거는 “특별히 해방 후 많은 사람들이 이념의 혼란 가운데서 우왕좌왕할 때, 기독교인들은 이 땅에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분명한 신념을 가지고 대한민국의 건국을 위해서 노력했다”고 미화될 것이다.

IP : 222.233.xxx.2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친일반공교회
    '15.11.4 8:55 PM (222.233.xxx.22)

    [기자수첩] 보수 개신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http://www.vop.co.kr/A00000954072.html

  • 2. 유황불로 꼬실려 무저갱에 처박아도 시원찮을 것들
    '15.11.4 9:11 PM (110.47.xxx.57)

    '내 앞에 다른 신을 두지마라'는 십계명의 제 1계명을 어기고 신사참배에 솔선수범한 것들이 예수쟁이들이였고, 그나마 주기철 목사 포함 일부 교인들(뒤에 고신이 됨)도 독립운동 차원이 아니라 일본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라는 의미로 신사참배를 거부했던 것이었다.
    주기철 목사와 우리집안이 인연이 있어서 좀 안다.
    우리집안도 친가와 외가 양쪽이 모두 초대교인 출신으로 고신과 합동쪽에 상당한 지분이 있었어.

  • 3. ....
    '15.11.4 10:02 PM (218.51.xxx.135)

    일제강점기 개신교의 기세가 가장 높았던 지역은 평양이고, 그 가운데 숭실이 있었습니다.
    ‘3숭’이라고 불렸던 숭실학교, 숭의여학교, 숭실전문 세 학교는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1938년 자진 폐교를 선택합니다.
    당시 대부분의 개신교 학교들은 신사참배는 종교 행사가 아니고 국가의식이기 때문에 ‘우상숭배’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신사참배를 합리화했습니다.

    그러나 평양의 3숭은 종교행사, 국가의식으로서의 신사참배를 모두 거부했습니다.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이 작동한 것입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일부 선교사들은 미국의 북장로교 교단에 ‘우상숭배 금지’ 차원에서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학교 폐쇄를 한다고 보고하지만, 조선 학생들의 독립정신에 공감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결과 해방 후에 남한에 세 학교의 졸업생들이 학교를 재건하지만, 처음과 같은 명성을 얻지 못합니다.
    반면 신사참배에 적극 동참한 연희, 이화는 명문으로 등극하지요.

    이것은 독립운동의 후예와 친일파의 후예가 다른 삶을 사는 것과 유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444 아름다운 나의 정원.. 9 .. 2016/01/03 2,816
514443 우연히 검색하다 보게 됐는데... 정말 있을 수 없는 일이었네요.. 4 상상 할 수.. 2016/01/03 3,197
514442 정명ㅎ씨 얼굴 탁하고 더럽다고 느껴오셨던 분 없나요. 14 ..... 2016/01/03 5,002
514441 10년된 부엌과욕실 3 웅자 2016/01/03 2,053
514440 박정희를 부정하는 한 진보가 다수가 될 수는 없어 !!- 표창원.. 8 .... 2016/01/03 1,053
514439 달력 공짜로 어디서 받으세요? 13 ... 2016/01/03 3,698
514438 대리점에서 일반폰으로 번호이동도 가능할까요? 핸드폰 2016/01/03 487
514437 청소는 정말 귀찮은데 막상 하고 나니 뿌듯해요 4 으아 2016/01/03 1,822
514436 백종원 만능간장 만든 후 사용된 고기 는 어떻게 쓰나요? 6 질문 2016/01/03 2,690
514435 여행일년에 몇번 가시는편이세요..?? 13 .. 2016/01/03 2,691
514434 고혈압 약 부작용인지 봐주세요 2 Gkfkd 2016/01/03 2,476
514433 미간에 보톡스 자꾸 맞으면 나중에는 효과가 없나요? 6 Aaa 2016/01/02 4,168
514432 따뜻한 바닥을 즐기는 고양이 4 .... 2016/01/02 1,642
514431 이삿짐센터에서 가구 몇개만 내려주기도 하나요 3 이동 2016/01/02 1,316
514430 수학 선수는 의미없을까요? 4 예비고 2016/01/02 1,360
514429 치밀 유방이 위험한건가요 12 .. 2016/01/02 6,455
514428 올 겨울은 2 그냥 2016/01/02 1,034
514427 항공권 문의 1 gkdrhd.. 2016/01/02 744
514426 전세2억8천근처 어디에서 찾음 될까요? 4 ㅜㅜ 2016/01/02 2,489
514425 EBS에서 지금 로마의 휴일 하네요. 3 헵번 2016/01/02 956
514424 남자란동물들은 어쩜 그리착각을 하고살까요? 14 아니 2016/01/02 5,452
514423 컴작업 많이하시는분들 6 2016/01/02 1,239
514422 박지원 머리좋네 1 .. 2016/01/02 2,667
514421 매일 쓰는 식기 추천 좀..중국산 괜찮을까요? 4 ㅇㅇㅇㅇ 2016/01/02 1,213
514420 백세시대라는데 8 오늘느낀 2016/01/02 2,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