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보수 개신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친일반공교회 조회수 : 940
작성일 : 2015-11-04 20:55:03
http://www.vop.co.kr/A00000954072.html

보수 개신교가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정부와 발맞춰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무엇일까?

보수 개신교가 발표한 성명서에서 개신교에 대해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되었으며, 해방 후에는 이 땅에 자유 민주주의 국가를 세우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말한 대목도 사실과 다르다. 우리나라 개신교 가운데 일부가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보수 개신교를 비롯한 상당수 교회들은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 압력에 무릎을 꿇었다. 단순히 압력에 굴복하는 차원을 넘어 일제의 내선일체 정책과 이에 따른 전쟁 수행에 앞장섰다.

1930년대 후반부터 일제는 일반 개신교인들에게까지 경찰력을 동원해 신사 참배와 국가의식 참여를 강요했다. 그리고 개별 교회는 물론 교단 총회에도 신사참배 결의를 요구했다. 각 노회와 교단들의 신사참배 결의가 이어졌다. 1938년 9월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는 선언문을 통해 “우리들에게 신사는 종교가 아니다. 또 그리스도교의 교리에 반대되지 않는 본의를 이해하여 신사참배는 애국적 국가의식인 것을 자각한다. 그리하여 여기서 신사참배를 솔선여행하고 나아가 국민정신 총동원에 참가함으로써 시국 하에 있어서 후방황국신민으로 하여금 정성을 다할 것을 기함”이라고 밝혔다.

결의에 이어 부회장과 각 노회장들이 총회를 대표하여 즉시 평양신사에 직접 참배했다. 또 “후방황국신민으로 하여금 정성을 다할 것”이라는 결의를 바탕으로 일제의 전쟁에 적극 협력했다. 신도대회를 개최해 소속 신도들과 학생 등 3천여 명이 모여 조선총독부 광장에서 미나미 총독의 격려사를 듣고, 조선신궁을 참배한 뒤에 ‘황군의 무운장구’를 빌기도 했다. 1940년대엔 성금을 모금해 일제에 비행기를 헌납하기도 했다. 장로교는 물론 감리교 등 당시 대부분의 개신교회가 일제에 굴복했다. 주기철 목사 등 일부 개신교인들이 신사참배에 저항했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묻히고 말았다.

이때부터 보수개신교는 친일과 함께 반공의 길을 걸었다. 반공이 자신들의 신념에 맞았기 때문이 아니라 반공이 일본제국주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하나의 방식이기 때문이었다. 일제로부터 비롯된 반공은 이후 해방 공간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해방이후 권력을 장악한 친일파들이 그러했듯이 보수개신교도 반공을 기치로 내걸고 권력에 협조하며 신분 변신에 나섰다. 일제 강점기엔 일제에 협력했고, 뒤이어 독재정권이 들어선 뒤에는 독재 정권에 협조를 아끼지 않았다. 지금도 악명 높은 우익단체인 서북청년단의 핵심은 대부분 보수 개신교인들이었다.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극우세력에 의해 수많은 국민이 ‘빨갱이’로 몰려 죽임을 당해야만 했다.

그들이 섬기는 신은 하나님이 아니라 권력이다

보수 개신교에게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일제에 부역하고, 독재에 협력한 과거에 대한 신분세탁이다. 이는 친일의 후예들인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 현 지배세력의 이익과도 맞물리는 대목이다. 현재의 역사교과서에서도 개신교의 친일은 거의 기록돼있지 않다. 하지만 역사교과서가 국정화되면 친일의 과거는 지워지고 앞서 보수개신교가 성명에서 밝혔듯 자신들이 “일제의 암흑기에는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가 되었다고 역사는 왜곡될 것이다. 독재 정권에 부역하고, 해방 공간에서 극우적 행태를 보인 과거는 “특별히 해방 후 많은 사람들이 이념의 혼란 가운데서 우왕좌왕할 때, 기독교인들은 이 땅에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는 분명한 신념을 가지고 대한민국의 건국을 위해서 노력했다”고 미화될 것이다.

IP : 222.233.xxx.2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친일반공교회
    '15.11.4 8:55 PM (222.233.xxx.22)

    [기자수첩] 보수 개신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는 까닭은?
    http://www.vop.co.kr/A00000954072.html

  • 2. 유황불로 꼬실려 무저갱에 처박아도 시원찮을 것들
    '15.11.4 9:11 PM (110.47.xxx.57)

    '내 앞에 다른 신을 두지마라'는 십계명의 제 1계명을 어기고 신사참배에 솔선수범한 것들이 예수쟁이들이였고, 그나마 주기철 목사 포함 일부 교인들(뒤에 고신이 됨)도 독립운동 차원이 아니라 일본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라는 의미로 신사참배를 거부했던 것이었다.
    주기철 목사와 우리집안이 인연이 있어서 좀 안다.
    우리집안도 친가와 외가 양쪽이 모두 초대교인 출신으로 고신과 합동쪽에 상당한 지분이 있었어.

  • 3. ....
    '15.11.4 10:02 PM (218.51.xxx.135)

    일제강점기 개신교의 기세가 가장 높았던 지역은 평양이고, 그 가운데 숭실이 있었습니다.
    ‘3숭’이라고 불렸던 숭실학교, 숭의여학교, 숭실전문 세 학교는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1938년 자진 폐교를 선택합니다.
    당시 대부분의 개신교 학교들은 신사참배는 종교 행사가 아니고 국가의식이기 때문에 ‘우상숭배’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신사참배를 합리화했습니다.

    그러나 평양의 3숭은 종교행사, 국가의식으로서의 신사참배를 모두 거부했습니다.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이 작동한 것입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일부 선교사들은 미국의 북장로교 교단에 ‘우상숭배 금지’ 차원에서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학교 폐쇄를 한다고 보고하지만, 조선 학생들의 독립정신에 공감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결과 해방 후에 남한에 세 학교의 졸업생들이 학교를 재건하지만, 처음과 같은 명성을 얻지 못합니다.
    반면 신사참배에 적극 동참한 연희, 이화는 명문으로 등극하지요.

    이것은 독립운동의 후예와 친일파의 후예가 다른 삶을 사는 것과 유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9037 새누리 대변인 입에서 나온 '민생파탄' 인정 1 이장우 2015/11/10 664
499036 김제동의 톡투유 3 톡투유 2015/11/10 1,442
499035 손석희 어쩌다 저렇게 되었나요 ? 49 불쌍해요 2015/11/10 27,220
499034 내게 이런 시련이... 2 뽕여사 2015/11/10 1,172
499033 조개 넣고 미역국 끓일 때) 멸치다시물 vs 맹물 5 요리 2015/11/10 965
499032 비닐접착기 3 잘쓸지 2015/11/10 920
499031 혹시 -국제 전화입니다- 라고 전화오는것 17 보이스피싱 2015/11/10 33,672
499030 카톡 단톡방 중에서 한개만 무음으로 할수있나요? 8 소음공해수준.. 2015/11/10 2,304
499029 강북 30평대랑 송파 20평대 중에 고르라면... 7 나나 2015/11/10 1,790
499028 숯(백탄)이나 솔방울 가습기 써보신분들 정말 가습 잘 되나요? 4 소라랑 2015/11/10 2,170
499027 노유진 올라왔네요! 6 11 2015/11/10 1,273
499026 진액 vs 분말 중 활용도 높은걸로 알려주세요 49 홍삼구입 2015/11/10 713
499025 아이유가 멘탈갑인 이유 손님 2015/11/10 1,612
499024 크로스백 7 여행가방 2015/11/10 1,691
499023 아이유 지탄의 이유 4 아이유 2015/11/10 1,274
499022 밴드처럼 카톡을 pc만으로 사용 못하나요? 2 카톡 2015/11/10 930
499021 저 진짜 궁금해서요 그 배우분 아들 글 왜 없어졌나요? 9 짱아 2015/11/10 2,666
499020 급질) 39주인데 이슬이 비쳤어요 6 산모 2015/11/10 1,762
499019 남편이 둘째 너무 이뻐하지 말래요 버릇 없어진다고,,, 3 111 2015/11/10 1,334
499018 박근혜 정부, 세월호 특조위 예산 편성 ‘0원’ 충격! 11 사사건건방해.. 2015/11/10 867
499017 과후배 남자동생의 여성관이 충격적이네요 43 . 2015/11/10 18,950
499016 썩어가는 대중음악...ㅠ 49 미쳐돌아가는.. 2015/11/10 1,253
499015 제주도 19년만에 갑니다 6 감사합니다 2015/11/10 1,681
499014 2015년 11월 10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5/11/10 487
499013 미얀마 국민들 수준이 우리보다 높네요 23 2015/11/10 2,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