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고혈압은 병이아니다

고혈압 병아냐 조회수 : 5,903
작성일 : 2015-11-01 16:16:04
지금 당장 혈압약을 버려라!


고혈압이 병이라는 것은 새빨간 거짓말
현직 의사가 고혈압에 관한 기존의 상식을 정면으로 비판하면서 고혈압 치유의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는 책. 40여 년 동안 10만 명을 진찰한 경험과 다양한 연구 자료를 통해 ‘고혈압은 질병이 아니라 제약회사의 이익 때문에 만들어진 허구의 병’이라는 충격적인 내용을 설득력 있게 풀어내고 있다.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라는 제목의 이 책에서 저자는 ‘고혈압은 전혀 걱정할 게 못 된다’며 기존의 건강 상식에 반기를 든다.
‘고혈압증’이란 말에는 ‘증’이 붙는데도 ‘증상’이 없다. 즉 아프다거나 괴로운 증상이 없다는 얘기다. 딱 잘라 말하면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약간 신경 쓰이는 정도의 혈압이 큰 병을 일으킬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고혈압이 국민병이라는 것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뇌경색은 혈압약을 처방한 의사가 만든다
그렇다면 수많은 고혈압 환자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일본에서 환자 수가 대략 5500만 명에 달할 정도로 엄청난데 말이다.
“제약회사와 어용학자가 모두 한통속이 되어 ‘혈압이 높으면 뇌졸중이나 심장병을 일으키기 쉽다. 방치하면 큰일 난다’는 캠페인을 벌이며 ‘고혈압 위험론’을 퍼뜨렸기 때문이다. ‘고혈압증’이야말로 제약회사의 이익 때문에 만들어진 허구의 병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혈압이 높아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가령현상이지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약을 복용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한다. 많은 사람이 필요하지도 않은 혈압 치료를 위해 비싼 치료비를 ‘강요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몸이 스스로 혈압을 높이는 것은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다. 혈압이 180이어도 괜찮다. 오히려 약으로 혈압을 떨어뜨리는 것은 목숨을 앗아가는 것과 같은 행위다. 뇌경색은 혈압약을 처방한 의사가 만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혈압약을 끊으면 몸이 더 좋아진다
저자는 ‘혈압약을 먹으면 암이나 치매에 걸릴 수 있다’며 혈압약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혈압약을 끊으면 몸이 더 좋아진다’는 저자의 고혈압 대처법은 아주 간단하다.
“내버려두라. 이게 전부다. 가정용 혈압 측정기를 가지고 있다면, 지금 당장 내다 버려라. 그런 측정기는 마음을 어둡게 하고 질병으로 이끌 뿐이다.”
이 책을 통해서 저자는 ‘의사나 제약회사가 하라는 대로 따라하지 말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고 강조한다. 그리고 혈압 걱정에서 자유로워지면 몸도 마음도 건강해진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혈압은 신경 쓰지 않는 편이 좋다. 아니, 오히려 신경을 써서는 안 된다. 혈압에 신경 쓰는 행위 자체가 스트레스이고, 그런 부정적인 생각이 되레 많은 병을 불러일으킨다.”
건강 진단 결과, 혈압이 높다는 말을 듣고 걱정이 태산 같던 당신이 이 책을 읽는다면, 분명히 환한 웃음을 지으며 질병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 될 것이다.
IP : 221.165.xxx.170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에휴
    '15.11.1 4:17 PM (124.53.xxx.178) - 삭제된댓글

    에휴, 게시판에 어떤 글을 쓰시던지 자유지만
    이런 글은 좀 책임감 있는 내용을 쓰시면 좋겠어요.

  • 2. 리봉리봉
    '15.11.1 4:21 PM (211.208.xxx.185)

    진짜요?
    어쩐지 미국은 그렇게 많이 약먹지 않는다 하더라구요.
    우린 140부터 먹잖아요.
    아는 할머니 170인데 안드셔서 늘 걱정했더니 여전히 안드시고 멀쩡하시더라구요.

  • 3. 샬랄라
    '15.11.1 4:23 PM (125.176.xxx.237)

    저도 이런 내용을 보았고
    그래서 약을 중단해본 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스트레스 받으니까 눈에 실핏줄이 터지더군요.
    그때 혈압을 측정하면 좀 높게 나옵니다.

    바로 또 약을 먹습니다.
    눈은 정말 중요하니까요
    그리고 실핏줄이 터질때 좀 많이 따꼼하죠.

    좀 아시는 분들 댓글 부탁드립니다.

  • 4. 샬랄라
    '15.11.1 4:24 PM (125.176.xxx.237)

    제 생각입니다만 140이라면 약없이도 괜찮을 것 같은데.....

  • 5. 저자가 누구?
    '15.11.1 4:26 PM (14.39.xxx.57) - 삭제된댓글

    저자가 누구인지 밝히지고 않고
    책 제목과 요약 내용만 올리시면 어떡해요?
    알아서 검색하고 책 사라는 건가요?
    남편이 고혈압약 복용중이라 솔깃하기는 한데
    검증된 의사이고 저자인지
    그냥 일종의 가설인지...

  • 6. 이런글
    '15.11.1 4:39 PM (121.161.xxx.86)

    지난번에도 올라왔던것 같은데
    그때 댓글 대부분은 쓰러지면 책임질거냐 였던것같은데요

    예전과 비교해서 큰병원 내과의사들이 힘든일이 많이 줄었대요
    왜냐면 고혈압으로 쓰러지고 나서 오는 사람이 약복용덕에 엄청 많이 줄어들어서요

  • 7. 글쎄..
    '15.11.1 4:56 PM (222.101.xxx.103)

    누구나에게 해당되는 얘긴 아닙니다 뇌졸증으로 쓰러지면 책임질수 없잖아요

  • 8. 상당히 극단적
    '15.11.1 5:01 PM (73.199.xxx.228)

    새빨간 거짓말, 전혀 걱정할 일이 아니다,....이런 표현은 어디 삐라나 찌라시에 나올 만한 표현 아닌가요. 게다가 혈압이 180이라도 걱정하지 말라니요. 병원에서 일하는 저로서는 위험천만이네요.
    사람 몸에 대해 '전혀'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리고 '사실이 아니다'도 아니고 '새빨간 거짓말'이라니...공산당이 싫어요도 아니고.

    뭐, 선택은 각자의 몫이지만 자신의 상태에 대해 잘 알지 못한채로 이 책만 읽고 그대로 따라하다가는 환한 웃음을 지으며 질병과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과 멀어질 것 같네요.

  • 9. docque
    '15.11.1 5:03 PM (121.132.xxx.247)

    고혈압이 병이 아니란 말에는 동의 하기 어렵습니다.

    중증의 지속적인 고혈압은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결국 혈관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무조건 고혈압 약에만 의지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고혈압을 방치하는 것도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10. 고혈압은
    '15.11.1 5:19 PM (221.139.xxx.129)

    다른 병의 원인이라기보다는
    심혈관 질환의 결과 혈압이 상승 내지는 떨어지는게 아닌가 생각되요
    예를 들어 혈관이 딱딱해지는 동맥경화가 되면
    당연히 혈관이혈액양의 증감에 빨리 팽창수축 대응하지 못하니
    혈압이 상승하던가 저하되던가 하겠지요
    그리고 혈관에 플라그나 혈전이 쌓여있어 좁아진 경우에도
    혈관의 단면적이 좁아지고 혈액양이 그대로 유지 된다면
    결과는 고혈압이되겠죠...


    혈관의 압력인 고혈압.. 저혈압은
    우리가 사용하는 수도관의 압력을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

    수도관이 적당히 말랑말랑하게 탄력을 유지해서
    추운겨울에는 적당히 수축하고
    더운 여름에는 적당히 늘어나여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겠죠..

    수도관이 어느 한 부분이 꼬이거나 막혀서
    그 주위가 압력을 이기지 못해 찢어진거나 부풀어오르는것이
    여러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오는 뇌경색 뇌졸중등등 에 비교되겠네요

    어쨌든 혈압에 대해서는 쉽게 생각할 문제가 아닙니다...
    얼마전 백년손님이라는 프로에서 건강하게 출연하시던
    장모닝 한 분이 갑자기 돌아가셨는데... 고혈압으로 돌아가셨다는
    설명을 듣고 그 심각함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11. 고혈압보다
    '15.11.1 5:32 PM (221.139.xxx.129)

    혈관의 탄력도 혈관의 깨끗함 혈액이 깨끗한가?
    등등 혈압을 결정하는 원인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의외로 당뇨병이신 분들도 혈액이 끈적해져서 혈관에 이물질이 쌓이기쉽고
    혈관이 좁아져 죄졸중으로 연결되는 케이스가 흔한데 이때도 당연
    고혈압이 동반되겠죠

    또 혈관의 컨디션은 정상인데 과도하게 심장이상으로
    심장박동이 유발되어 혈류량이
    많아지거나해도.. 흥분하거나 등등...
    갑자기 일시적인 고혈압이 나타나겠죠..

    즉 고혈압은 단 순히 고혈압을 적정? 혈압에 맞게 맞춰주는 약을 처방하고
    방조할 것이 아니라...
    전문의사들이 그에 대한 원인을 찾고 치료해나가는 단계에서
    혈압이 너무 높아 다른 위험한 상화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적인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아무대은이나 탐색없이 고혈압에 고혈압 약 만 먹고 있다간..

    그 원인인 중요한 몸의 이상을 놓치는 경우도 발생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래서 진료는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 12. ㅇㅇ
    '15.11.1 5:49 PM (24.16.xxx.99)

    첫 댓글님
    미국에선 한국보다 더 열심히 혈압약 먹입니다.
    검사 결과가 있는데 약처방 안하면 제3자인 보험회사부터 난리가 나요. 환자 방치했다가 쓰러지면 그 병원비는 어마어마 하니까요.

  • 13. .....
    '15.11.1 5:56 PM (123.214.xxx.148)

    제경우 여름엔 정상혈압이 되고 겨울엔 높아져서 추워지면 혈압약 먹어요 그런데 의사샘께선 먹다 안먹다하면 클난다고 고혈압 환자는 정상치가 나와도 계속 먹어야 한다고 하더군요, 며칠전 지인이 톡을 보내왔는데 나이가 많아지면 혈압도 높아지는게 정상이라고 너무 높지않으면 먹지않는게 좋다고 하더군요 . 여기서 고혈압약 오래 먹으면 치매걸릴 확률 높다는 글도 봤는데... 걱정이 많아 지네요.

  • 14. ..
    '15.11.1 5:59 PM (124.111.xxx.170) - 삭제된댓글

    미국 일본이 최근에 혈압약 복용기준을 올렸어요..
    149에 94까지는 약 복용안해도 된다고 기준치를 올렸더군요.

  • 15.
    '15.11.1 6:03 PM (211.36.xxx.31)

    혈압약 복용중인데 고민되네요

  • 16. ㅣㅣ
    '15.11.1 6:10 PM (124.199.xxx.246)

    고혈압정보 저장하네요~

  • 17. ㅡㅡ
    '15.11.1 6:11 PM (175.223.xxx.160) - 삭제된댓글

    고혈압 병이 아니라는데는 반대. 하지만 약아닌 식습관으로 교정 될 수 있다봐요. 유전적인 아닌 생활습관적이면 약에 의존하지말고 본인습관만 바뀌어도 개선 되던데요.
    저희 남편 170 190 이랬는데 저랑 살면서 현미 백프로 바꾸고 먹는거 무지 조심시켰더니 130 떨어지던데 본인이 두통없어지고 너무 좋아하더군요. 6개월만에 그리 됬구요. 지금껏 유지

  • 18. ㅡㅡ
    '15.11.1 6:13 PM (175.223.xxx.160) - 삭제된댓글

    고혈압 병이 아니라는데는 반대. 하지만 약아닌 식습관으로 교정 될 수 있다봐요. 유전적인 아닌 생활습관적이면 약에 의존하지말고 본인습관만 바뀌어도 개선 되던데요.
    저희 남편 170 190 이랬는데 저랑 살면서 현미 백프로 바꾸고 먹는거 무지 조심시켰더니 130 떨어지던데 본인이 두통없어지고 너무 좋아하더군요. 6개월만에 그리 됬구요. 지금껏 유지

    약 먹일려다 평생 먹어야 한다해서 협박했어요.
    평생 약먹을래 . 아님 식습관 바꿀래.
    지금은 술도 안먹어요

  • 19. ...
    '15.11.1 6:15 PM (124.111.xxx.170) - 삭제된댓글

    최근에 고혈압 약 복용한다고 해서 뇌출혈, 뇌졸증등이 감소하는 것 아니라고 뉴스에 나왔어요..
    고혈압약이 이뇨작용, 혈관 확장제등이기 때문에 장기 복용하면 안좋대요..
    생활습관을 확 바꿔서 혈압을 낮추어야 될듯해요..
    요즘 의사들 너무 약을 쉽게 사용해요.
    혈압약 부작용 검색해보면 절대 쉽게 약 복용 못해요..

  • 20. 혈압
    '15.11.1 7:20 PM (182.209.xxx.151)

    혈압 때문에 저장 해요

  • 21. ,,,,
    '15.11.1 8:04 PM (39.118.xxx.111)

    햘압 저장해요

  • 22. 저염식
    '15.11.1 8:44 PM (182.227.xxx.37)

    저염식만으로도 정상혈압 되더라구요.

  • 23. 내가 산증인
    '15.11.1 9:22 PM (220.76.xxx.231)

    모르는소리 마세요 우리친정 아버지가 고혈압이 터져서 49세에 돌아가셧어요
    우리친정 오빠가 35세에 고혈압이 잇는줄도 모르고 엄청건강해서 병원을 안가니
    아버지가 그랫으면 조심 햇어야하는데 그런게 의료지식이 풍부하던 시대가 아니라
    지금내가 고혈압약 약하게 먹어요 우리친정 영향으로 나는어려서 옛날이라 고혈압으로
    갑자기 죽는사람 우리동네에서도 여렀 보앗어요 지금노인들 고혈압검사하고 약먹으니
    오래살아요 지금노인들이 얼마나 많아요 옛날같으면 다죽고 노인 별반없을걸요
    의학이 발달해서 오래살지 지금이 재앙이요 오래살아서 옛날 사람들이 고기를 많이 먹어서
    성인병이 있을까요 짜게먹고 본태성이지

  • 24. ....
    '15.11.2 12:50 AM (175.223.xxx.105)

    고혈압 약을 먹음으로써 다른 질병을 예방 내지는 발병을 늦추는거라 생각해요.
    따라서 꼭 먹어야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277 대학입학오리엔테이션 8 ggg 2016/01/29 1,313
523276 대화법좀 알려주세요... 답답 2016/01/29 588
523275 "원전 옆에 살았더니 온 가족이 암에 걸리고 장애&qu.. 후쿠시마의 .. 2016/01/29 1,236
523274 와인에서 이산화황 표기 4 유기농 2016/01/29 2,205
523273 2~3살 연하남 ㅠㅠ ㄴㅇ 2016/01/29 2,820
523272 저도 의사 얘기 6 ... 2016/01/29 3,938
523271 새누리 현수막에 대응하는 올바른 현수막 4 ㅇㅇ 2016/01/29 1,074
523270 대학 들어가는 조카에게 축하금 얼마가 적당할까요? 12 궁금 2016/01/29 4,127
523269 옷을 다양한 색으로 입는 사람 성격은 어떤가요? 8 2016/01/29 2,979
523268 요샌 가장 팔자좋다고 느껴지고 부러운 사람은 49 .. 2016/01/29 23,070
523267 멜라토닌 효과 보신분 계세요?(불면증) 49 나만 2016/01/29 6,278
523266 이런보물같은 인재 어디서 영입을.. 대단한안목 6 진ㅈ짜 2016/01/29 2,590
523265 초등 2명 봐줄 이모에게 얼마드리면 될까요? 7 행복 2016/01/29 1,734
523264 시그널 범인이 누군지 알 것 같아요.(스포무) 12 ... 2016/01/29 6,740
523263 아들 면회와 있어요. 23 조식 2016/01/29 5,598
523262 문자 보낼 때 띄어쓰기 안하는 분들은 8 문자 2016/01/29 2,809
523261 국민의당, 김경진 변호사 등 정치평론가 4인 영입 6 탱자 2016/01/29 1,431
523260 잭블랙은 미국서 어느 정도 배우인가요? 14 ㅇㅇ 2016/01/29 5,403
523259 세월호654일) 아홉분외 미수습자님이 꼭 가족과 만나게 되시기를.. 8 bluebe.. 2016/01/29 518
523258 조혜련 아들 우주 너무 이해되요. 10 ...ㅡ 2016/01/29 11,242
523257 보라매 공원과 롯데백화점쪽 주상복합 살기 어떤가요? 9 궁금 2016/01/29 3,830
523256 이것도 입덧인가요 입덧 2016/01/29 632
523255 체하면 어지러워요 5 힘들다 2016/01/29 5,551
523254 전세자금 대출 한 달 미만으로 빌릴 수는 없나요? 2 궁금 2016/01/29 1,037
523253 피임약 효과 2 궁금 2016/01/29 1,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