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잘 상하는 음식 가르쳐주세요.

잘잘 조회수 : 1,596
작성일 : 2015-10-25 18:38:07
제가 무지 게을러서 ㅠ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어요.
밥을 한 후 남편이 설겆이.. 저는 잊어버림.. 이런 패턴이에요.
그런데 낭편이 딱 설겆이만 하는 분이라 뒷처리를 까먹어 음식이 상해서 버릴때가 많아요.
국 같은건 하루 둬도 별일 없곤 한데 몇몇 잘 상하는 음식이 있는거 같아 .알고 신경 좀 쓰려구요.
제가 잘 실수하는 음식은 호박죽이링 몇치육수..
아까도 솔치로 끓인 멸치육수 칼국수 해먹고 남은거 이상해져서 버렸어요.
이렇게 잘 상하는 음식 알고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58.230.xxx.9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25 6:41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숙주나물.

  • 2. 김흥임
    '15.10.25 6:41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뭐든 숟가락댔다가 상온에두면 잘 상합니다

  • 3. 최고
    '15.10.25 6:41 PM (115.143.xxx.202)

    잡채가 최고 잘상해요..
    육개장 같은것도..
    이것저것 섞어서 만든 반찬 종류라서 그런가봐요
    나물종류
    생선 멸치 육수 이런것도 잘상하고..
    손이 닿은것들도...

    반면 짠 음식...김치, 스파게티 소스, 짜장밥...이런건 잘 안상하더라구요

  • 4. .
    '15.10.25 6:55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침묻은 음식;;;
    두부

  • 5. 우렁된장국
    '15.10.25 6:55 PM (5.254.xxx.178) - 삭제된댓글

    음식중에 가장 신속하게 상하는 건.. 제 경험담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생굴입니다.

  • 6.
    '15.10.25 7:53 PM (119.194.xxx.208)

    윗분들 말씀이 맞구요, 국 종류는 뚜껑 닫아서 한번 화르륵 끓으면 바로 끄고 그대로 두세요. 그럼 밤새도록 잘 안상해요. 숙주 나물도 잘 쉬더군요. 뭐든 바로 냉장고류 싹 넣으시길...

  • 7. 흰 팥가루도
    '15.10.25 10:59 PM (175.223.xxx.25)

    잘 쉬고, 식혜도 잘 쉬고, 다시마 들어간 국 찌개 종류도 잘 쉬더군요. 해물도 잘 상하고요. 국 찌개 종류도 , 덜어 먹고 자주 끓여줘야 그나마 덜 쉬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0646 어린이집,유치원 돈을 긁네요 8 .... 2016/01/22 2,570
520645 소시민 결혼 글 보다가 아예 양쪽집 자체에서 도움 ..?? 4 .... 2016/01/22 1,104
520644 미국 vs 영국 어디가 나을까요? 10 어디로 2016/01/22 1,657
520643 역사학자 전우용님 트윗 3 트윗 2016/01/22 890
520642 밖에서 일하는 남동생에게 방한으로 좋은 것이 뭐가 있을까요? 6 방한 2016/01/22 939
520641 아기사랑 세탁기 쓰시는 분 계세요? 2 ... 2016/01/22 1,098
520640 지적으로 예쁜 여자 10 ㅇㅎ 2016/01/22 6,604
520639 압력솥 통 3중보다 통 5중이 더 좋겠죠? 6 닭두개면 4.. 2016/01/22 2,401
520638 카톡에 떠돌아다니는 메세지(행운의 편지 아님) 호호호 2016/01/22 685
520637 알리바바 쇼핑하기 문의 드려요. 2 봉봉 2016/01/22 1,982
520636 오늘 박지원 나가면 ^^ 2016/01/22 573
520635 대구 사시는 분께 도움 좀 구해요~ 6 대구 2016/01/22 1,068
520634 이혜훈 ˝하나님의 나라 무너뜨릴 종교, 동성애 차별금지법 막아야.. 9 세우실 2016/01/22 1,855
520633 비지니스 영어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4 따라쟁이 2016/01/22 663
520632 집이 팔렸는데 집을 계속 보여달라고 하네요 ㅠㅠㅠ 9 2016/01/22 3,872
520631 인스타그램에 사진이 안보일때 a 2016/01/22 5,663
520630 남편의 한마디에 화난게 오래가네요 5 지난 세월 2016/01/22 1,802
520629 2월에 잠원동으로 이사해서 신동초등입학을 앞두고 있는데 뭘 준비.. 2 ethics.. 2016/01/22 1,255
520628 그냥 계속 모른척해야할까요? ㅠ 3 어떻게해야할.. 2016/01/22 1,368
520627 아끼던 직원의 정치적 발언? 뜻이 궁금해요 곰곰 2016/01/22 541
520626 우리나라 여자들의 엉덩이는 왜 처졌을까? 10 처진 엉덩이.. 2016/01/22 4,321
520625 크루즈 여행 어때요? 2016/01/22 626
520624 ..이번 유치원 보육대란 일차적책임은 교육청과 교육감에 있다는 .. 15 아오 2016/01/22 1,005
520623 문대성 vs 표창원 9 .. 2016/01/22 1,881
520622 '지지율 급락'에 동교동계-김한길, 안철수 질타 11 카인 2016/01/22 2,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