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잘 상하는 음식 가르쳐주세요.

잘잘 조회수 : 1,599
작성일 : 2015-10-25 18:38:07
제가 무지 게을러서 ㅠ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어요.
밥을 한 후 남편이 설겆이.. 저는 잊어버림.. 이런 패턴이에요.
그런데 낭편이 딱 설겆이만 하는 분이라 뒷처리를 까먹어 음식이 상해서 버릴때가 많아요.
국 같은건 하루 둬도 별일 없곤 한데 몇몇 잘 상하는 음식이 있는거 같아 .알고 신경 좀 쓰려구요.
제가 잘 실수하는 음식은 호박죽이링 몇치육수..
아까도 솔치로 끓인 멸치육수 칼국수 해먹고 남은거 이상해져서 버렸어요.
이렇게 잘 상하는 음식 알고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58.230.xxx.9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25 6:41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숙주나물.

  • 2. 김흥임
    '15.10.25 6:41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뭐든 숟가락댔다가 상온에두면 잘 상합니다

  • 3. 최고
    '15.10.25 6:41 PM (115.143.xxx.202)

    잡채가 최고 잘상해요..
    육개장 같은것도..
    이것저것 섞어서 만든 반찬 종류라서 그런가봐요
    나물종류
    생선 멸치 육수 이런것도 잘상하고..
    손이 닿은것들도...

    반면 짠 음식...김치, 스파게티 소스, 짜장밥...이런건 잘 안상하더라구요

  • 4. .
    '15.10.25 6:55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침묻은 음식;;;
    두부

  • 5. 우렁된장국
    '15.10.25 6:55 PM (5.254.xxx.178) - 삭제된댓글

    음식중에 가장 신속하게 상하는 건.. 제 경험담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생굴입니다.

  • 6.
    '15.10.25 7:53 PM (119.194.xxx.208)

    윗분들 말씀이 맞구요, 국 종류는 뚜껑 닫아서 한번 화르륵 끓으면 바로 끄고 그대로 두세요. 그럼 밤새도록 잘 안상해요. 숙주 나물도 잘 쉬더군요. 뭐든 바로 냉장고류 싹 넣으시길...

  • 7. 흰 팥가루도
    '15.10.25 10:59 PM (175.223.xxx.25)

    잘 쉬고, 식혜도 잘 쉬고, 다시마 들어간 국 찌개 종류도 잘 쉬더군요. 해물도 잘 상하고요. 국 찌개 종류도 , 덜어 먹고 자주 끓여줘야 그나마 덜 쉬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494 아이슬란드여행-꽃청춘팀의 차 1 눈길 운전 .. 2016/01/30 1,590
523493 강의 나간다는 미용사인데 머리 못자를수 있나요? 거지꼴됨.. 4 라라라 2016/01/30 1,740
523492 스타킹 추천해주세요 쪼요 2016/01/30 460
523491 무한도전 오늘 내 배꼽 ㅋㅋㅋㅋㅋㅋㅋ 67 사월이 2016/01/30 17,663
523490 제주도민들 계실까요?? 7 궁금 2016/01/30 1,671
523489 오늘 오마이베이비 서우네 재밌었어요 4 2016/01/30 2,317
523488 화환이요...부주? 6 하늘 2016/01/30 1,109
523487 ktx로 인천공항까지ㅈ갈수있나요? 4 nn 2016/01/30 1,123
523486 반전세 물어봐요 4 uic 2016/01/30 1,010
523485 남편이 타인에게 송금을 잘못했어요ㅠ 15 은행 2016/01/30 5,538
523484 하지말라는거 꼭 하는 아이 어찌 가르치나요? 31 . 2016/01/30 3,674
523483 남편이 밥먹을때 꺼어꺽 거리면서 먹길래.. 4 ... 2016/01/30 2,090
523482 길모어걸스 다시 제작한다네요 12 루루~ 2016/01/30 2,933
523481 종로구청장님고마워요ㅡ"소녀상철거,이전 없다" 7 11 2016/01/30 1,415
523480 망해보니 사람되는 기분이예요 76 .... 2016/01/30 20,720
523479 전기기능사,기사자격증 7 아들 2016/01/30 2,320
523478 손예진도 동남아 필있지않나요? 19 ㄴㄴ 2016/01/30 5,629
523477 대학생 언니가 중학생 동생 졸업식 가는 게 쪽팔린 일인가요? 17 졸업식 2016/01/30 3,597
523476 고등선생님.. 반배정이미 결정난거죠? 1 궁금 2016/01/30 1,296
523475 이재명시장 무상복지 맞짱토론해요. 5 저녁숲 2016/01/30 1,070
523474 시부모님 자주 오셔서 주무시고 가면 어때요? 27 ... 2016/01/30 7,876
523473 한 달에 한 번 그날 몸살기운 2 .. 2016/01/30 827
523472 강아지 혼자 집에 3일간 둬도 되나요? 52 .. 2016/01/30 26,470
523471 버거킹 제일 맛있는 메뉴가 뭔가요? 16 버거 2016/01/30 4,705
523470 방금 학원 선생님 글 지우셨나요? 8 방금 2016/01/30 1,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