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잘 상하는 음식 가르쳐주세요.

잘잘 조회수 : 1,605
작성일 : 2015-10-25 18:38:07
제가 무지 게을러서 ㅠ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어요.
밥을 한 후 남편이 설겆이.. 저는 잊어버림.. 이런 패턴이에요.
그런데 낭편이 딱 설겆이만 하는 분이라 뒷처리를 까먹어 음식이 상해서 버릴때가 많아요.
국 같은건 하루 둬도 별일 없곤 한데 몇몇 잘 상하는 음식이 있는거 같아 .알고 신경 좀 쓰려구요.
제가 잘 실수하는 음식은 호박죽이링 몇치육수..
아까도 솔치로 끓인 멸치육수 칼국수 해먹고 남은거 이상해져서 버렸어요.
이렇게 잘 상하는 음식 알고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58.230.xxx.9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25 6:41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숙주나물.

  • 2. 김흥임
    '15.10.25 6:41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뭐든 숟가락댔다가 상온에두면 잘 상합니다

  • 3. 최고
    '15.10.25 6:41 PM (115.143.xxx.202)

    잡채가 최고 잘상해요..
    육개장 같은것도..
    이것저것 섞어서 만든 반찬 종류라서 그런가봐요
    나물종류
    생선 멸치 육수 이런것도 잘상하고..
    손이 닿은것들도...

    반면 짠 음식...김치, 스파게티 소스, 짜장밥...이런건 잘 안상하더라구요

  • 4. .
    '15.10.25 6:55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침묻은 음식;;;
    두부

  • 5. 우렁된장국
    '15.10.25 6:55 PM (5.254.xxx.178) - 삭제된댓글

    음식중에 가장 신속하게 상하는 건.. 제 경험담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생굴입니다.

  • 6.
    '15.10.25 7:53 PM (119.194.xxx.208)

    윗분들 말씀이 맞구요, 국 종류는 뚜껑 닫아서 한번 화르륵 끓으면 바로 끄고 그대로 두세요. 그럼 밤새도록 잘 안상해요. 숙주 나물도 잘 쉬더군요. 뭐든 바로 냉장고류 싹 넣으시길...

  • 7. 흰 팥가루도
    '15.10.25 10:59 PM (175.223.xxx.25)

    잘 쉬고, 식혜도 잘 쉬고, 다시마 들어간 국 찌개 종류도 잘 쉬더군요. 해물도 잘 상하고요. 국 찌개 종류도 , 덜어 먹고 자주 끓여줘야 그나마 덜 쉬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3637 박지원 송호창 전정희 국민의당 입당 23 ㅇㅇ 2016/03/01 3,751
533636 시외버스터미널 대합실에서 본 조선 tv 4 조금전 2016/03/01 926
533635 어린 여자가 돈 밝힐 수 있나요..? 16 ㅇㅇ 2016/03/01 3,660
533634 팝카드 사용법 3 자뎅까페모카.. 2016/03/01 1,408
533633 지금gsi수퍼 들어가지나요? 1 2016/03/01 543
533632 오늘 강원도쪽 다녀오신분 계세요? 6 강원도 2016/03/01 1,032
533631 아끼는 친구와 대화 시 어려운점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2016/03/01 796
533630 신혼집 지역 추천 부탁드릴게요ㅠㅠ 2 아쥬 2016/03/01 1,312
533629 김수현 드라마에서 윤소이 16 ㅡㅡ 2016/03/01 8,692
533628 박영선의원 울면서 시작하네요 19 ... 2016/03/01 5,172
533627 박영선의원 발언 시작합니다 5 11 2016/03/01 912
533626 역사학자 전우용님 트윗 1 저두 2016/03/01 1,504
533625 입주청소 경험하신곳 추천부탁드려요 4 이사 2016/03/01 1,290
533624 학부모님들, 새학기 모두 저처럼 긴장되시나요? 1 초긴장 2016/03/01 1,214
533623 끼어들기 차량 신고하면 정말 받아들여질까요? 9 급질 2016/03/01 1,374
533622 학부모총회랑 학교설명회가 같은 건가요? 2 ?? 2016/03/01 1,513
533621 장염으로 굶으니 너무...힘드네요 9 999 2016/03/01 2,350
533620 몸살이 나서 미열이 나고 머리가 아플때는 무슨 약을 먹어야 할까.. 7 .... 2016/03/01 1,778
533619 대게 먹었는데,,,대게는 별로였고 어제 2016/03/01 823
533618 그냥 혼자 살아도 잘 살아져요.. 왜 굳이 결혼하려고 하고 못하.. 23 ㅇㅇㅇㅇㅇ 2016/03/01 7,993
533617 혹시 환자용 전동침대 써보신 분 계셔요? 4 2016/03/01 1,686
533616 신랑꼴보기싫음 5 ... 2016/03/01 1,400
533615 썸남/남친이랑 통화할때 주로 무슨 말 하나요..... 1 ㅇㅇ 2016/03/01 2,607
533614 아세토 발사미코식초 1 발새ㅣㄱ 2016/03/01 717
533613 프랑스 여자들이 이쁜가요? 36 서점에 가니.. 2016/03/01 13,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