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잘 상하는 음식 가르쳐주세요.

잘잘 조회수 : 1,605
작성일 : 2015-10-25 18:38:07
제가 무지 게을러서 ㅠ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적어요.
밥을 한 후 남편이 설겆이.. 저는 잊어버림.. 이런 패턴이에요.
그런데 낭편이 딱 설겆이만 하는 분이라 뒷처리를 까먹어 음식이 상해서 버릴때가 많아요.
국 같은건 하루 둬도 별일 없곤 한데 몇몇 잘 상하는 음식이 있는거 같아 .알고 신경 좀 쓰려구요.
제가 잘 실수하는 음식은 호박죽이링 몇치육수..
아까도 솔치로 끓인 멸치육수 칼국수 해먹고 남은거 이상해져서 버렸어요.
이렇게 잘 상하는 음식 알고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IP : 58.230.xxx.9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25 6:41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숙주나물.

  • 2. 김흥임
    '15.10.25 6:41 PM (49.174.xxx.58) - 삭제된댓글

    뭐든 숟가락댔다가 상온에두면 잘 상합니다

  • 3. 최고
    '15.10.25 6:41 PM (115.143.xxx.202)

    잡채가 최고 잘상해요..
    육개장 같은것도..
    이것저것 섞어서 만든 반찬 종류라서 그런가봐요
    나물종류
    생선 멸치 육수 이런것도 잘상하고..
    손이 닿은것들도...

    반면 짠 음식...김치, 스파게티 소스, 짜장밥...이런건 잘 안상하더라구요

  • 4. .
    '15.10.25 6:55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침묻은 음식;;;
    두부

  • 5. 우렁된장국
    '15.10.25 6:55 PM (5.254.xxx.178) - 삭제된댓글

    음식중에 가장 신속하게 상하는 건.. 제 경험담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생굴입니다.

  • 6.
    '15.10.25 7:53 PM (119.194.xxx.208)

    윗분들 말씀이 맞구요, 국 종류는 뚜껑 닫아서 한번 화르륵 끓으면 바로 끄고 그대로 두세요. 그럼 밤새도록 잘 안상해요. 숙주 나물도 잘 쉬더군요. 뭐든 바로 냉장고류 싹 넣으시길...

  • 7. 흰 팥가루도
    '15.10.25 10:59 PM (175.223.xxx.25)

    잘 쉬고, 식혜도 잘 쉬고, 다시마 들어간 국 찌개 종류도 잘 쉬더군요. 해물도 잘 상하고요. 국 찌개 종류도 , 덜어 먹고 자주 끓여줘야 그나마 덜 쉬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5697 남들 다~있는티브이를 7 댓글좀 주세.. 2016/03/08 903
535696 크레메소 커피머신 가지신 분 계시나요? 1 커피머신 2016/03/08 1,310
535695 등시리고 손발 추워 미칠거 같아요 7 추위 2016/03/08 1,507
535694 더민주/국민의 당, 일주일씩 강제 휴가 보냈으면 좋겠네요 2 ㅜㅜㅜ 2016/03/08 603
535693 애들데리고 온가족이 안식년 하고싶은데 어느 나라가 좋을까요 22 꿈꾸는자 2016/03/08 5,200
535692 해피트리 살리고 싶어요.. 7 방울어뭉 2016/03/08 2,218
535691 유치원 가는 아이를 왜 배웅하지 않고 혼자 보낼까요? 29 궁금 2016/03/08 4,925
535690 고1) 공대 지망이면 어떤 동아리가 좋을까요? 4 혹시 2016/03/08 1,368
535689 사관과 신사 보셨나요? 조종사되는 과정인건가요? 6 0000 2016/03/08 1,334
535688 류준열 팬분들만) 투싼 광고 보셨어요? 9 2016/03/08 2,945
535687 뉴욕 공항은 JFK가 제일 편리한가요? 7 뉴욕 2016/03/08 1,212
535686 50될때 까지 뭘 배워야 할까요 6 .. 2016/03/08 2,175
535685 학교에서 소논문을 써내라는데... 4 고등학부모님.. 2016/03/08 1,431
535684 책을찿고있어요 따로또같이 2016/03/08 414
535683 아파트 1층 이사와 방음시설에 대한 문의 10 매지션 2016/03/08 2,108
535682 우울증일까요? 2 ㅡㅡ 2016/03/08 1,000
535681 초1 초4 총회 어떤순서로 가야할까요? 4 마눌 2016/03/08 1,166
535680 [단독]김원준, 4월 14세 연하 검사와 결혼 42 ㄷㄷㄷ 2016/03/08 18,415
535679 이걸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3 ㅇㅇ 2016/03/08 798
535678 궁합 ㅁㅁ 2016/03/08 632
535677 고슴도치 키워보신분? 4 괜찮은인생 2016/03/08 803
535676 초등3 아이가 학교에서 읽을책 4 .. 2016/03/08 649
535675 40대 중후반에 퇴사한 여성분들이요. 14 구직맘 2016/03/08 9,083
535674 자꾸 북한 사이버테러 기사가 나오는 이유 1 세우실 2016/03/08 628
535673 '걱정 말아요, 그대' 대통령 당부에도 이어지는 망명길 1 샬랄라 2016/03/08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