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공부도 취직도 다 돈이네요

씁쓸 조회수 : 2,804
작성일 : 2015-10-23 17:08:07

언제는 안그랬겠냐만은...

저는 30중반 대기업 직장인이예요.

30초반까지 고시하거나 석사하느라 취업 못했던 친구들...

32-33살에 행정고시 붙기도 하고 7급 공무원,

공기업, 노무사, 세무사, 교사된 경우가 많은데...

30넘어서까지 계속 공부만 한다는건 그만큼 집에서

뒷받침이 된다는 얘기잖아요. 아시다시피 공부하는게

뭘 크게 돈을 안써도 돈이 꽤나 많이들고...

그친구들이 했을 피눈물나는 노력도 분명 존중하지만

결국 조금 늦어도 열심히해서 되는 사람은 되나봐요.

서른 초중반까지 백수로 지내다가 하루아침에 정년보장되는

직업을 갖게된 지인들... 많이 부럽네요.

제가 열심히 벌어서 우리아이한테는 그런 버팀목이 되는

부모가 되야겠다 생각해요ㅎㅎ

물론 빨리 취직하면 좋겠지만 살아보니 인생이 뜻대로

안되는거라, 최후의 보루라도 있음 든든할거 같아요.

IP : 203.226.xxx.15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근데요.
    '15.10.23 5:19 PM (211.48.xxx.173)

    시작이 늦으면 경제적으로 그 끝이 더 약할 수도 있습니다.

    시작이 늦은 것도 무시할 수 없어요.

  • 2. 원글
    '15.10.23 5:23 PM (203.226.xxx.158)

    그거야 당연한거라고 생각해요. 일찍붙으면 제일 좋죠. 근데 저도 상위권대나왔지만 요즘 대학 5년이상은 기본이고 석사했고하면 30에나 겨우 자리잡지않나요? 30초반이 엄청나게 늦은 나이는 아닌듯해서.. 그리고 대기업다니거나 자영업하다 30후반, 40중반부터 손놓게되는거 생각하면 늦어도 정년보장되는 길로 가는게 맞는거 같아요. 세상이 너무 험해져서요...

  • 3. 끄덕끄덕...
    '15.10.23 5:56 PM (1.254.xxx.88)

    울남편 20년 전에 34세인가 35세부터 박사 끝내고 취직했어요. 그떄까지 박사하던 친구들도 몇명있었구요..
    그떄 공부를 그만큼 안했다면 여태 직장에 있을까.싶습니다. 그나마 그정도 공부해놓으니 월급도 많이 올라가구요...

  • 4. 대기업 다니면
    '15.10.23 5:59 PM (211.48.xxx.173)

    대기업 다니면 30대 후반에도 실직하게 되는 일이 종종 높나요?

  • 5. 한편으론
    '15.10.23 6:01 PM (66.249.xxx.249)

    일찍취업해서 10년에 10억 찍는 재테크 잘하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비교는 상대적인거죠. 저같으면 빨리 취업하고 재테크 열심히할듯해요. 공부오래한 사람들 경제적으로 돈 굴리는거 잘못해요. 눈이 덜 트여서.
    어떻게든 월급쟁이 오래 붙어있을 고민밖에 안하는거죠.탈출하려는 생각은 못해요.

  • 6. ..
    '15.10.23 8:21 PM (119.192.xxx.73) - 삭제된댓글

    안해보셔서 그런 말씀 하시는 거예요. 서른에 붙으면 모를까, 서른 넘어서 고시, 공무원 등에 매달리고 있으면 엄청 불안합니다. 그나마 금수저 정도 되면 망해도 집에서 처리해주겠지만 그 정도는 아니고 집에서 지원만 겨우 해줄 정도라면 딴거 하지도 못하고 정말 죽고 싶은 생각 하루에도 몇 번씩 들어요. 거기다 인생이 제일 젊을 때 칙칙하게 가고 불확실함에 불안한거 무시 못하고요... 잘된 경우, 집에서 지원 든든하게 해준 경우만 보셔서 그렇지 중간에 집 힘들어지고 나이는 많고 부모님 아프시기라도 하면 가책이 말할 수도 없어요. 남의 일이라고 너무 맑게, 긍정적으로만 보시는 것 같아요. 사람이 너무 불안하면 공부도 잘 안됩니다. 그 스트레스 안 당해보셔서 그래요. 그리고 뜻이 정말 있으셨으면 벌어가며 공부하는 사람도 많아요. 폐인된 분들은 시야에서 사라지니 이런 생각하시는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9604 돌아버리겠네여 2 ㅡㅡㅡ 2016/01/18 1,020
519603 오늘 이슈가 된 글에 달린 댓글들이 참 좋네요. ... 2016/01/18 698
519602 남편감으로 자수성가 vs 부자부모둔 사람 각각 장단점이 뭘까요?.. 11 ㅈㅁ 2016/01/18 3,638
519601 무기력증 극복하고 활력, 부지런함을 되찾으신 분 비법 공유좀 20 ㅠㅠ 2016/01/18 12,105
519600 남편회사에서 연말정산을 위해 공인인증서를 가져오라한다는데 5 연말정산 2016/01/18 2,142
519599 길거리 호떡장사는 보통 몇시까지하나요? 5 aprils.. 2016/01/18 937
519598 살다가 이혼생각 해보는거 비정상은아니죠? 18 살다가 2016/01/18 4,255
519597 중학생 아들 운동 선수 시키는것 6 리마 2016/01/18 1,397
519596 오래된 이명 치료하신 분 계신가요? 3 .. 2016/01/18 2,441
519595 진정한 인연을 만나려면 2 ㄴㄴ 2016/01/18 2,264
519594 정말 젊음이 깡패네요 49 ㅅㅅ 2016/01/18 6,067
519593 일본 유니버셜 해리포터 존 시스템 잘 아시는분 알려주세요ㅠㅠ 11 어렵다 2016/01/18 2,700
519592 2016년 1월 18일 등록된 예비후보자 1000명 돌파! 유권.. 탱자 2016/01/18 411
519591 24개월 딸아이를 어떻게 할까요? 19 ... 2016/01/18 2,905
519590 어학 공부 집에서 혼자하시는 분들요~ 5 끈기 2016/01/18 2,587
519589 예가체프 커피 맛나게 마시는방법 아시면 8 2016/01/18 2,104
519588 서강준 매력을 몰랐는데요 9 서강준 2016/01/18 4,111
519587 가난한 아프리카인들은 왜 애를 낳나요? 25 babe 2016/01/18 10,700
519586 엄마가 애증의 대상이기는 하죠 4 ;;;;;;.. 2016/01/18 1,649
519585 아베 "위안부 강제연행한 적 없다" 10 샬랄라 2016/01/18 653
519584 갑자기 김치부침개가 미치게 먹고 싶어요 14 ㄱㄱ 2016/01/18 2,830
519583 이 추위에 소녀상 지키는 아이들은 5 추워요 2016/01/18 856
519582 20억을 물려받으면 생기는 일^^ 35 카레라이스 2016/01/18 39,936
519581 제 폰이 이상한지. . 워크넷 혹시 접속 잘 되세요? 궁금 2016/01/18 860
519580 다음주 코타키나발루 여행을 가는데 19 아무것도하지.. 2016/01/18 4,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