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제 점심식사 횟집 위화감 글, 그리고 책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 조회수 : 3,944
작성일 : 2015-10-23 13:28:23
어제 점심시간에 횟집간 자녀가 선생님들로부터 위화감을 준다는 경고를 받았다며, 
그 선생님의 말이 정당한지를 묻는 글은 지워졌나요?

어제 그 일을 계속해서 생각해봤습니다.
만약 내 아이가 나에게 그것이 부당한 일이냐고 물으면 어떻게 설명을 해줘야 좋을지... 
감성적으로는 그 일이 위화감을 주기 충분한 행동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이성적으로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말빨이 딸린달까, 고민했거든요. 

그런데 책 속에서 뭔가 답을 찾았습니다 ㅎㅎㅎ 

이래서 인문학이 위대하다고 하나봐요.

움베르트에코 <연어와 여행하는 방법>입니다.

어린 주인공은 부모님한테 아이스크림 두개를 양손에 먹고 싶다며 조르지만 어른들은 사주지 않습니다.
어린 주인공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가격이 똑같은데 파이는 사주면서 왜 아이스크림 2개는 안 사주지?
어른이 된 주인공은 깨닫습니다. 

(본문입니다)

두개의 아이스크림은 부절제를 의미하게 때문이었다. 어른들이 내 청을 거절했던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었다. 
한 번에 두 개의 콘을 먹는 행위는 볼썽사나운 행위, 가난한 자들에 대한 모독이자 거짓된 특권과 부를 과시하는 행위였다. 
버릇업는 아이들이나 한꺼번에 두 개의 콘을 먹었다.


(본문 끝)

그리고 소비의 천박함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움베르트 에코의 글은 참.. 좋네요.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근데 끝을 어케 맺습니까?) 

아무쪼록 인문학이 필요한 이유(?)를 새삼 다시 느꼈습니다. ㅎㅎ 

IP : 222.110.xxx.76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23 1:31 PM (76.113.xxx.172)

    인간의 욕심의 끝을 보여줄 수 밖에 없는 자본주의에 제동을 걸어주는 장치가 바로 인문학이죠.
    오죽하면 인문학이 죽으면 나라가 망한다고 했겠어요.
    (요즘 우리나라 돌아가는 꼴을 보면 인문학을 죽어가게 만든 벌을 받는 듯.)

  • 2. ㅎㅎ
    '15.10.23 1:32 P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끝을 어떻게 맺는지 모르시니 인문학 책을 더 많이 읽으셔야 할듯 ㅎㅎ
    농담이어요 ㅎㅎ

    그래요, 절제, 중용 적당함 이런 교육이 필요해요

    책 추천 감사해요

  • 3. 아...
    '15.10.23 1:33 PM (110.47.xxx.216)

    소비에서도 약자에 대한 배려를 생각하는 것이 인문학이었군요.
    그래서 사람은 배워야 한다는 거였어요.

  • 4. ...
    '15.10.23 1:45 PM (119.192.xxx.115)

    좋은 글 감사해요.
    저도 배우고 갑니다.
    소비에서도 약자에 대한 배려를 생각할 것.

  • 5. 정말
    '15.10.23 1:55 PM (175.194.xxx.161)

    감사드립니다..
    저도 말발이 달려서 뭐라해야 하나 그랬거든요..^^

  • 6. 이글
    '15.10.23 2:10 PM (211.114.xxx.99)

    좋아요~~^^

  • 7. ....
    '15.10.23 2:15 PM (118.219.xxx.36)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래서 사람은 죽을때까지 배워야 하나봐요^^

  • 8. 밀랍고릴라
    '15.10.23 2:20 PM (166.48.xxx.23)

    가을날 정말 좋은 조언을 얻네요
    움베르토에코 꼭 기억할께요

  • 9. 가을
    '15.10.23 2:25 PM (114.202.xxx.133)

    감사합니다.
    마음이 평화로워집니다.
    절제의 소비..새기겠습니다.

  • 10. 배려
    '15.10.23 2:25 PM (221.139.xxx.195) - 삭제된댓글

    움베르트에코 참고합니다

  • 11. 배려
    '15.10.23 2:26 PM (221.139.xxx.195)

    움베르트에코 참고합니다

  • 12. 그러네요.
    '15.10.23 2:55 PM (1.235.xxx.72)

    배려없는 소비였네요.
    어젠 그 글 원글님이 뭐가 잘못이냐고 따지는 듯해서 쪼금읽다 관뒀거든요.. 제가 스트레스받을거 같아서.
    원글님 감사해요.

  • 13. 감사합니다.
    '15.10.23 3:13 PM (61.247.xxx.61)

    움베르트에코 [연어와 여행하는 방법] 저장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14. 저도
    '15.10.23 3:26 PM (115.137.xxx.79)

    책 제목 기억할게요.
    좋은 글 고마워요~^^

  • 15. 유스
    '15.10.23 3:30 PM (39.7.xxx.14)

    참 좋은 글 입니다

    눈에 보여지는 사실과 현상을 판단하기를넘어서
    깊이 생각하고 질문하며 답을 찾는 과정 .....
    그렇게 살 지 못했으니 이제 그렇게 실고 싶어요

  • 16. .....
    '15.10.23 3:35 PM (110.11.xxx.146)

    소비의 천박함....참 좋은말이네요. 그리고 절제는 도덕성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예요.
    이 두가지를 얼마나 적절히 자녀에게 인지시키느냐...에 따라 자녀의 인생이 바뀌는 겁니다.

    자기돈 가지고 뭘 어떻게 쓰건 무슨 상관이냐....라고 떠드는 사람들...다시 한번 생각해보세요.
    남의 쓴소리 자체가 듣기 싫으면 본인과 자녀가 어떤 인간인지 죽을때까지 모르고 욕먹다가 죽는거죠.

  • 17. 감사
    '15.10.23 3:46 PM (117.111.xxx.9)

    꼭 읽어 보려고 저장합니다^^

  • 18. 감사해요
    '15.10.23 3:47 PM (210.105.xxx.253)

    어제 저도 그 횟집에서 점심 먹는 학생 어머니 글 읽고 답답함을 느꼈는데..
    이렇게 깔끔하게 말씀해 주니 좋으네요.

    저희 아이는 아직 부절제라는 개념도 없는 어린 아이지만
    잘 가르쳐야겠습니다.

  • 19. //
    '15.10.23 4:08 PM (222.110.xxx.76) - 삭제된댓글

    청소년과 관련된 글을 쓰는게 직업인데(원고지에선 끝을 잘 맺어요 큭)

    뭐가 잘못인지 모르는 - 이런 사례들을 종종 만납니다. 특히 학생들에게서요.

    (거짓말인지 진짜인지 모르나 충분히 개연성은 있어보이는) 어떤 과고에서는 한 학생이 공리주의와 다수결에 입각해 장애인을 죽이면 안되냐며, 토론을 했다고도 하고,

    남녀가 평등하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선생님에게
    남성도 차별당한다고요, 선생님 입장만 고수하지 마세요. 선생님 지방대 나왔죠? 라고 했다고도 합니다.

    이런 사례들을 보면서 학생들에게 인문학을 가르치는 일이 정말로 중요한 것을 느낍니다.


    (또 끝은 어떻게 맺는단 말입니까?)

  • 20. ..
    '15.10.23 5:53 PM (126.11.xxx.132)

    뭐라고 답은 해 줘야 되는데 생각은 안 날때가 많았는데...좋은 답변인것 같습니다.

  • 21. ...
    '15.10.23 7:09 PM (46.165.xxx.196)

    그것은 사람에 대한 예

  • 22. 부절제ㆍ소비의천박함
    '15.10.24 2:05 PM (112.152.xxx.85)

    위화감이라는 단어보다 훨씬예의있고
    엄격한 단어이면서 숭고하기까지 느껴지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3533 황우여 "모든 부처가 올바른 역사교과서에 힘 모아야&q.. 샬랄라 2015/10/23 455
493532 혹시 기부하시는 분 계시면 여쭙고 싶어요 3 기부천사 2015/10/23 712
493531 jtbc 뉴스 지금 인터뷰 어느분이신지 6 누리심쿵 2015/10/23 1,414
493530 아이유 물이 올랐네요. 10 ... 2015/10/23 4,974
493529 남자도 인물 좋으면 2 --- 2015/10/23 1,243
493528 정기적으로 생각나는 궁금증 3 때마다 생각.. 2015/10/23 764
493527 뉘집 아드님인지 11 그냥 2015/10/23 3,662
493526 장보는게 아직도 아마츄어 ㅋㅋ ㅋㅋ 2015/10/23 818
493525 미국에 사는 아이들 선물 뭐가 좋을까요? 1 선물 2015/10/23 845
493524 제가 요즘 남편과 사이가 좋은데요... 3 111 2015/10/23 2,291
493523 이틀동안 서울에서 무얼 할까요^^? 1 단풍구경 2015/10/23 836
493522 '전교조 집회에 학생 참여'..학부모단체, 형사고발 경고 2 샬랄라 2015/10/23 699
493521 INFJ 와 INFJ 가 결혼하는 건 어떤가요? 10 이제야아 2015/10/23 15,003
493520 김숙송은희 비보 그만하겠네요..ㅠㅠ 16 ff 2015/10/23 22,659
493519 이영애 차인표 이경영 조민수 드라마 "불꽃" .. 35 레지나 2015/10/23 10,934
493518 교육부 '총장직선제 폐지 않으면 페널티' 재확인 1 유신독재부활.. 2015/10/23 599
493517 기존 집단에서 사람 사귀기 5 고독 2015/10/23 1,689
493516 버스 기사 아저씨와의 추격전...;;; 20 깍뚜기 2015/10/23 5,226
493515 장거리택시이용시, 카카오택시가 유리할까요? 2 **** 2015/10/23 1,198
493514 우리대구도 국정교과서반대 인원 엄청나네요~~ 7 국정교과꺼져.. 2015/10/23 972
493513 절에서 제사지내는 절차가 궁금해요 2 푸른 2015/10/23 7,694
493512 남자도 미남은 평생 가는듯.. 2 .. 2015/10/23 2,595
493511 박근혜 '뒤끝'…이종걸에 3년 전 '그년' 발언 따져 15 ㅇㅇ 2015/10/23 3,413
493510 체질에 따른 음식을 따라야하나요? 2 ... 2015/10/23 913
493509 지금 MBN에.. 1 2015/10/23 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