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2말되니 적금도 못들겠네요

.. 조회수 : 5,968
작성일 : 2015-10-22 08:37:04
몇달전 남편 월급 백이 줄어서 적금끝나고 기존 백붓던거 오십으로 줄여들었는데 과탐까지 학원보내고 국어도 소수로 바꾸니 적금깨도 마이너스되겠어요 중3되니 작은애도 수학 주2회에서 3회로 바꾸어야하니 ㅠㅠ 그래도 재수안하고 가면 효자인거죠? ^^;
IP : 218.38.xxx.245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고2,고3
    '15.10.22 8:42 AM (221.139.xxx.117)

    적금이 뭔가요?? 먹는 건가요?? ㅠㅠ

  • 2. ㅇㅇㅇ
    '15.10.22 8:50 AM (49.142.xxx.181)

    아이 중고등때부터 바짝 돈 들여 가르치려고 애들 어렸을때 열심히 벌고 모은거잖아요.
    지금은 모았던돈 풀어야 할 시기..
    애들이 공부 잘해서 좋은 대학가고, 장학금 받고 과외라도 하면 그때부터 가정경제 풀리죠.
    아이 학비 안들고 용돈 안드니 그때부턴 부부 노후자금 애들 결혼자금 바짝 모으는시기..
    그러니 그런 비젼을 위해선 아이가 어느정도 잘하고, 열심히 하면 고등때 아낌없이 지원해주셔야 해요.

  • 3. 고2
    '15.10.22 8:52 AM (223.62.xxx.118) - 삭제된댓글

    사교육 많이 하면 당연히 저축하기 힘들죠
    아무리 많이 하고 아무리 비싼거 해도 많이 시킨다고
    하는 엄마는 없긴 하죠
    저희집은 사교육비 사오십이라 저축에 영향주진 않네요

  • 4. ..
    '15.10.22 8:53 AM (218.38.xxx.245)

    주변애들보니 방학마다 과탐도 특강 다 다녔더라구요 전교권 아는아이는 평소에도 수능선택안하는 과탐과목 내신위해 학원 계속 보내더래구요

  • 5. ㅡㅡ
    '15.10.22 8:53 AM (121.188.xxx.241)

    대학졸업해도 힘든건 그대로네요.
    취업이 관건이네요 ㅠㅠ
    취업 준비하는 기간에 돈 더 들어가요..

  • 6. ...
    '15.10.22 8:56 AM (66.249.xxx.195)

    윗님말씀처럼 대학 때 돈 더 많이 들어요. 이 시기가 더 불확실하고 비용도 더 많이들죠. 착실하게 취업할 수 있는 학과로 보내세요 ㅜ

  • 7. 고2
    '15.10.22 9:02 AM (223.62.xxx.118) - 삭제된댓글

    그러니까 사교육이란게 끝이 있나요?
    가격자체도 천차만별이고
    사교육 많이 한다고 뭐라고 하는게 아닙니다
    사교육비를 많이 쓰나 안쓰나 제3자와 무슨 상관이
    있겠어요
    다만 당연히 사교육 많이 하면 저축은 적어질수 밖에 없는
    거다는 거죠
    아무리 고2,고3이라고 모든 애들의 사교육비가 같을 수가
    없다는 거죠
    사교육비 많이 들어도 결과에 어느 정도 만족을 하니 보내는
    걸테구요

  • 8. ...
    '15.10.22 9:18 AM (223.62.xxx.15)

    고3되면 그 단위가 또 달라져요...
    방학이면 수백씩 팍팍

  • 9. 고1맘
    '15.10.22 9:24 AM (121.164.xxx.60) - 삭제된댓글

    여기 엄마들 고3 방학특강 800만원에 시키는거 보고 헉했어요
    제가 놀라니 더 비싼데도 있다더군요
    그래서 아끼고 모으고 있어요

  • 10. 고2
    '15.10.22 9:26 AM (223.62.xxx.118) - 삭제된댓글

    가정형편이 좋은데 사교육투자를 많이하는 거야 나중에
    어찌되든 상관이 없는데 서민형편에 너무 투자하는 건
    나중에 리스크가 있긴 하죠
    애도 자기 교육에 투자하는 것만 생각하고 자기집형편을
    잘 모를 수가 있어요
    자가나 하나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애들이 잘 모르죠
    부모가 중고등애한테 집안형편을 말하지 않잖아요
    어떤 면에서는 중고등때도 대강 형편을 자연스럽게 아는게
    미래에 대한 각오를 다지는데도 좋지않나 생각이 들더군요
    어릴때부터 여행 자주가고 뭐 사달라는거 왠만하면 사주고
    사교육투자 하고 그러니 자기집 형편을 과대평가하고 있는
    애들이 많아요

  • 11. 고1
    '15.10.22 9:46 AM (1.246.xxx.85) - 삭제된댓글

    정말이지 중학교까지만 해도 월 40정도 들었었는데
    고등가니 급식비,수업료,기숙사비,학원비포함 월 백은 들어요 아니 넘는 달이 더 많구나....
    공부를 안하겠다면 모를까 공부도 열심히 하고 또 하고싶다니까 안보낼수도 없고...
    고1도 이런데 고2,고3은 겁나네요

  • 12. 고1
    '15.10.22 9:53 AM (114.204.xxx.212)

    저도 개인과외로 바꾸고 과목늘다보니 그러네요
    주변 엄마들 다 걱정이에요 다행이 하나고 월급으로 커버되는 정도라
    앞으로 이년은 맘 비우고 살려고요
    근데 뭐든 적당히 형편에 맞게 해야할거 같아요 주변에 아이둘학원비로 월급 반이상 쓰며 저축 못하고 노후 걱정하는거 더 우려되요
    아이에게 노후 의탁하는건 죄 같아서 ....

  • 13. 현실적으로 일반가정에선
    '15.10.22 9:56 AM (223.62.xxx.118) - 삭제된댓글

    사교육비 많이 들이든 적게 들이든 부모노후준비는 하고
    있으면서 해야한다고 봅니다
    아빠들 대부분 30세 넘어서 결혼했을텐데 애가 20살이면
    아빠들 50대죠
    애들 대학졸업 할 때까지 부모도 노후준비가 끝나야 되는거죠

  • 14. 저도
    '15.10.22 10:00 AM (180.230.xxx.39)

    남편리 사업해서 어려운거 모르고 생활비는 항상 남았었는데 애들고3때는 그동안 모아뒀던 돈을 깨기까지 했네요..경기도에서 대치동까지 돈도 돈이고 기름값 ,부대비용도 어마무시했어요 ㅠ ㅠ

  • 15.
    '15.10.22 10:02 AM (124.49.xxx.162) - 삭제된댓글

    말이 쉽지 고2학년때는 어느 정도 밀어줘야 그래도 과라도 잘 갈 수 있죠
    물론 돈들인 만큼 결과가 나오는 건 아니지만 재수하면 평균 2천은 들더라구요
    고3때는 또 과외 다 안하니까 고3되기 전까지는 밀어주세요 몇달 안남았네요

  • 16. ..
    '15.10.22 10:06 AM (58.29.xxx.7) - 삭제된댓글

    그때부터 적금이 없어졌지요
    아이들 대학가면서는 더 큰돈이 들어가고
    남편 퇴직하고..

  • 17. 요즘
    '15.10.22 10:22 AM (122.203.xxx.66)

    두아이가 초6,중3이에요.
    예비중, 예비고라고 사교육비가 껑충뛰는 시점인데
    오싹할정도로 허리가 휩니다.
    남들이 말하던 중고등 교육비가 이런거구나 실감해요.
    그런데 고3은 몇백이라니 겁이나요.
    이렇게 저축도 없이 사교육비 나가면 아이들 대학 학비는 언제 모으나요? ㅠ.ㅠ
    전세도 최소 5000은 올려줘야 할거 같고
    진심 무서워요.

    다른분들은 사교육비 수입의 몇퍼센트나 지출하시나요?

  • 18. 고3맘
    '15.10.23 12:26 AM (1.241.xxx.71)

    고3되면 수리논술 과학논술까지 시켜야돼요
    수능잘봐서 수능 끝나고 논술 파이녈에 돈 안 쏟아 붇기를 고대하고있어요ㅠㅠ
    정시 어렵다지만 대박나면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417 덩치크고 발볼 큰 중딩 남학생 메이커... 혹시 2016/01/30 473
523416 편의점 도시락 드셔 보셨어오?^^ 16 happy 2016/01/30 5,519
523415 이 속담들 아시나요?? 10 속담 2016/01/30 5,605
523414 요즘 삼각김밥 맛있네요? 11 //// 2016/01/30 3,049
523413 아파트 매매 시 붙박이장 어떻게 하죠??? 8 고민 2016/01/30 7,664
523412 주말에 집에서 일하는남편.. 4 .. 2016/01/30 1,404
523411 전업이 봉이지 58 .. 2016/01/30 15,157
523410 설 날이 가까워오니 4 ㅇㅇ 2016/01/30 1,428
523409 도쿄여행중 자유일정 ㅅ나루 도와주세요~ 5 happy 2016/01/30 1,124
523408 건국대 주변 원룸 4 슈팅스타 2016/01/30 2,079
523407 중동, 아프리카 잇단 자살폭탄테러 사망자 속출 1 기적이여 2016/01/30 829
523406 오바마가 쏟아부은 ‘얼굴 없는 폭격’ ..드론의 무차별폭격 드론무기 2016/01/30 616
523405 점 본 곳마다 말이 다른데.. 2 2016/01/30 1,569
523404 인연이란게...인생 참 재미있구나 41 불륜이라 2016/01/30 24,648
523403 40대 후반에 퇴직하면 남자들은 무슨일 하나요? 16 증말... 2016/01/30 14,440
523402 이기적인 엄마의 내방만들기 4 자유롭게 2016/01/30 1,828
523401 초보운전자는 비싼차가 좋을까요 싼차가 좋을까요? 27 고민 2016/01/30 4,776
523400 가기부모는 자기가 챙기는것으로.. 18 그러니깐요 2016/01/30 2,509
523399 시댁은 어쩔 수 없네요. 3 .... 2016/01/30 1,521
523398 한정식 10년차입니다.질문받을께요 40 두부 2016/01/30 7,655
523397 내가하면 로맨스,남이하면 불륜 4 . 2016/01/30 2,555
523396 병간호에 대해 평가해주세요 17 저를 2016/01/30 2,379
523395 성형외과랑 피부과 점빼기 큰 차이없을까요? 4 2016/01/30 10,088
523394 동아일보 헤드라인 ㅋ 1 ㅇㅇㅇ 2016/01/30 745
523393 강원도 이사가면 소형차로 운전하기 어려울까요? 3 ... 2016/01/30 1,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