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하필이면 국회의원선거를앞두고-여당에서도 역사책국정화반대확산되나(?)

집배원 조회수 : 1,161
작성일 : 2015-10-21 06:38:49
청와대와 정부, 새누리당이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내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국정화 반대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현재는 수도권 일부 의원들의 의견에 불과하지만 국정화와 관련된 여론의 향방에 따라 이같은 반대기류가 더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수도권 중심으로 국정화 반대여론 높아 '긴장'

새누리당내 소장파이자 비박계인 김용태 의원은 20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정부의 일방적인 역사교과서 국정화 조치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국정화 하나밖에 없다' 이런 식으로 일방적으로 선언해놓고 따라와라 이런 식이니까 사실 당혹스럽고 한편으로는 황당하기까지 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 양천구을이 지역구인 김 의원은 특히 "수도권, 특히 서울 같은 경우에는 40대, 30대를 중심으로 해서 '도대체 집권세력으로서 무책임한 거 아니냐' 이런 얘기를 하고 있다"며 민심을 전했다.

김 의원 외에도 서울 서대문구을이 지역구인 정두언 의원 역시 지난 14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국정화에 대해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의화 국회의장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그는 현행 역사교과서의 좌편향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지금 다양화 시대고 자율화 시대인데 또 획일화, 독점화 이런 식으로 가면 시대에 전혀 안 맞다"고 선을 그었다.

두 사람 외에도 남경필 경기도지사, 정의화 국회의장 등이 국정화에 반대의견을 내고 있다.

정 의장은 20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현재 교과서가 얼마나 이념편향적인지, 어떤 해가 있는지를 납득시키고 그 대책으로 국정화를 할 지, 아니면 검인정 강화를 논의했어야 했다. 아쉬움이 크다"며 "늦기는 했지만 절차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로잡을 노력을 해야 한다" 밝혔다.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국정화에 반대목소리를 내는 이유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중도층과 청년층 등에서 국정화 반대기류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

실제로 지난 16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에서 국정화에 대한 전국적인 찬반 의견은 양측 모두 42%로 팽팽하게 맞섰지만 서울과 인천·경기에선 반대의견이 45%와 46%로 찬성의견 38%와 43% 보다 높았다.

특히, 세대별로는 현 여권에 부정적인 20대와 30대는 물론 중·고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 세대인 40대에서도 반대의견이 53%로 찬성의견 32% 보다 월등히 높았다.(자료 : 한국갤럽 10월 13~15일 조사, 전국 성인 1003명 대상 휴대전화 무작위걸기 방식.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하지만 현재까지 공개적으로 국정화에 반대의견을 내는 의원들은 손에 꼽을 정도에 불과하다.

당내 소장파로 활동했던 한 의원은 "역사교과서의 좌편향이 문제의 본질이라면 국정화는 방법과 절차에 관한 문제"라며 "폭넓은 의견수렴과 검토절차가 있었다면 좋았겠지만 본질적인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국정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전반적인 분위기를 전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등 의원들이 지난 15일 오전 국회 로텐더홀에서'올바른 역사 교과서 만들기 결의대회'를 했다. (사진=윤창원 기자)
◇ 당내 반대기류 확산 여론 향방에 달려…김무성에 불만도

그러나 내년 4월에 치러질 20대 총선을 앞두고 국정화와 관련한 반대여론이 높아질 수록 당내 기류에도 변호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역사교과서의 좌편향 문제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국정화는 아니라는데 상당수 의원들이 동의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아직까지는 공개적으로 발언할 때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국정화에 대한 찬반양론이 갈리고 있는 상황에서 당의 공식 입장과 배치되는 의견을 내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지만, 동시에 여론의 변화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부산·경남(PK) 지역의 한 의원 역시 "총선을 앞두고 노동개혁 등 해야할 일이 많은데 당이 너무 조급하게 국정화를 밀어붙이고 있는 것 아닌지 걱정된다"며 역풍을 우려했다.

교수출신의 한 의원은 "국정화는 행정고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집필진 구성부터 시작해 건건이 논란이 될 일이 산더미"라며 "지역을 다녀보면 찬성하는 의견도 많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아 앞으로 여론이 어떻게 흘러갈지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의 지적처럼 국정역사교과서 집필 거부에 동참한 교수·연구자가 1천명을 넘어서는 등 역사학계의 집필 거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고, 시민사회단체의 반대 운동 역시 그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전두환 때도 "유신·장기집권 의도"…現 교과서엔 언급 없어 '통합교육', '획일교육'의 길 택한 日과 韓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여야 3 3 회동, 내일 열려 [영상] "역사교과서 유언비어 '난무'…반박글 쓸 수밖에" [영상]어느 중학생의 외침…"5.16은 쿠데타잖아요!"

● ●



이처럼 총선과 연계해 국정화와 관련한 당내 우려가 쌓여가다보니 적절한 의견수렴 없이 이를 밀어붙인 김무성 대표에 대한 불만 역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김무성계로 분류되는 한 의원조차 "당청이 한목소리를 내는 것은 이해하지만 당내 의견수렴 절차가 없었다는 것은 큰 문제"라며 "김 대표가 청와대와 공천제도 갈등에서 밀리니까 국정화를 이용하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드러냈다.

수도권 총선을 준비하고 있는 김 대표의 한 측근 역시 "공천제도 같은 당내 문제나 노동개혁 같은 국가적 정책도 제대로 완결짓지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뜬금없이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튀어나와서 모든 이슈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며 우회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IP : 218.149.xxx.249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ㄱㅡ
    '15.10.21 6:56 AM (110.70.xxx.227)

    총선에 유리할줄 알고 생성한 아젠다인데
    역풍이 확실하다면 우회전략을 쓸듯.

    대운하는 안한다. 대신 4대강 치수사업이다.하는 식.

    지금쯤 머리굴리고들 있겠지요.

  • 2.
    '15.10.21 7:21 AM (175.201.xxx.248)

    째려보면 찍소리도 못할것들이
    부글부글해봤이지ㅉㅉ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6192 안 오는 동서 41 원글 2016/02/08 16,226
526191 빌보 쓰시는 분들~~~ 4 .... 2016/02/08 2,885
526190 여초직장,질투하지말자..를 출근전에 한번 6 직장 2016/02/08 3,216
526189 해외여행비용 이제까지 얼마나 쓰셨어요? 1 dma 2016/02/08 1,175
526188 총각김치 활용 질문이요.. 3 .. 2016/02/08 1,016
526187 다 좋은데 나이가 너무많이 차이나요....2 11 .... 2016/02/08 4,512
526186 세월호664일) 새해에는 모든 미수습자님들이 가족들 품으로 꼭 .. 10 bluebe.. 2016/02/08 453
526185 이런건 어디서 구할수 있을까요... 3 어디서 2016/02/08 1,046
526184 청국장, 롯데슈퍼에서 산 990 원짜리 괜찮네요 8 오호 2016/02/08 2,494
526183 40대가 스모키 화장하면 이상할까요? 10 망고 2016/02/08 2,667
526182 주위에 법무사님 토지점유취득에 대해서sos부탁드립니다 가고또가고 2016/02/08 527
526181 방하나 온전히 내방으로 꾸민다면? 8 질문 2016/02/08 1,863
526180 폭언 듣고 폭력 시달리던 어린시절.. 아물지못해 힘듭니다 제 얘.. 21 어린시절 2016/02/08 5,408
526179 콜드 플레이 싱어 원래 노래 잘 못하나요? 4 ;;;;;;.. 2016/02/08 1,560
526178 왜 타미플루 얘기가 자주 나오죠? 3 ........ 2016/02/08 2,709
526177 사람성격,인상이 좋고 나쁘고가 어떻게 형성되는걸까요? 4 ㅇㅇ 2016/02/08 4,772
526176 9시 뉴스를 보며 남편왈... 8 소소 2016/02/08 3,442
526175 자연눈썹반영구했는데, 잘안되서요ㅜㅜ 지울수있나요 4 눈썹반영구 2016/02/08 1,827
526174 젊었다 하기엔 너무 나이를 먹었고 늙었다 하기엔 너무 젊어요. .. 5 .. 2016/02/08 2,344
526173 자식이나 남편 승진하면 주변에 알리나요? 10 요즘같은 시.. 2016/02/08 2,380
526172 요가하시다가 부작용겪으신분 있으세요? 3 ...q 2016/02/08 3,917
526171 타미플루는 5일 꼬박 먹여야 하는데...나머지 약은요? 2 ㅇㅇ 2016/02/08 1,416
526170 병원 응급실ㅠ.ㅠ 5 아프지말게 2016/02/08 4,096
526169 이혼 후 명절.. 9 해피 2016/02/08 5,754
526168 제가 결혼 안해서 불행하다는 부모님.. 59 마음다스리기.. 2016/02/08 17,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