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급해요 첫제사 문의드릴께요

.. 조회수 : 1,422
작성일 : 2015-10-15 23:46:55
작년 양력10월18일(음력9월25일)에 돌아가셨는데요
돌아가시기 전날을 기일로 하는건지 아님 당일 날을 기일로 하는 건가요 음력 양력은 상관없는지 궁금합니다
IP : 124.199.xxx.23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16 12:12 AM (110.70.xxx.209) - 삭제된댓글

    주로 음력으로 하구요 산 날 기준이라 돌아가신 전 날에 제사를 지내요.

  • 2. ..
    '15.10.16 12:59 AM (124.199.xxx.238)

    답변정말 감사합니다^^

  • 3. 제가 알기론
    '15.10.16 2:05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르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
    이 정도 뜻으로 버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4. 제가 알기론
    '15.10.16 2:05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루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
    이 정도 뜻으로 버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5. 제가 알기론
    '15.10.16 2:06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그러게요 "

  • 6. 제가 알기론
    '15.10.16 2:07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그런데 따옴표를 눌렀는데 저렇게 돈이 쏟아지는 이유는 뭐죠?

  • 7. 제가 알기론
    '15.10.16 2:07 AM (221.141.xxx.124)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루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
    이 정도 뜻으로 보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8. 제가 알기론
    '15.10.16 2:08 AM (221.141.xxx.124)

    돌아가신 당일날이 제사날입니다.
    그런데 흔히 전날 지내게 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하루의 시작은 자시(밤 11시 ~ 오전 1시)입니다. 따라서 돌아가신 날의 시작이 되는 첫 자시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니 전날 저녁에 준비해서 밤 11시가 지나면 지냅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심야에 제사 지내는 것이 어려우니 제사 지내는 시간이 자꾸자꾸 이른 시간으로 앞당겨지다보니 마치 전날 저녁에 지내는 것처럼 굳어지게 된 거지요.
    이런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잘 만났다. 오늘이 네 제삿날인 줄 알아라~"
    지금부터 싸워서 내일 죽이겠다는 말일까요?ㅋㅋ
    " 너 오늘 죽었어~"
    이 정도 뜻으로 보면 돌아가신 당일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맞지요.
    제사는 보통 음력으로 합니다만 양력으로 하는 집도 있더군요

  • 9. 제가 알기론
    '15.10.16 2:09 AM (221.141.xxx.124)

    " 음..."
    그런데 따옴표 쓰면 왜 저렇게 보이지요?

  • 10. ㅁㅁ
    '15.10.16 8:38 AM (112.149.xxx.88) - 삭제된댓글

    돌아가신 전날 밤에 지냅니다...

  • 11. ㅁㅁ
    '15.10.16 8:38 AM (112.149.xxx.88)

    음력으로 돌아가신 전날 밤에 지냅니다...

  • 12. .....
    '15.10.16 11:13 AM (222.108.xxx.174)

    제가 알기론 님 말씀에 한 표.
    음력으로 돌아가신 날이 기일이고..
    그러면 제사는 돌아가신 날이 시작되는 자정에 지내야 하니까
    돌아가신 전날 저녁에 제사 준비 다 해놓고 기다리다가 자정 밤12시 땡 하면 지내시는 거예요.
    그런데 현대인들.. 다음날 출근도 해야 되고 ㅠㅠ
    결국 전날 저녁에 지내고 저녁 먹고 자게 되죠 ㅠ

  • 13. 상관없이
    '15.10.16 11:46 AM (117.111.xxx.39)

    요즘은 꼭 음력으로 지내지 않는것 같습니다.

    저의 시아버님 기일은 양력으로 첫기일 지냈습니다.
    돌아가신 전날로 말입니다.

    2015년 3번째 기일이 돌아왔습니다.

    3번까진 양력으로 제 날짜에 드리기로 하구요
    2016년부터는 아버님 기일 날짜에 맞춰 주말에 기일 드리기로 했네요.

    형제분들이 서로 사업 및 직장을 다니다 보니 평일엔 힘들것 같다고 그렇게 하자고
    이번에 의견을 모았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0124 핸드폰요금 이거 못내면 누가 신용불량쟈 되는건가요? 1 딸기체리망고.. 2016/02/21 1,407
530123 굼벵이 살림솜씨 5 .. 2016/02/21 1,464
530122 영화 "번개맨" 보셨나요? 개념 영화였네요.. 6 강풀의 조조.. 2016/02/21 1,513
530121 알고보니 제가 샘이 많은 거 같아요. 8 .. 2016/02/21 2,941
530120 처녀성에 대한 인식 49 인식 2016/02/21 11,930
530119 겉부분이 벨벳으로 된 플랫슈즈 어떻게 세탁하나요? 어쩌나 2016/02/21 626
530118 서울 비강남권 소형아파트는 변동이 없는것같아요. 5 아파트 2016/02/21 2,155
530117 홍익대 공대 대기업취업 13 103308.. 2016/02/21 9,812
530116 인삼보관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4 인삼 2016/02/21 945
530115 셀프염색과 미용실 염색.. 차이 있나요? 5 .. 2016/02/21 4,456
530114 유치가 일찍 빠지면 성장도 일찍 멈추겠죠? 5 걱정 2016/02/21 3,081
530113 아프리카 여행 환상 사라졌네요. 70 2016/02/21 29,803
530112 빵빠레 아이스크림 얼마씩 하나요? 1 0 2016/02/21 640
530111 日 방사능유출지역 식품 한국홍보행사 강행…시민단체 "보.. 2 via 뉴시.. 2016/02/21 734
530110 차수현 형사 자격 없는거 아닌가요? 8 시그널 2016/02/21 3,557
530109 일회용팩 소소한 팁 3 dd 2016/02/21 3,902
530108 전세 주고 있는 아파트 매매할때요. 계약금과 중도금은 얼마정.. 7 ^^ 2016/02/21 5,030
530107 더민주 장하나 신정훈, 'FTA 주도' 김현종 영입에 반발 6 매국노 2016/02/21 1,247
530106 제 아이 잠꼬대 하는 것 보시고 진단 좀 부탁드려요!! 6 // 2016/02/21 2,859
530105 설레는 베드신 키스신 있나요? 6 ㅇㅇ 2016/02/21 5,671
530104 . 93 슬프네 2016/02/21 20,185
530103 엄마 좀 늦어도 괜찮아 ^^ 6 천사 2016/02/21 2,035
530102 검정비닐봉투 뒤집어 씌우고 테이핑했는데 냄새를?? 4 비닐 2016/02/21 2,683
530101 중국요리에 들은 이 음식이 뭐죠? 14 2016/02/21 3,395
530100 냉동대파로 파기름 내보신분 있나요? 2 알려주ㅅㅔ요.. 2016/02/21 9,567